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목차
1. 문화트렌드를 알아야하는 이유.
- 문화의 개념,
- 문화 산업과 문화 트렌드,
- 산업으로서의 문화,그 의미와 한계
2. 문화 트렌드의 달라진 환경
- 세계화
- 디지털화
3. 문화 트렌드와 문화 소비자
- 21세기 문화 트렌드 소비의 특성
- 달라진 문화 트렌드 환경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문화 소비자들
- 미래 문화 산업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들
4. 영화 트렌드와 글로벌리제이션
5. 만화/ 애니메이션 트렌드
- 만화 트렌드,
- 애니메이션 트렌드
6. 광고트렌드와 소비사회
- 소비사회
- 광고의 작동
- 브랜드
7. 게임트렌드와 게임문화
- 게임과 문화산업
- 게임의 서사적 특징
- 게임의 사회문화적 효과
8. 스포츠 트렌드 미이더와 마케팅
- 변화하는 스포츠 트렌드
9. 축제 트렌드와 지역사회 발전
- 축제의 기원
- 도시축제의 발전
- 영국 트라팔가 '단오 페스티벌'
10. 공연예술 트렌드
- 크리스 그래디
11. 현대 미술트렌드 세계화 속의 다양성
- 현대의 미술트렌드
- 세계화
12. 대중음악 트렌드 산업과 실험의 공존
- 대중음악 트렌드
- 다양성
13. 스타 트렌드 스타탄생과 팬덤문화
- 스타의탄생,
- 팬덤컬쳐
- 문화의 개념,
- 문화 산업과 문화 트렌드,
- 산업으로서의 문화,그 의미와 한계
2. 문화 트렌드의 달라진 환경
- 세계화
- 디지털화
3. 문화 트렌드와 문화 소비자
- 21세기 문화 트렌드 소비의 특성
- 달라진 문화 트렌드 환경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문화 소비자들
- 미래 문화 산업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들
4. 영화 트렌드와 글로벌리제이션
5. 만화/ 애니메이션 트렌드
- 만화 트렌드,
- 애니메이션 트렌드
6. 광고트렌드와 소비사회
- 소비사회
- 광고의 작동
- 브랜드
7. 게임트렌드와 게임문화
- 게임과 문화산업
- 게임의 서사적 특징
- 게임의 사회문화적 효과
8. 스포츠 트렌드 미이더와 마케팅
- 변화하는 스포츠 트렌드
9. 축제 트렌드와 지역사회 발전
- 축제의 기원
- 도시축제의 발전
- 영국 트라팔가 '단오 페스티벌'
10. 공연예술 트렌드
- 크리스 그래디
11. 현대 미술트렌드 세계화 속의 다양성
- 현대의 미술트렌드
- 세계화
12. 대중음악 트렌드 산업과 실험의 공존
- 대중음악 트렌드
- 다양성
13. 스타 트렌드 스타탄생과 팬덤문화
- 스타의탄생,
- 팬덤컬쳐
본문내용
소비하는가 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냄
3. 8,90년대에 20대를 겪으면서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함
4. 자신의 취향과 관심을 위해 쓸 수 있는 여윳돈을 가짐
>정답 3번
Trend Key map
▣ 학습성찰
21세기 문화트랜드 의 세 번째 강의를 들었다. 흔히들 문화를 알면 돈이보인다고 한다. 하지만 문화소비자를 알면 돈이 보이게 된다. 감성체험을 중시하고 가상현실을 즐기고자하는 21세기 소비자와 맞게 기술발전도 급속히 진행되면서 가상과 현실을 구별하기 못하는 프레젠스라는 단어 출현또한 매체를 통한 경험하는 텔레프레젠스라는 말이 생겻고 또한 사용자간의 추천기능은 아무리 광고를많이해도 문화산업의 컨텐츠가 좋지않다면 외면당한다는것은 시간이 갈수록 뚜렷해진다. 창조적 문화트렌드의 세계 나도 곧 이러한 트렌드 프로슈머가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학습저널 [4주차]
▣ 학습내용
▶ 영화 산업의 글로벌화
1. 영화 생산의 다국적화는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는가.
2. 영화의 글로벌 생산이 보편화 된다면 문화 정체성 및 분화 다양성은 정책적으로 어떻나 변화된 의미를 갖게 되는가?
3. 문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 우리문화’를 대상으로 주어져야 한다면 우리문화인지 여부는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 영화 산업과 글로벌리제이션
문화 교류로 인한 결과.
1. 문화 제국주의 또는 미디어제국주의적 시각
2. 전통적인 문화 전파 이론
3. 다양한 문화들이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고 교류하면서 이질적인 지역문화 들이 상호 공존하게 된다는 시각.
▶ 영화 산업의 글로벌제이션 현황
▶세계화 시대 문화 다양성
문화순혈주의 Ideology of the Cultural Pure Blood 文化血主
한국인들은 단일민족이라는 것을 적극적으로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단일민족이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한편 단일문화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인이 단일민족이라는 것은 생물학적으로 볼 때 거짓이고 문화인류학적으로 볼 때도 참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부정하지 않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첫째, 초자연적인 신화의 세계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굳이 부정할 이유가 없고 둘째, 민족통일과 같은 전망을 실현하기 위해서 부정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며 셋째, 문화적 우월감 또는 문화적 순혈주의를 유지하려면 단군신화를 통하여 민족적 신비성과 문화적 동질성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 집단이 가진 문화적 동질성을 문화순혈주의(文化純血主義)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개념은 사전에 없다. 소박하게 말하여 단문화주의(mono-culturalism)나 문화단일주의보다도 더 강력한 문화적 동질성을 문화순혈주의라고 명명하면서 개념을 정리한다는 차원에서 사용해 보기로 한다. 모든 사람들은 자기 모문화(母文化)의 토대인 종족적 순혈성과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문화순혈주의를 생산하는 원리이자 토대인 단군신화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근거로 한다. 이로부터 유래한 단일민족신화와 문화순혈주의의 전통은 일제식민지하에서 강화되었다.
1900년대초, 최남선을 비롯한 조선의 민족주의자들은 일제식민지배에 대한 저항주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민족주의 의식을 계몽하기 시작했다. 이리하여 실재의 공동체 위에 상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y)로서의 조선인/한국인이라는 의식이 형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족주의란 근대에 생겨난 개념으로써 자본주의 경제와 전통문화를 토대로 하는 공동체의식으로 본다. 이 문화적 민족주의는 조선인 모두가 피지배계급이라는 계급의식과 연대하면서 민족문화라는 문화순혈주의를 탄생시켰다. 일반적으로 문화민족주의는 역사의 공동경험이라든가, 조선어와 같은 문화적 일체감, 지리적 운명공동체 등 현실공동체를 근거로 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민족적 정체성의 재확립과 식민저항의 주체를 위해서 한국인은 단일민족이어야 했던 것이다.
한국의 경우, 문화순혈주의는 ‘한국문화는 단일문화다, 한국문화는 순수해야 하고 그 주체는 한국인이라는 단일민족이다, 한국문화는 우수하다’와 같은 순차(順次)로 이어진다. 이처럼 문화순혈주의는 현실을 귀납적으로 정리한 것이 아니라, 당위성과 목표를 설정해 놓고 그것을 인정하고 강화하는 집단적 인식의 산물이다. 결론적으로 문화순혈주의는 문화의 동일성, 동질성, 고유성, 배타성, 일체감을 근거로 한 문화적 신념으로써 자신의 문화가 우수하다는 우월감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순혈주의는 가능하지도 않고 옳지도 않은 것이므로 21세기에 들어 세계의 모든 국가에서는 열린 민족주의, 탈민족주의, 다문화주의, 문화다양성, 문화민주주의 등의 담론으로 대치되어 가고 있다.
- 끝 - (충북문화예술연구소장 / 충북대교수 김승환, 2010년 2월 18일 목)
*참고문헌 Benedict Ancdrson, Imagined Communities :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London and New York ; Verso, 2006).
*참조 목요학습 21 <다문화주의>, 목요학습 94 <문화다양성>
[출처] 문화순혈주의|작성자 황익주
▶요약 및 결론
“문화적 순혈주의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 문화 다양성 개념에 집중
문화적 혼성화, 다국적 생산요소의 결합
문화다양성 개념 > 국가간 관계에 적용
> 사회 내부에 적용
*세계화 시대의 문화정책은 국제적.국내적 으로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다종다양한 유형.장르의 문화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광의의 문화 다양성 지향
>트렌드 이슈
문화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생산이 일반화 될수 있었던 배경이 되는 두가지 현상은?
퀴즈퀴즈
트렌드맵
▣ 학습성찰
21세기 문화트랜드 의 네 번째 강의를 들었다. 최근 유행하고있는 영화에 대한내용과 그전에대한 영화에대한 내용을 들었다 그리고 앞으로 유행을하게될 영화의 트렌드에대해 다문화적 요소가 드러나는 영화 그리고또한 문화간 접촉으로 인한 다양한 해프닝또는 심각한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보았고 미래에서는 보다 더 구체적인그리고 또한 보다 더 발랄한 상상력의 영화를 보고싶고 영화계에서 글로벌하게 성공하고싶다면 헐리우드를 꼭안가도
3. 8,90년대에 20대를 겪으면서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함
4. 자신의 취향과 관심을 위해 쓸 수 있는 여윳돈을 가짐
>정답 3번
Trend Key map
▣ 학습성찰
21세기 문화트랜드 의 세 번째 강의를 들었다. 흔히들 문화를 알면 돈이보인다고 한다. 하지만 문화소비자를 알면 돈이 보이게 된다. 감성체험을 중시하고 가상현실을 즐기고자하는 21세기 소비자와 맞게 기술발전도 급속히 진행되면서 가상과 현실을 구별하기 못하는 프레젠스라는 단어 출현또한 매체를 통한 경험하는 텔레프레젠스라는 말이 생겻고 또한 사용자간의 추천기능은 아무리 광고를많이해도 문화산업의 컨텐츠가 좋지않다면 외면당한다는것은 시간이 갈수록 뚜렷해진다. 창조적 문화트렌드의 세계 나도 곧 이러한 트렌드 프로슈머가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학습저널 [4주차]
▣ 학습내용
▶ 영화 산업의 글로벌화
1. 영화 생산의 다국적화는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는가.
2. 영화의 글로벌 생산이 보편화 된다면 문화 정체성 및 분화 다양성은 정책적으로 어떻나 변화된 의미를 갖게 되는가?
3. 문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 우리문화’를 대상으로 주어져야 한다면 우리문화인지 여부는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 영화 산업과 글로벌리제이션
문화 교류로 인한 결과.
1. 문화 제국주의 또는 미디어제국주의적 시각
2. 전통적인 문화 전파 이론
3. 다양한 문화들이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고 교류하면서 이질적인 지역문화 들이 상호 공존하게 된다는 시각.
▶ 영화 산업의 글로벌제이션 현황
▶세계화 시대 문화 다양성
문화순혈주의 Ideology of the Cultural Pure Blood 文化血主
한국인들은 단일민족이라는 것을 적극적으로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단일민족이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한편 단일문화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인이 단일민족이라는 것은 생물학적으로 볼 때 거짓이고 문화인류학적으로 볼 때도 참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부정하지 않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첫째, 초자연적인 신화의 세계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굳이 부정할 이유가 없고 둘째, 민족통일과 같은 전망을 실현하기 위해서 부정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며 셋째, 문화적 우월감 또는 문화적 순혈주의를 유지하려면 단군신화를 통하여 민족적 신비성과 문화적 동질성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 집단이 가진 문화적 동질성을 문화순혈주의(文化純血主義)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개념은 사전에 없다. 소박하게 말하여 단문화주의(mono-culturalism)나 문화단일주의보다도 더 강력한 문화적 동질성을 문화순혈주의라고 명명하면서 개념을 정리한다는 차원에서 사용해 보기로 한다. 모든 사람들은 자기 모문화(母文化)의 토대인 종족적 순혈성과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문화순혈주의를 생산하는 원리이자 토대인 단군신화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근거로 한다. 이로부터 유래한 단일민족신화와 문화순혈주의의 전통은 일제식민지하에서 강화되었다.
1900년대초, 최남선을 비롯한 조선의 민족주의자들은 일제식민지배에 대한 저항주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민족주의 의식을 계몽하기 시작했다. 이리하여 실재의 공동체 위에 상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y)로서의 조선인/한국인이라는 의식이 형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족주의란 근대에 생겨난 개념으로써 자본주의 경제와 전통문화를 토대로 하는 공동체의식으로 본다. 이 문화적 민족주의는 조선인 모두가 피지배계급이라는 계급의식과 연대하면서 민족문화라는 문화순혈주의를 탄생시켰다. 일반적으로 문화민족주의는 역사의 공동경험이라든가, 조선어와 같은 문화적 일체감, 지리적 운명공동체 등 현실공동체를 근거로 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민족적 정체성의 재확립과 식민저항의 주체를 위해서 한국인은 단일민족이어야 했던 것이다.
한국의 경우, 문화순혈주의는 ‘한국문화는 단일문화다, 한국문화는 순수해야 하고 그 주체는 한국인이라는 단일민족이다, 한국문화는 우수하다’와 같은 순차(順次)로 이어진다. 이처럼 문화순혈주의는 현실을 귀납적으로 정리한 것이 아니라, 당위성과 목표를 설정해 놓고 그것을 인정하고 강화하는 집단적 인식의 산물이다. 결론적으로 문화순혈주의는 문화의 동일성, 동질성, 고유성, 배타성, 일체감을 근거로 한 문화적 신념으로써 자신의 문화가 우수하다는 우월감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순혈주의는 가능하지도 않고 옳지도 않은 것이므로 21세기에 들어 세계의 모든 국가에서는 열린 민족주의, 탈민족주의, 다문화주의, 문화다양성, 문화민주주의 등의 담론으로 대치되어 가고 있다.
- 끝 - (충북문화예술연구소장 / 충북대교수 김승환, 2010년 2월 18일 목)
*참고문헌 Benedict Ancdrson, Imagined Communities :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London and New York ; Verso, 2006).
*참조 목요학습 21 <다문화주의>, 목요학습 94 <문화다양성>
[출처] 문화순혈주의|작성자 황익주
▶요약 및 결론
“문화적 순혈주의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 문화 다양성 개념에 집중
문화적 혼성화, 다국적 생산요소의 결합
문화다양성 개념 > 국가간 관계에 적용
> 사회 내부에 적용
*세계화 시대의 문화정책은 국제적.국내적 으로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다종다양한 유형.장르의 문화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광의의 문화 다양성 지향
>트렌드 이슈
문화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생산이 일반화 될수 있었던 배경이 되는 두가지 현상은?
퀴즈퀴즈
트렌드맵
▣ 학습성찰
21세기 문화트랜드 의 네 번째 강의를 들었다. 최근 유행하고있는 영화에 대한내용과 그전에대한 영화에대한 내용을 들었다 그리고 앞으로 유행을하게될 영화의 트렌드에대해 다문화적 요소가 드러나는 영화 그리고또한 문화간 접촉으로 인한 다양한 해프닝또는 심각한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보았고 미래에서는 보다 더 구체적인그리고 또한 보다 더 발랄한 상상력의 영화를 보고싶고 영화계에서 글로벌하게 성공하고싶다면 헐리우드를 꼭안가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