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중국쇼크란
2.우리나라 및 주요국가의 대중무역의존도
3.중국쇼크 이전의 경제상황
4.긴축재정이란?
5.중국이 긴축재정정책을 택한 이유는?
6.중국의 긴축정책이 우리나라 및 세계에 미친영향
2.우리나라 및 주요국가의 대중무역의존도
3.중국쇼크 이전의 경제상황
4.긴축재정이란?
5.중국이 긴축재정정책을 택한 이유는?
6.중국의 긴축정책이 우리나라 및 세계에 미친영향
본문내용
국 내수에 유발되는 효과가 더 큰 반면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의 대중수출은 중국의 수입에 유발되는 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2)중국쇼크 시나리오별 한국경제 파급효과
중국 정부의 단호한 긴축 기조 방침에도 불구하고 과열양상이 수그러들지 않을 경우, 지난해의 9.7%보다 약간 낮은 8%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연착륙에 성공할 경우, 생각보다 부실이 커 이 문제가 터지면서 중국 경제가 심하게 위축될 경우 등 세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①시나리오1 경기 과열 지속될 경우
중국 정부의 강력한 긴축 기조 의지에도 불구하고 과열양상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을 때, 중국으로의 수출은 여전히 호황이거나 더 늘어날 수 있다. 그러나 거품 리스크는 그만큼 더 커진다. 이 뿐 아니라 중국의 위안화 절상 압력이 더 거세지는 만큼 원화 절상 압력도 심해질 것이며 중국의 우리나라에 대한 통상압력 역시 훨씬 높아질 것이다.
②시나리오2 연착륙 성공할 경우
우선 중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는 만큼 한국의 대 중국 수출이 줄어들기는 하겠지만 우려할만한 정도는 아니다. 대신 반대급부가 있다. 현재 한국의 대 중국 수출은 원자재·부자재 위주. 중국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품 중 60% 는 재가공해 다시 수출한다. 결국 우리가 수출한 원원자재·부자재로 만들어진 중국 산 완제품이 세계시장에서 다시 우리 제품과 경쟁하는 구조다.
중국으로의 수출이 좀 줄더라도, 세계시장에서 중국산과 경쟁하는 품목들의 경쟁력은 다소 높아질 수 있다.
③시나리오3 경기 위축 심화될 경우
중국이 경착륙 가능성을 줄여보겠다며 긴축 기조에 들어서긴 했지만, 생각보다 부실 규모가 커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 금리 인상 등의 정책으로 인 해 경제성장률 둔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그야말로 한국 경제에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하면 대중 수출은 2.7% 급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철강판, 전자관, 석유화학 등에 미치는 악영향이 엄청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특수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호황을 누려온 증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될 가능성은 낮다.)
(3)중국쇼크가 세계에 미칠 영향
세계경제는 중국의 긴축정책에 별다른 충격 없이 최근의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다만 중국경제에의 의존도가 높은 홍콩, 대만, 한국 등은 수출 및 성장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2)중국쇼크 시나리오별 한국경제 파급효과
중국 정부의 단호한 긴축 기조 방침에도 불구하고 과열양상이 수그러들지 않을 경우, 지난해의 9.7%보다 약간 낮은 8%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연착륙에 성공할 경우, 생각보다 부실이 커 이 문제가 터지면서 중국 경제가 심하게 위축될 경우 등 세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①시나리오1 경기 과열 지속될 경우
중국 정부의 강력한 긴축 기조 의지에도 불구하고 과열양상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을 때, 중국으로의 수출은 여전히 호황이거나 더 늘어날 수 있다. 그러나 거품 리스크는 그만큼 더 커진다. 이 뿐 아니라 중국의 위안화 절상 압력이 더 거세지는 만큼 원화 절상 압력도 심해질 것이며 중국의 우리나라에 대한 통상압력 역시 훨씬 높아질 것이다.
②시나리오2 연착륙 성공할 경우
우선 중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는 만큼 한국의 대 중국 수출이 줄어들기는 하겠지만 우려할만한 정도는 아니다. 대신 반대급부가 있다. 현재 한국의 대 중국 수출은 원자재·부자재 위주. 중국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품 중 60% 는 재가공해 다시 수출한다. 결국 우리가 수출한 원원자재·부자재로 만들어진 중국 산 완제품이 세계시장에서 다시 우리 제품과 경쟁하는 구조다.
중국으로의 수출이 좀 줄더라도, 세계시장에서 중국산과 경쟁하는 품목들의 경쟁력은 다소 높아질 수 있다.
③시나리오3 경기 위축 심화될 경우
중국이 경착륙 가능성을 줄여보겠다며 긴축 기조에 들어서긴 했지만, 생각보다 부실 규모가 커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 금리 인상 등의 정책으로 인 해 경제성장률 둔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그야말로 한국 경제에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하면 대중 수출은 2.7% 급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철강판, 전자관, 석유화학 등에 미치는 악영향이 엄청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특수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호황을 누려온 증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될 가능성은 낮다.)
(3)중국쇼크가 세계에 미칠 영향
세계경제는 중국의 긴축정책에 별다른 충격 없이 최근의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다만 중국경제에의 의존도가 높은 홍콩, 대만, 한국 등은 수출 및 성장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