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들의 측정활동을 위한 적절한 교수원리
2.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바람개비를 돌려보아요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3.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씨앗의 모양과 크기, 종류 관찰하기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4.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물에 뜨고 가라 앉는 물건 알아보기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5.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물은 흡수 할까?흡수하지 않을까?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유아들의 측정활동을 위한 적절한 교수원리
2.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바람개비를 돌려보아요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3.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씨앗의 모양과 크기, 종류 관찰하기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4.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물에 뜨고 가라 앉는 물건 알아보기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5.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물은 흡수 할까?흡수하지 않을까?
1) 주제
2) 활동목표
3) 활동자료
4) 도입
5) 전개
6) 마무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살펴보고 물에 뜨는 물건과 가라 앉는 물건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5.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물은 흡수 할까?흡수하지 않을까?
1) 주제 :물은 흡수 할까?흡수하지 않을까?
2) 활동목표 :-물에 흡수되는 성질이 있음을 이해한다.
-물을 흡수하는 물체와 흡수하지 않는 물체를 알고 분류한다.
-물이 흡수되는 과정에서 변화의 호기심을 가지고 탐색하는 태도를 가진다.
3) 활동자료
물을 흡수하는 물건들(수건, 종이, 휴지, 신문지, 천), 물을 흡수하지 않는 물건들(고무, 지우개, 플라스틱, 알루미늄 호일)
4) 도입
생활 속에서 물을 엎질렀을때 무엇으로 닦았는지 경험을 이야기 해 본다. 물을 옮겨 닮을 때는 무엇을 사용하면 편한지, 물을 먹을 때는 무엇을 사용하는지 질문하고 이야기 해본다. 물을 흡수하는 것과 흡수하지 않는 물건이 있음을 알고 어떤 종류의 물건들이 물을 흡수하는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5) 전개
준비된 물건들을 탐색해보고 발견한 특성에 대하여 이야기 해본다. 준비된 물건들을 물에 담그거나 적셔보고 변화하는 과정 및 각각의 차이를 관찰하여 본다.“물에 넣은 물건은 점점 어떻게 되고 있니?”, “물이 스며들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니?”, “물에 넣기 전과 비교해서 어떤 점이 달라졌니?” 등의 질문을 해 보고 물을 흡수하는 물건과 그렇지 않은 물건이 있음을 분류하도록 한다. 생활속에서 물을 흡수하는 물건과 흡수하지 않는 물건이 이용 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쓰임새에 대하여 이야기 나누어 본다.
6) 마무리
물을 흡수하는 물건과 그렇지 않은 물건의 차이점을 정리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유아들의 측정활동을 위한 적절한 교수원리와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의 사례를 한 가지 이상 창의적으로 계획안을 구성해 보았다. 측정은 유아가 사물과 주변 세계를 인식하고, 측정 가능한 속성에 따라 비교하며, 순서를 지어보는 내용을 포함한다.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는 길이, 크기, 무게 등의 속성을 비교하고, 순서짓기와 임의단위로 물체 측정하기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유아의 측정 활동은 두 개의 물체를 직접 비교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측정의 경험을 통하여 탐색한 환경에 대해 질서를 세워간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측정 단위를 사용하게 되는데, 표준화된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보다 손 뼘, 블록, 나무막대, 연필 등과 같은 임의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먼저 이루어진다. 하지만 유아들이 임의 단위를 사용하면서, 객관적으로 같은 속성을 가진 사물이어도 측정 도구의 한계로 인해 결과가 달리 나오는 것을 스스로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의 결과, 표준화 단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고, 실제 표준화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이경우 외, 유아를 위한 과학 교육, 창지사, 1997.
이종희 외, 유아과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0.
김경아, 발생적 탐구 중심 과학활동을 통한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 계획안 - 물은 흡수 할까?흡수하지 않을까?
1) 주제 :물은 흡수 할까?흡수하지 않을까?
2) 활동목표 :-물에 흡수되는 성질이 있음을 이해한다.
-물을 흡수하는 물체와 흡수하지 않는 물체를 알고 분류한다.
-물이 흡수되는 과정에서 변화의 호기심을 가지고 탐색하는 태도를 가진다.
3) 활동자료
물을 흡수하는 물건들(수건, 종이, 휴지, 신문지, 천), 물을 흡수하지 않는 물건들(고무, 지우개, 플라스틱, 알루미늄 호일)
4) 도입
생활 속에서 물을 엎질렀을때 무엇으로 닦았는지 경험을 이야기 해 본다. 물을 옮겨 닮을 때는 무엇을 사용하면 편한지, 물을 먹을 때는 무엇을 사용하는지 질문하고 이야기 해본다. 물을 흡수하는 것과 흡수하지 않는 물건이 있음을 알고 어떤 종류의 물건들이 물을 흡수하는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5) 전개
준비된 물건들을 탐색해보고 발견한 특성에 대하여 이야기 해본다. 준비된 물건들을 물에 담그거나 적셔보고 변화하는 과정 및 각각의 차이를 관찰하여 본다.“물에 넣은 물건은 점점 어떻게 되고 있니?”, “물이 스며들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니?”, “물에 넣기 전과 비교해서 어떤 점이 달라졌니?” 등의 질문을 해 보고 물을 흡수하는 물건과 그렇지 않은 물건이 있음을 분류하도록 한다. 생활속에서 물을 흡수하는 물건과 흡수하지 않는 물건이 이용 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쓰임새에 대하여 이야기 나누어 본다.
6) 마무리
물을 흡수하는 물건과 그렇지 않은 물건의 차이점을 정리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유아들의 측정활동을 위한 적절한 교수원리와 실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측정활동의 사례를 한 가지 이상 창의적으로 계획안을 구성해 보았다. 측정은 유아가 사물과 주변 세계를 인식하고, 측정 가능한 속성에 따라 비교하며, 순서를 지어보는 내용을 포함한다.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는 길이, 크기, 무게 등의 속성을 비교하고, 순서짓기와 임의단위로 물체 측정하기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유아의 측정 활동은 두 개의 물체를 직접 비교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측정의 경험을 통하여 탐색한 환경에 대해 질서를 세워간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측정 단위를 사용하게 되는데, 표준화된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보다 손 뼘, 블록, 나무막대, 연필 등과 같은 임의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먼저 이루어진다. 하지만 유아들이 임의 단위를 사용하면서, 객관적으로 같은 속성을 가진 사물이어도 측정 도구의 한계로 인해 결과가 달리 나오는 것을 스스로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의 결과, 표준화 단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고, 실제 표준화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이경우 외, 유아를 위한 과학 교육, 창지사, 1997.
이종희 외, 유아과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0.
김경아, 발생적 탐구 중심 과학활동을 통한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추천자료
유아들의 측정활동을 위한 적절한 교수원리와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측정활동의 사례를 한 가지 이상 창의적으로 계획안을 구성하시오.
방송대 유아교육과 1학년 유아교육개론
[2020 유아과학교육 3공통][출처표기]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중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놀이를 중심으로 어떻게 이러한 부분을 지도할 수 있을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유아교육론D형>>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교수-학습 원리에 대해 논하고 교수-학습 원리의 활용사례에 대하여 보고 느낀 점 서술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강점과 약점에 관해 논하시오.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강점과 약점에 관해 논하시오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C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강점과 약점에 관해 논하시오.
단원 및 활동중심통합교육프로그램
[어린이집 수업지도안 모음집] 일일 교육계획안 5개(월요일-금요일) 및 활동계획안5개(월요일-금요일) 모음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