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로봇산업의 발전방향과 향후 전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요국 로봇산업의 발전방향과 향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글의 로봇산업 진출
2. 로봇산업의 성장 전망 및 연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
3. 주요국의 로봇산업 발전 방향
4. 우리 산업계의 지향점

본문내용

도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보기술, 기계가공, 첨단기계부품 등 로봇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산업분야에서 이미 큰 강점을 보이고 있고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는 미국, 일본, 독일과 더불어 선도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2013년 전세계에 판매된 16만 2천대의 산업용 로봇 중 70%가 미국, 독일, 일본, 중국, 한국에 팔렸다. 특히, 우리나라는 노동자 1만명당 산업용 로봇 대수를 일컫는 ‘로봇밀도’가 396대로 세계 1위 일본은 332대, 독일 273대, 스웨덴 164대, 미국 141대, 중국 23대로 조사대상 45개국의 평균은 58대 수준임.
를 달리고 있다. 이것은 곧 우리나라가 산업용 로봇을 활용하여 다른 제품을 많이 생산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우리 산업계의 지향점
로봇이 다른 제품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특징은 산업용, 군사용, 가정용 로봇 등은 물론 기타 제반 공산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로봇이 로봇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 활동의 근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로봇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로봇이 자체적으로 번식하고 성장하는 하나의 ‘종(種)’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는 과학자들도 있다. 로봇이 로봇을 생산하는 시대가 도래하면, 로봇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강점인 산업용 로봇 근간기술을 보다 확고히 하고 고부가가치 서비스로봇 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two track 전략을 전개해야 향후 팍스 로보티카(Pax Robotica) 산업계 전체가 로봇을 중심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예측에 근거한 조어.
시대에서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1.0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