목차
1. 실험 목적
2. 기구 및 장치
3. 이론
4. 실험 방법
5. 유의 사항
6. 실험결과
7. 고찰
2. 기구 및 장치
3. 이론
4. 실험 방법
5. 유의 사항
6. 실험결과
7. 고찰
본문내용
5. 유의 사항
① 30V 이상의 전압을 가하거나, 저항선을 물 속에 넣지 않고 전류를 통하면 저항선이 타 버리므로 주의한다.
② 디지털 온도계가 물에 잠길 수 있을 만큼 물을 넣어야 한다.
③ 어떤 기기든지 조정단자는 0이나 최소의 위치에 두고 전원 스위치를 켠다.
④ 전원 입력선, 플러그는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젖은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Labview에서의 그래프는 1도 정도의 오차를 가지고 움직이므로 평균치로 측정한다.
⑥ 실험 2를 할 때에는 반드시 물을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측정한다
6. 실험결과
실험1
실험2
7. 고찰
실험 시 전압이 항상 일정한 값을 띠지 않고 계속해서 왔다갔다 했다. 전압 뿐만아니라 기계를 관찰하고 있다보면 전류도 조금씩 변했었다. 따라서 오차가 생긴 것이다. 또한 조원 모두가 열의 일당량 실험기구를 처음 다뤄보는 신입생들이라서 여기저기서 실수가 많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 조원 중 한 명이 스톱워치로 시간 재는 것을 맡았는데, 핸드폰 스톱워치로 시간을 재다가 깜박 잊고 재고 있던 중간에 핸드폰을 닫아버렸다. 게다가 실험 시간도 부족해서 초기온도를 높게 설정한 채로 다시 실험을 시작했는데 여기서 많은 오차가 생긴것 같다. 온도계의 눈금을 읽을 때도 육안으로 온도계를 읽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가 없으며, 온도계가 열량계의 전열선에 가까우면 온도가 직접 온도계에 전달이 되어서 오차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또한 처음의 물의 온도가 실내온도와 비슷해야지 열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지만 처음 물의 온도를 실내온도와 비슷하게 맞추지 않아서 손실이 생겼다.
① 30V 이상의 전압을 가하거나, 저항선을 물 속에 넣지 않고 전류를 통하면 저항선이 타 버리므로 주의한다.
② 디지털 온도계가 물에 잠길 수 있을 만큼 물을 넣어야 한다.
③ 어떤 기기든지 조정단자는 0이나 최소의 위치에 두고 전원 스위치를 켠다.
④ 전원 입력선, 플러그는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젖은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Labview에서의 그래프는 1도 정도의 오차를 가지고 움직이므로 평균치로 측정한다.
⑥ 실험 2를 할 때에는 반드시 물을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측정한다
6. 실험결과
실험1
실험2
7. 고찰
실험 시 전압이 항상 일정한 값을 띠지 않고 계속해서 왔다갔다 했다. 전압 뿐만아니라 기계를 관찰하고 있다보면 전류도 조금씩 변했었다. 따라서 오차가 생긴 것이다. 또한 조원 모두가 열의 일당량 실험기구를 처음 다뤄보는 신입생들이라서 여기저기서 실수가 많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 조원 중 한 명이 스톱워치로 시간 재는 것을 맡았는데, 핸드폰 스톱워치로 시간을 재다가 깜박 잊고 재고 있던 중간에 핸드폰을 닫아버렸다. 게다가 실험 시간도 부족해서 초기온도를 높게 설정한 채로 다시 실험을 시작했는데 여기서 많은 오차가 생긴것 같다. 온도계의 눈금을 읽을 때도 육안으로 온도계를 읽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가 없으며, 온도계가 열량계의 전열선에 가까우면 온도가 직접 온도계에 전달이 되어서 오차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또한 처음의 물의 온도가 실내온도와 비슷해야지 열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지만 처음 물의 온도를 실내온도와 비슷하게 맞추지 않아서 손실이 생겼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