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Motivation
현 시장 내 경쟁
공급자의 힘 / 구매자의 힘
대체제의 위협
신규 진입자의 힘
뱅크월렛 카카오의 경쟁세력 모형 & 결론
IT를 통한 경쟁우위 전략
현 시장 내 경쟁
공급자의 힘 / 구매자의 힘
대체제의 위협
신규 진입자의 힘
뱅크월렛 카카오의 경쟁세력 모형 & 결론
IT를 통한 경쟁우위 전략
본문내용
과목명/분반:
학번/이름:
학과:
제출일:
전자지갑이란 기존의 동전과 지폐가 아닌 전자수단을 이용해서 재화와 용역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뜻한다. 즉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던 두툼한 지갑을 이제는 모바일 기계 하나로 대체 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IT기술을 접목해서 지갑이 가지지 못한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 한다. 단 3줄로 전자지갑을 간단하게 설명했지만 이 짧은 설명만으로도 굉장히 흥미롭고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자지갑 시장은 우리나라에서 예전부터 존재해 왔었다. 3년 전인 2010년에 SK텔레콤이 모바일 결제를 시작했으나 인프라의 부족, 신용카드의 강세, 불편함 등으로 잘 사용해오지 않았다. 3년이 지난 2014년 지금,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에 힘입어 모바일 결제금액이 크게 증가(그림1)하였고 전자 지갑 이용자 수는 2012년 5월에 404만명에 비해 지난 5월기준 1135만명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이동통신사, 카드사, 제조사등 다양한 기업들이 전자지갑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또 애플, 구글, 페이스북등의 글로벌 IT기업들의 전자지갑 시장 진출을 발표하고 있고 호주, 필리핀 등등의 해외에서는 나라 자체적으로 핀테크(Financial+Technique)기업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 정책도 나오고 있다.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도 증가해서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에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규모는 연평균 31% 증가함으로써 다른 분야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림1. 모바일 결제금액의 증가>카카오톡 http://www.kakao.com/ko/press/news
<그림2. 뱅크월렛 카카오의 구조>
이러한 전자지갑 시장에 매력을 느낀 국민메신저 ‘카카오톡’이 전자지갑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그것이 바로 ‘뱅크월렛 카카오’이다. 국민·신한·우리은행을 비롯한 전국 15개 은행과 카카오톡이 손잡고 추진하는 전자지갑 서비스이다. 뱅크월렛 카카오(이하 뱅·카)는 사용자가 가상의 지갑을 만들고 카카오톡 사용자와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소액 송금, 온·오프라인 소액결제, 은행 자동화기기 이용등 3가지 이다. 하루 충전한도는 50만원이며 이체한도는 10만원이다. 이미 기술개발은 끝마친 상태이고 보안성심사를 받는중이라 심사가 끝나는 10월 말에 서비스가 상용화될 예정이다. 세계적으로 급성장 하고 있는 매력적인 전자지갑 시장에 뛰어들은 우리나라의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 이미 많은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는 전자지갑 시장에서 뱅·카는 어떻게 제공되는지 또 전자지갑 시장에는 어떤것들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미지근한 전자지갑 시장을 뜨겁게 불태울 성공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전자지갑 서비스 상황 표 >
출저: 이-투데이 금융
현재 전자지갑 시장은 이미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춘추전국시대이다. 이동통신사, 카드사, 유통사, 단말기제조사, IT기업등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단순히 입/출금, 송금의 기능뿐만 아니라 바코드, 지문결제와 같은 다양한 결제수단과 브랜드 제휴, 포인트적립, 할인쿠폰 등등의 혜택까지 제공하고 있다. 독과점의 시장이라고 보기보다는 대규모, 소규모 업체가 적절하게 섞여서 시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돋보이는 것은 전자지갑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의 상품들이다. 가장 먼저 전자지갑 시장에 투자한 만큼 플랫폼이 잘 갖춰져 있고 가입자도 많은 상황이다. 또 현재 전자지갑 시장은 스마트폰 지갑이라고 불릴 만큼 전부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면을 봤을 때 이동통신사들의 전자지갑은 소비자들이 접근하기 가장 좋은 서비스중 하나이다. SK텔레콤의 스마트월렛은 현재까지 가장 많은 700만명의 가입자가 존재하고 170여개의 브랜드가 제휴중이다. SKT텔레콤을 바로 뒤
학번/이름:
학과:
제출일:
전자지갑이란 기존의 동전과 지폐가 아닌 전자수단을 이용해서 재화와 용역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뜻한다. 즉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던 두툼한 지갑을 이제는 모바일 기계 하나로 대체 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IT기술을 접목해서 지갑이 가지지 못한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 한다. 단 3줄로 전자지갑을 간단하게 설명했지만 이 짧은 설명만으로도 굉장히 흥미롭고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자지갑 시장은 우리나라에서 예전부터 존재해 왔었다. 3년 전인 2010년에 SK텔레콤이 모바일 결제를 시작했으나 인프라의 부족, 신용카드의 강세, 불편함 등으로 잘 사용해오지 않았다. 3년이 지난 2014년 지금,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에 힘입어 모바일 결제금액이 크게 증가(그림1)하였고 전자 지갑 이용자 수는 2012년 5월에 404만명에 비해 지난 5월기준 1135만명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이동통신사, 카드사, 제조사등 다양한 기업들이 전자지갑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또 애플, 구글, 페이스북등의 글로벌 IT기업들의 전자지갑 시장 진출을 발표하고 있고 호주, 필리핀 등등의 해외에서는 나라 자체적으로 핀테크(Financial+Technique)기업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 정책도 나오고 있다.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도 증가해서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에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규모는 연평균 31% 증가함으로써 다른 분야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림1. 모바일 결제금액의 증가>카카오톡 http://www.kakao.com/ko/press/news
<그림2. 뱅크월렛 카카오의 구조>
이러한 전자지갑 시장에 매력을 느낀 국민메신저 ‘카카오톡’이 전자지갑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그것이 바로 ‘뱅크월렛 카카오’이다. 국민·신한·우리은행을 비롯한 전국 15개 은행과 카카오톡이 손잡고 추진하는 전자지갑 서비스이다. 뱅크월렛 카카오(이하 뱅·카)는 사용자가 가상의 지갑을 만들고 카카오톡 사용자와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소액 송금, 온·오프라인 소액결제, 은행 자동화기기 이용등 3가지 이다. 하루 충전한도는 50만원이며 이체한도는 10만원이다. 이미 기술개발은 끝마친 상태이고 보안성심사를 받는중이라 심사가 끝나는 10월 말에 서비스가 상용화될 예정이다. 세계적으로 급성장 하고 있는 매력적인 전자지갑 시장에 뛰어들은 우리나라의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 이미 많은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는 전자지갑 시장에서 뱅·카는 어떻게 제공되는지 또 전자지갑 시장에는 어떤것들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미지근한 전자지갑 시장을 뜨겁게 불태울 성공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전자지갑 서비스 상황 표 >
출저: 이-투데이 금융
현재 전자지갑 시장은 이미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춘추전국시대이다. 이동통신사, 카드사, 유통사, 단말기제조사, IT기업등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단순히 입/출금, 송금의 기능뿐만 아니라 바코드, 지문결제와 같은 다양한 결제수단과 브랜드 제휴, 포인트적립, 할인쿠폰 등등의 혜택까지 제공하고 있다. 독과점의 시장이라고 보기보다는 대규모, 소규모 업체가 적절하게 섞여서 시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돋보이는 것은 전자지갑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의 상품들이다. 가장 먼저 전자지갑 시장에 투자한 만큼 플랫폼이 잘 갖춰져 있고 가입자도 많은 상황이다. 또 현재 전자지갑 시장은 스마트폰 지갑이라고 불릴 만큼 전부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면을 봤을 때 이동통신사들의 전자지갑은 소비자들이 접근하기 가장 좋은 서비스중 하나이다. SK텔레콤의 스마트월렛은 현재까지 가장 많은 700만명의 가입자가 존재하고 170여개의 브랜드가 제휴중이다. SKT텔레콤을 바로 뒤
추천자료
다음카카오 뱅크월렛카카오(BankWallet Kakao) 서비스 분석
데이터통신 - 핀테크의 장단점과 국내의 현황연구 조사
포터의 경쟁세력 완성(블루클럽사례)
마이클포터의 5세력 모형을 참고하여 현대 기업활동에서 소비자의 교섭력에 대해서 토론하시오.
[ 마이클포터의 5세력 모형(5Force Model)에 대해 설명하고 정보시스템이 가질수 있는 역할을 제시하십시오
마이클포터의 5세력 모형을 참고하여 현대 기업활동에서 소비자의 교섭력에 대하여 토론하시오.
마이클포터의 5세력 모형(5 Force Model)에 대해 설명하고, 정보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역할을 제시하십시오.
마이클포터의 5세력 모형(5 Force Model)에 대해 설명하고, 정보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역할을 제시하십시오.
대한항공 ( 마이클 포터의 경쟁세력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