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음식을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
102. 지혜서, 자기 발전서 같은 책을 좋아한다.
103. 배려없이 함부로 하는 말, 오해를 혐오하고, 아름답고 예쁜 말, 배려하는 말을 좋아한다. 104. 자신을 아끼고 사랑한다. 105. 조용한 것을 좋아한다.
106. 무념무상, 묵언수행을 좋아한다. 107. 음악, 미술 등 예술을 좋아하고 잘한다.
108. 미술심리상담사, 심리상담사, 어린이집 원장, 사회복지사, 평생교육사 등의 자격증을 노력하여 획득하였다.
109. 매사 발전하려고 노력한다.
* 바람직한 인간관계
① 사실 : 확실한 것만 이야기 해야 한다.
② 진실 : 진실되고 옳은 것을 이야기 해야 한다.
③ 적절한 \'때\'를 고려 : 올바르고 적절한 때를 고려하여야 한다. 타이밍이 맞으면 효과↑
④ 서로 이득 (win-win) : 나→남. 나 자신을 먼저 바로 세우고 사랑해야, 남을 도와주고 사랑할 수 있다. 서로 이득이 있어야 관계가 유지된다.
⑤ 적절한 표현 : 거부감 주지 않는 온화한 말을 해야 한다.
⑥ 하지 말아야 할 것 : 비밀을 말하지 않는다. 결국 입을 통해 퍼지게 되어 있다.
거짓말, 중상 모략, 이간질, 실없고 쓸데없는 말을 하지 않아야 한다. → 상처
- 숨기며 사는 나의 마음은 화병이 된다. 계란을 밖에서 깨뜨려 주길 바라지 말고, 내 자신이 스스로 깨뜨려야 한다. 자신의 감정 표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된다.
- 사람들은 나의 생각과 감정이 정답인지 알고 산다.
(나의 생각 / 감정을 분리하는 과정 수행)
- 내안의 나를 먼저 사랑해야 남을 도울 수 있다.
- 상대방의 말을 존중하며 들어주는 것은 중요. (고개를 끄덕 끄덕)
- 칭찬이라도 없는 사람 얘기는 흉이 될 수 있다.
- 세상에 넌더리가 난다는 것은, 세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시작이며, 깨달음으로 가는길이다. 넌더리가 나야 깨달을 수 있게 된다. 넌더리를 통해 긍정으로 받아들이는 것 중요.(긍정의 힘)
- 나를 불편하게 하는 사람이 나를 공부시킨다. 자비 명상을 통해 불편하게 만드는 것을 무너뜨린다.
- 나의 장점을 알고 말해봄으로써 자존감이 향상된다.
◎ 질문하고 답하기
1. 장점 2. 좋아하는 음식 3. 좋아하는 노래
4. 좋아하는 영화 5. 좋아하는 드라마 6. 자신의 보물 1호는
7. 좋아하는 계절 8. 가족 중 좋아하는 사람-왜
9. 나의 꿈 10. 많은 돈이 생긴다면 11. 좋아하는 색깔
12. 존경하는 꿈 13. 내가 궁금해요 14. 비오는 날 하고 싶은 것
15. 고향. 어디서 사나 16. 가장 생각나는 사람 17. 10년 후 나의 모습
18. 가장 편안한 사람 19. 좋아하는 물건 20. 베풀고 난 후 나의 감정은
* 나의 가장 멋진 점
-엄마 ① 코디를 잘하고 멋을 안다. ② 부모에게 상처받지 않도록 동생들을 사랑으로 보살폈다. ③ 살림을 깔끔하게 도와준다.
- 여동생 ① 야무지다. ② 동안이다. ③ 아이들을 좋아하고 잘 돌본다.
- 남동생 ① 솔직담백하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숨기지 않고 하는 진실된 사람이다. 그러나 이런 점 때문에 가끔은 세속적인 세상의 모습에 상처받기도 한다.
② 책임감이 강하다.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에 대해서는 끝까지 완수하는 착실한 사람이다. 그래서 가끔은 책임질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단도직입적으로 거부해 버리는 모습이 있을 수 있으나 오해는 금물이다.
③ 자신을 꾸밀 줄 아는 사람이다. 자신의 개성과 멋을 알고 알차게 즐기는 패션니스트이다.
- 남동생 ① 달력 스케쥴 관리를 하며 계획적꼼꼼하다. ② 학업에 열정적이다. ③ 항상 주변인에게 좋은 조언을 해주고 고민 상담을 도와준다.
*과제: 가족 긍정 명상 (장점)
- 행복한 인연이든, 고통스러운 인연이든 자연스럽게 순응하며 따라가다 보면 그것이 행복이다.
- 사람마다 어떤 한 단어를 보더라도 각자 느끼는 것이 다 다르다.
- 참선은 직접 체험해야 한다. 다 끌어내야 치료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망상이고, 끓어 오르는 것이 많다.
- 공감이 치유된다.(끄덕끄덕, 네네 하며 공감 표현, 안아주기) vs 가르치려 하지 마라.
- 부자로 살고 싶다면 아버지와 관계를 순탄이 풀어야 한다.
대인관계가 순탄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관계를 풀어야 한다.
이러한 기초 작업을 하면 긍정성으로 무엇이든지 다 풀어진다.
- 치유 → 치유하여 누군가를 도와주는 기술을 익힘 → 이생의 모든 인연을 만나 행복하도록 돕는다.
- 고통은 집착 때문이다. 나의 고통은 어디서부터 비롯 되었는가? 끊임없이 그 자리에 ‘내’가 있기 때문이다. ‘진짜 나’를 찾아야 한다. 정답은 없다.
*과제: (나의 긍정적인 부분을 알아가는 시간) 나의 일대기 쓰기, 긍정의 그래프 그리기
가족명상(장점, 칭찬 등) 편지 쓰기 → 편지 답장 받기
- 알아차림
1. 상황: ex. 내가 너 때문에 병이 낫다.
2. 감정: ex. 싫은 감정. (감정을 스스로 정리할 줄 알아야 한다.)
3. 생각: ex. 또 하네. 제발 그만 하지.
4. 갈망
행동
- 고집멸도 p49
‘가시나무’ 조성모 노래 “내 속에 내가 너무도 많아서 당신의 쉴곳이 없네. 내속에 헛된 바램이 많아서 당신의 편안할 곳 없네”
나와 상대의 가시로 서로 찔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연습이 필요하다. 이론이 아니다.
자비선행연습 → 행복지수 up. so 안의 긍정성 들여다 보는 것 → 인생이 긍정으로 간다.
108 자비 명상
단어 하나에도 다 다른 감정을 느낀다. 말이 두려운 이유이다. 말은 맑은기운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뚜렷한 단어로 말해야 한다. 기운이 막혀 있으면 말이 들어가지 않는다.
처음. 중간. 끝도 좋게 하라. 있는 그래도 좋게 하라.
‘그럴 수도 있지’ 라고 하면 행복해지고, ‘그럴수 없지’라고 하면 불행해진다.
고집멸도란, 괴로움에서 벗어나 늘 행복하고 늘 좋은날의 행복까지 끌어주는 것. 괴로움을 도의 경지로. 고통의 원인은 ‘집착하는 마음’ 때문에 생긴다. 근원은 ‘나’, ‘내 생각’. 나를 빼면 아무렇지 않다. 나만 눈감으면 아무렇지 않다. 모든 것은 내 생각으로 보기 때문이다. 자기 잣대에서
102. 지혜서, 자기 발전서 같은 책을 좋아한다.
103. 배려없이 함부로 하는 말, 오해를 혐오하고, 아름답고 예쁜 말, 배려하는 말을 좋아한다. 104. 자신을 아끼고 사랑한다. 105. 조용한 것을 좋아한다.
106. 무념무상, 묵언수행을 좋아한다. 107. 음악, 미술 등 예술을 좋아하고 잘한다.
108. 미술심리상담사, 심리상담사, 어린이집 원장, 사회복지사, 평생교육사 등의 자격증을 노력하여 획득하였다.
109. 매사 발전하려고 노력한다.
* 바람직한 인간관계
① 사실 : 확실한 것만 이야기 해야 한다.
② 진실 : 진실되고 옳은 것을 이야기 해야 한다.
③ 적절한 \'때\'를 고려 : 올바르고 적절한 때를 고려하여야 한다. 타이밍이 맞으면 효과↑
④ 서로 이득 (win-win) : 나→남. 나 자신을 먼저 바로 세우고 사랑해야, 남을 도와주고 사랑할 수 있다. 서로 이득이 있어야 관계가 유지된다.
⑤ 적절한 표현 : 거부감 주지 않는 온화한 말을 해야 한다.
⑥ 하지 말아야 할 것 : 비밀을 말하지 않는다. 결국 입을 통해 퍼지게 되어 있다.
거짓말, 중상 모략, 이간질, 실없고 쓸데없는 말을 하지 않아야 한다. → 상처
- 숨기며 사는 나의 마음은 화병이 된다. 계란을 밖에서 깨뜨려 주길 바라지 말고, 내 자신이 스스로 깨뜨려야 한다. 자신의 감정 표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된다.
- 사람들은 나의 생각과 감정이 정답인지 알고 산다.
(나의 생각 / 감정을 분리하는 과정 수행)
- 내안의 나를 먼저 사랑해야 남을 도울 수 있다.
- 상대방의 말을 존중하며 들어주는 것은 중요. (고개를 끄덕 끄덕)
- 칭찬이라도 없는 사람 얘기는 흉이 될 수 있다.
- 세상에 넌더리가 난다는 것은, 세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시작이며, 깨달음으로 가는길이다. 넌더리가 나야 깨달을 수 있게 된다. 넌더리를 통해 긍정으로 받아들이는 것 중요.(긍정의 힘)
- 나를 불편하게 하는 사람이 나를 공부시킨다. 자비 명상을 통해 불편하게 만드는 것을 무너뜨린다.
- 나의 장점을 알고 말해봄으로써 자존감이 향상된다.
◎ 질문하고 답하기
1. 장점 2. 좋아하는 음식 3. 좋아하는 노래
4. 좋아하는 영화 5. 좋아하는 드라마 6. 자신의 보물 1호는
7. 좋아하는 계절 8. 가족 중 좋아하는 사람-왜
9. 나의 꿈 10. 많은 돈이 생긴다면 11. 좋아하는 색깔
12. 존경하는 꿈 13. 내가 궁금해요 14. 비오는 날 하고 싶은 것
15. 고향. 어디서 사나 16. 가장 생각나는 사람 17. 10년 후 나의 모습
18. 가장 편안한 사람 19. 좋아하는 물건 20. 베풀고 난 후 나의 감정은
* 나의 가장 멋진 점
-엄마 ① 코디를 잘하고 멋을 안다. ② 부모에게 상처받지 않도록 동생들을 사랑으로 보살폈다. ③ 살림을 깔끔하게 도와준다.
- 여동생 ① 야무지다. ② 동안이다. ③ 아이들을 좋아하고 잘 돌본다.
- 남동생 ① 솔직담백하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숨기지 않고 하는 진실된 사람이다. 그러나 이런 점 때문에 가끔은 세속적인 세상의 모습에 상처받기도 한다.
② 책임감이 강하다.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에 대해서는 끝까지 완수하는 착실한 사람이다. 그래서 가끔은 책임질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단도직입적으로 거부해 버리는 모습이 있을 수 있으나 오해는 금물이다.
③ 자신을 꾸밀 줄 아는 사람이다. 자신의 개성과 멋을 알고 알차게 즐기는 패션니스트이다.
- 남동생 ① 달력 스케쥴 관리를 하며 계획적꼼꼼하다. ② 학업에 열정적이다. ③ 항상 주변인에게 좋은 조언을 해주고 고민 상담을 도와준다.
*과제: 가족 긍정 명상 (장점)
- 행복한 인연이든, 고통스러운 인연이든 자연스럽게 순응하며 따라가다 보면 그것이 행복이다.
- 사람마다 어떤 한 단어를 보더라도 각자 느끼는 것이 다 다르다.
- 참선은 직접 체험해야 한다. 다 끌어내야 치료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망상이고, 끓어 오르는 것이 많다.
- 공감이 치유된다.(끄덕끄덕, 네네 하며 공감 표현, 안아주기) vs 가르치려 하지 마라.
- 부자로 살고 싶다면 아버지와 관계를 순탄이 풀어야 한다.
대인관계가 순탄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관계를 풀어야 한다.
이러한 기초 작업을 하면 긍정성으로 무엇이든지 다 풀어진다.
- 치유 → 치유하여 누군가를 도와주는 기술을 익힘 → 이생의 모든 인연을 만나 행복하도록 돕는다.
- 고통은 집착 때문이다. 나의 고통은 어디서부터 비롯 되었는가? 끊임없이 그 자리에 ‘내’가 있기 때문이다. ‘진짜 나’를 찾아야 한다. 정답은 없다.
*과제: (나의 긍정적인 부분을 알아가는 시간) 나의 일대기 쓰기, 긍정의 그래프 그리기
가족명상(장점, 칭찬 등) 편지 쓰기 → 편지 답장 받기
- 알아차림
1. 상황: ex. 내가 너 때문에 병이 낫다.
2. 감정: ex. 싫은 감정. (감정을 스스로 정리할 줄 알아야 한다.)
3. 생각: ex. 또 하네. 제발 그만 하지.
4. 갈망
행동
- 고집멸도 p49
‘가시나무’ 조성모 노래 “내 속에 내가 너무도 많아서 당신의 쉴곳이 없네. 내속에 헛된 바램이 많아서 당신의 편안할 곳 없네”
나와 상대의 가시로 서로 찔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연습이 필요하다. 이론이 아니다.
자비선행연습 → 행복지수 up. so 안의 긍정성 들여다 보는 것 → 인생이 긍정으로 간다.
108 자비 명상
단어 하나에도 다 다른 감정을 느낀다. 말이 두려운 이유이다. 말은 맑은기운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뚜렷한 단어로 말해야 한다. 기운이 막혀 있으면 말이 들어가지 않는다.
처음. 중간. 끝도 좋게 하라. 있는 그래도 좋게 하라.
‘그럴 수도 있지’ 라고 하면 행복해지고, ‘그럴수 없지’라고 하면 불행해진다.
고집멸도란, 괴로움에서 벗어나 늘 행복하고 늘 좋은날의 행복까지 끌어주는 것. 괴로움을 도의 경지로. 고통의 원인은 ‘집착하는 마음’ 때문에 생긴다. 근원은 ‘나’, ‘내 생각’. 나를 빼면 아무렇지 않다. 나만 눈감으면 아무렇지 않다. 모든 것은 내 생각으로 보기 때문이다. 자기 잣대에서
키워드
추천자료
[트라우마] 트라우마의 사례와 극복방법 분석
정신분열증의 정의 실태 원인 특징 세부유형 5가지
유아교사의 건강
알콜중독자 가족문제와 대책
알코올중독자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관한 고찰
보건교육 B형 중년 남성의 운동증진교육
[생활과건강 2024] 1.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에서 제시하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서술하고, 각각의 중요성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 2. 우울증이 있는 사람의 신체적 건강과 안전을 위한 관리에 대해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행방법과 합리적인 이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방송대 보건교육 B형 중년 여성의 갱년기 건강과 운동증진교육
스포츠심리 및 트레이닝 분야에서 배드민턴 선수들의 불안심리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 을 주제로 소논문 작성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