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이 성정체성 발달과정
2. 유아가 성역할 습득
3. 유아이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성역할을 습득하는데 작용하는 요인
1) 생물사회학적 이론
2) 정신분석이론
3) 사회학습이론
4) 인지발달이론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유아이 성정체성 발달과정
2. 유아가 성역할 습득
3. 유아이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성역할을 습득하는데 작용하는 요인
1) 생물사회학적 이론
2) 정신분석이론
3) 사회학습이론
4) 인지발달이론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의 획득과 더불어 완성된다.
4. 시사점
인간은 남성과 여성 중 하나의 생물학적 성(sex)을 가지고 태어나며, 한 개인에 대한 사회적 기대로서의 성(gender)과 이에 대한 자신의 자각과 인식의 성정체감을 지니게 된다. 반면에 사회는 남성과 여성이 각기 다른 특징의 심리적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고 믿으며, 이에 따라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 고정관념을 형성한다. 또한 사회는 그 구성원들이 남성과 여성이라는 구분에 상응하는 사고나 정서 및 행동을 나타내기를 기대한다. 이와 같이 사회가 요구하고 기대하는 역할에 동일시하는 정도에 따라서 자신의 성역할 정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성역할 정체감이란 개인적 정체감의 독특한 측면으로서 사회가 그 성에 적절하다고 인정하는 특성이나 태도 혹은 흥미와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성역할 정체감은 ‘남성적(masculine)’, 혹은 ‘여성적(feminie)’의 2개 개념으로 이분되었다. 남성성(masculinity)은 도구적, 주장적, 독립적, 합리적, 성취적, 적극적, 주도적, 경쟁적, 비감정적인 특성과 같이 전통적인 남성의 역할과 관련된 특성을 의미하며, 여성성(feminity)은 따뜻하고, 정서표현적, 수동적, 관계지향적, 감정적, 협동적, 직관적, 양육적, 민감하고 의존적인 특성과 같이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과 관련된 특성들을 의미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유아이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유아가 성역할을 습득하는데 작용하는 요인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전통적인 성역할 발달 이론들은 아동이 자신의 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성에 적합한 역할들을 어떻게 발달시켜 가는가를 관심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많은 발달심리학자들은 지나치게 고정된 성역할 기준은 남녀 아동 모두의 성역할 발달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Bem은 전통적 성역할 기대는 개인의 성장을 제한하기 때문에 극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을 단일 차원의 양극단으로 보지 않고 남성과 여성 모두 양성의 특성을 공유할 수 있다고 보는 Bem의 양성성 개념이 도입되었다.
참고문헌
김태련 외, 발달심리학, 박영사, 1997.
김지아,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손나현,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 시사점
인간은 남성과 여성 중 하나의 생물학적 성(sex)을 가지고 태어나며, 한 개인에 대한 사회적 기대로서의 성(gender)과 이에 대한 자신의 자각과 인식의 성정체감을 지니게 된다. 반면에 사회는 남성과 여성이 각기 다른 특징의 심리적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고 믿으며, 이에 따라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 고정관념을 형성한다. 또한 사회는 그 구성원들이 남성과 여성이라는 구분에 상응하는 사고나 정서 및 행동을 나타내기를 기대한다. 이와 같이 사회가 요구하고 기대하는 역할에 동일시하는 정도에 따라서 자신의 성역할 정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성역할 정체감이란 개인적 정체감의 독특한 측면으로서 사회가 그 성에 적절하다고 인정하는 특성이나 태도 혹은 흥미와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성역할 정체감은 ‘남성적(masculine)’, 혹은 ‘여성적(feminie)’의 2개 개념으로 이분되었다. 남성성(masculinity)은 도구적, 주장적, 독립적, 합리적, 성취적, 적극적, 주도적, 경쟁적, 비감정적인 특성과 같이 전통적인 남성의 역할과 관련된 특성을 의미하며, 여성성(feminity)은 따뜻하고, 정서표현적, 수동적, 관계지향적, 감정적, 협동적, 직관적, 양육적, 민감하고 의존적인 특성과 같이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과 관련된 특성들을 의미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유아이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유아가 성역할을 습득하는데 작용하는 요인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전통적인 성역할 발달 이론들은 아동이 자신의 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성에 적합한 역할들을 어떻게 발달시켜 가는가를 관심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많은 발달심리학자들은 지나치게 고정된 성역할 기준은 남녀 아동 모두의 성역할 발달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Bem은 전통적 성역할 기대는 개인의 성장을 제한하기 때문에 극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을 단일 차원의 양극단으로 보지 않고 남성과 여성 모두 양성의 특성을 공유할 수 있다고 보는 Bem의 양성성 개념이 도입되었다.
참고문헌
김태련 외, 발달심리학, 박영사, 1997.
김지아,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손나현,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추천자료
아동기 정신건강 보고서(자아 정체성과 사회성, 아동방임 및 학대, 부모와 자녀관계 문제)
아동발달의 이해 요약
유아기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유아가 성역할을 습득하는데 작용하는 요인에 대해 서술하시오. ...
교육심리학 가드너의 다중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유아기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유아가 성역할을 습득하는데 작용하는 요인에 대해 서술하시오
[성역할발달이론] 성전형화와 성역할의 발달에 대한 이론 - 성역할발달의 생물사회적 이론, ...
[유아기 사회정서발달] 유아의 사회적 행동의 발달 유아기 도덕성 발달 및 성역할 발달 놀이발달
2020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 유아발달
[2022 영유아발달4공통] 1.행동주의 이론과 사회학습 이론을 대표하는 파블로프, 왓슨, 스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