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얄타회담이 가지는 의미
본론 1 얄타회담까지의 국가 정세
2 얄타회담의 내용
3 얄타회담이 미치는 영향과 후에 국가정세
결론 동아시아에서의 얄타회담의 의미
본론 1 얄타회담까지의 국가 정세
2 얄타회담의 내용
3 얄타회담이 미치는 영향과 후에 국가정세
결론 동아시아에서의 얄타회담의 의미
본문내용
은 절대로 아니지만, 확실히 공산당의 승리에 어느정도 일조한 것을 부정할 수는 없겠다.
2. 몽골
몽골은 청시대에 신해혁명 당시 독립하여 자치국가가 되지만 다시 중국에 통합되었다. 하지만 중일전쟁 중 자치를 시행하고 사실상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난다. 중국은 당연히 전쟁 후 통일된 중국을 원하며 몽골도 중국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당시 중국은 국민당의 승리가 예상되고 있었고 몽골은 공산주의 정권이 자치를 실행하고 있었다. 여기서 소련은 당연히 몽골의 현상유지를 바라게 되었으며 중국의 국민당은 소련과 사이가 틀어지는 것을 두려워했고 몽골의 현상유지를 수락하게 된다.
3. 한국
러시아는 한국의 북쪽을 전부 점령했으며 사실상 한반도 전체를 점령할 수도 있었지만 미국의 제안으로 인해 38선을 기준으로 한국은 분단이 된다. 이로써 북쪽엔 공산주의 정부 남쪽엔 자본주의 정부가 세워지고 분단국이 된다.
4. 일본
일본의 사할린과 쿠릴열도는 러시아에게 넘어갔다. 일본의 항복 선언이 늦어졌다면 일본은 러시아의 점령지가 되고 분단국가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또한 러시아의 참전으로 일본의 빠른 항복도 이루어졌다. 쿠릴열도는 아직까지도 러시아와 일본의 분쟁을 유발하고 있다.
이렇게 얄타회담은 세계 정세에 있어서도 무척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회담이지만 동북아 정세에 있어서는 현대 동아시아가 만들어지기까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얄타회담에서 미국이 소련에게 밀약을 제안하지 않았으면 지금 동아시아의 지도는 무척이나 달라져 있을 것이다. 그만큼 소련의 개입이 동아시아 형성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2. 몽골
몽골은 청시대에 신해혁명 당시 독립하여 자치국가가 되지만 다시 중국에 통합되었다. 하지만 중일전쟁 중 자치를 시행하고 사실상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난다. 중국은 당연히 전쟁 후 통일된 중국을 원하며 몽골도 중국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당시 중국은 국민당의 승리가 예상되고 있었고 몽골은 공산주의 정권이 자치를 실행하고 있었다. 여기서 소련은 당연히 몽골의 현상유지를 바라게 되었으며 중국의 국민당은 소련과 사이가 틀어지는 것을 두려워했고 몽골의 현상유지를 수락하게 된다.
3. 한국
러시아는 한국의 북쪽을 전부 점령했으며 사실상 한반도 전체를 점령할 수도 있었지만 미국의 제안으로 인해 38선을 기준으로 한국은 분단이 된다. 이로써 북쪽엔 공산주의 정부 남쪽엔 자본주의 정부가 세워지고 분단국이 된다.
4. 일본
일본의 사할린과 쿠릴열도는 러시아에게 넘어갔다. 일본의 항복 선언이 늦어졌다면 일본은 러시아의 점령지가 되고 분단국가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또한 러시아의 참전으로 일본의 빠른 항복도 이루어졌다. 쿠릴열도는 아직까지도 러시아와 일본의 분쟁을 유발하고 있다.
이렇게 얄타회담은 세계 정세에 있어서도 무척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회담이지만 동북아 정세에 있어서는 현대 동아시아가 만들어지기까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얄타회담에서 미국이 소련에게 밀약을 제안하지 않았으면 지금 동아시아의 지도는 무척이나 달라져 있을 것이다. 그만큼 소련의 개입이 동아시아 형성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추천자료
[제2차 세계대전 전개과정과 결과분석] 2차세계대전 발발원인과 성격,전개과정분석및 2차세계대전이 미친영향과 그 결과분석
경제성장과 권위주의의 상관관계 -한국과 대만의 사례비교를 통해서-
중국의 한류영향의 배경 및 특징과 지속적인 한류열풍 방법 조사분석
[경영학]현대 자본주의의 이해 -현대 자본주의와 자본의 세계화
중국쇼크
한미동맹 강화 필요성 및 한미동맹 배경과 역사분석 및 한미동맹 문제점과 미래방향제시 및 느낀점
동북아시아-냉전질서,한국전쟁의 발발원인,한국전쟁의 영향,냉전질서 형성과정,동북아에서의 냉전질서,냉전체제는 세계적인 차원
2023년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을 비교서술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 모스크바 3상회의, 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을 꼽고 그 이유 방송통신대 1학기 한국사의이해 기말온라인과제물
[인문] 중국문명의 특징 - 황하문명과 그 이후 중화사상이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