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것이 왔다! - ≪한샘(Hanssem) vs 이케아(IKEA) 비교분석≫ (생산,재무,마케팅,디자인경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올 것이 왔다! - ≪한샘(Hanssem) vs 이케아(IKEA) 비교분석≫ (생산,재무,마케팅,디자인경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올 것이 왔다!


Ⅰ. 서론
 -Motivation
 -기업소개

Ⅱ. 본론
 -이케아의 생산
 - 한샘의 생산
 -재무
 -마케팅
 -디자인경영

Ⅲ.결론
 -이케아를 위해
 -한샘을 위해

본문내용

랜드 프리미엄 화를 위한 디자인경영을 실천하고 있고 이케아는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요소를 강조한 디자인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Ⅲ.결론
-이케아를 위해
다국적 가구기업인 이케아가 드디어 한국에 상륙한다. 그 기대만큼이나 오픈 전부터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일부 제품이 미국 제품에 2배 가까이 가격이 책정되었고 현재 판매중인 제품 중에서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되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감정을 건드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케아 불매운동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다. 즉각적인 대응을 했지만 한국인의 감정을 건드린 이케아에 대한 불만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한국시장은 만만한 시장이 아니다. 2005년 유럽의 유명 가구인테리어 DIY 전문매장인 B&Q가 한국 시장에 들어왔었다. 그런데 2년 만에 바로 철수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국내 소비자들은 완제품이 아닌 반제품 형태로의 가구조립이라는 문화에 불편함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가구시장의 20%가 브랜드 가구이고 나머지 80%가 중국산 저가 가구인 것을 생각해보면 이케아의 가격경쟁력은 한국에서 크게 높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시장 성공의 어려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케아는 새로운 국가에 론칭 할 때 마다 성공여부에 대해 비관적 의견이 지배적이다. 결국에는 다 성공했다. 게다가 한국과 유사한 일본이라는 가구시장에서 한 번의 실패를 경험하고 다시 현지화하여서 자리를 잡은 사례도 있다. 이미 유사한 시장에 대한 경험이 있다는 것은 이케아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이미 우리나라의 20-30대층에게 이케아는 낯선 브랜드가 아니다. 젊은 층에서는 이미 높은 인지도와 브랜드 파워를 갖고 있다. 예전 혼수로 가구를 사면 몇 십년간 바꾸지 않은 시대에서 이제는 작은 소품으로 인테리어에 변화를 주는 시대가 왔다. 또 크고 비싼 가구를 필요로 하지 않은 1인 가구의 등장과 나 홀로 족의 증가로 인해서 이미 사회문화적으로 이케아가 손쉽게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은 마련되어 있다. 다만 높은 배송&조립비와 배송시스템에 적응되어있는 국내소비자들에게 멀리 외곽에 떨어져 있는 유통채널에 어떻게 접근하게 만들 것인가 하는 게 이케아의 성공여부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매장에는 저렴한 레스토랑과 여가공간 등이 있어서 매장을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만든 것과 가구전문점으로 분류되어 의무휴일 등 마트에 적용되는 규제를 피해가는 본의 아닌 특혜, 그리고 이케아가 가진 브랜드파워, 매년 더 깊어지고 수정되는 현지화전략을 볼 때 이케아의 ‘열풍’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예상해 본다.
-한샘을 위해
어떤 사람들은 대중적이고 저가 브랜드인 이케아의 상륙은 비 브랜드 가구업계에만 큰 영향이 있지 국내 브랜드 가구업계에는 크게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이게 큰 착각이라고 생각한다. 업종은 다르지만 최신 트랜드와 저렴한 가격으로 페스트 패션을 이끌고 있는 자라나 유니클로의 국내진출과 폭발적인 성장을 지켜보자면 최신 트렌드와 저렴한 가격으로 가구계의 페스트 리빙을 주도하고 있는 이케아의 한국 진출 역시 무섭기만 하다. 이케아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우리나라 사람들도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다. 저가 브랜드라고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럽 브랜드를 선호하는 특징을 보았을 때 오히려 저가 브랜드가 아닌 프리미엄 브랜드 급으로 인식할 여지가 충분하다. 그렇게 된다면 한샘은 이케아와 직접적인 대결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또 한샘이 주방인테리어, 가구 등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것처럼 이케아 역시 1만여 개에 다양한 제품이 존재한다. 이를 인지한 한샘은 비교우위에 앞선 품질과 서비스 강화에 역점을 둬서 고객감동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영업, 시공, 물류, 제조, A/S등 고객 서비스 인력을 대폭 확대하여 이케아가 갖고 있지 못한 자신들만의 강점을 더욱 특성화 시키겠다는 것이다. 이케아가 다른 나라보다 높은 가격책정을 한 것을 보면 한국에서만큼은 이케아의 최대 강점인 가격경쟁력이 약하다고 생각한다. 국내 브랜드 제품과 소비자가 부담을 느낄 정도로 가격의 큰 차이가 나지 않고 오히려 배송&조립비용이 포함되면 가격은 역전된다.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굉장히 잘 발달되어있는 우리나라에서 이케아가 갖고 있지 못한 전자상거래 같은 것들을 더욱 특화해 나가야 한다. 자신이 직접 조립하는 이케아의 DIY 판매방식은 우리나라에서 아직 생소하다. 결국 가격이 비슷하면 조금 더 비싸더라도 시간을 들이지 않는 품질 좋은 완제품을 구입할 사람들은 더욱 많아질 것이다. 한샘의 경영진들은 오래 전부터 이케아의 한국시장 진출에 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품질과 서비스강화, 디자인 경영의 역량 강화 등 이케아에게 앞설 수 있는 좋은 무기들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정부나 지자체에서 가구업계에 관심을 가지고 수출지원을 확대해 준다거나 한국 가구산업의 현안 문제인 역관세 구조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면 이케아의 열풍을 잠재우고 기회를 발판으로 삼아 글로벌 기업으로 한 단계 더 높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 한샘 www.hanssem.com
- 이케아 코리아 www.ikea.kr
- 이케아, 불편을 팔다 / 뤼디거 융블루트 지음 / 2013
- 한국 디자인 경영 성공 요소 연구분석을 통한 중국 디자인 경영 도입 방안 레노버(Lenovo)사를 중심으로 / 저자 : 김민선 / 2014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02276731
- http://www.dailian.co.kr/news/view/472892/?sc=naver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100517091419999&outlink=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0&aid=0000035971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21326261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1.05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