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문화를 이성의 산물로 바라본 근대시대
3.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
1) 리비도
2) 쾌감원칙과 현실원칙
4. 결론 -나의 생각
2. 문화를 이성의 산물로 바라본 근대시대
3.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
1) 리비도
2) 쾌감원칙과 현실원칙
4. 결론 -나의 생각
본문내용
생겨난 것이 바로 ‘문화’인 것이다.
4. 결론 -나의 생각
17세기부터 시작하여 프로이트가 마주하고 있던 19세기까지 근대적 세계관은 ‘문화’를 인간의 이성이 만들어낸 산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문화’는 성적인 욕동을 그대로 표현할 수 없는 인간이 이러한 욕동을 승화시키는 배출구의 역할로써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하였다.
프로이트가 바라본 ‘문화’에 대한 나의 입장을 밝히자면, 우선 인간의 욕망에 대한 배출구로써 문화가 만들어졌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인간의 욕구, 욕망이 없었다면 ‘문화’라는 것은 아예 형성될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편히 자고 싶다는 욕망이 침대와 집을 만들었고, 맛있게 먹고 싶다는 욕망이 다양한 음식들을 만들어내었다. 더 알고 싶다는 욕망이 책과 지식을 만들어내었고, 심리적 편안함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싶다는 욕망이 예술을 만들어 내었다. 이 세상 ‘문화’의 어떤 것 하나 인간의 욕망이 배제되어 있는 것은 없다.
그러나 인간의 욕망이 전부 ‘리비도’로만 해석된다면 나의 해석 또한 달라진다. ‘문화’라는 것은 범주가 엄청나게 넓다. 연필, 지우개도 크게 보면 문화의 범주에 속할 수 있고, 운동과 텔레비전, 쇼핑과 공부, 책과 음악, 정치와 경제, 과학과 기술, 전통과 첨단 그 모든 것이 문화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이 많은 것들을 하나로 묶고 한 단어로 규정하기에 ‘리비도’는 턱없이 부족하다. 프로이트의 ‘문화’에 대한 관점을 조금 확대해석하면 “이 세상 모든 것은 다 성욕이 만들어낸 것이다.”라는 주장과 같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자 모든 욕망은 성욕이라고 하였는데, 내 생각에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은 의식주이다. 만약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아무것도 없는 무인도에 표류되었다면 인간은 무엇을 먼저 하겠는가? 사랑하는 사람과 성행위를 하겠는가, 식량과 잘 곳을 찾겠는가? 프로이트의 사상은 당시 사회에서는 획기적이고 대단한 사상이었지만 단지 그 시대의 사회상만 반영하였을 뿐, 원초적인 부분까지는 접근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문화’라는 것이 성욕보다 의식주에 대한 욕망이 만들어 낸 결과라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따라서 성욕이 만들어낸 ‘문화’라는 것은 문화 전체를 포괄할 수 없으며, 일부 성욕을 대체할 수 있는 문화만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포르노나 유흥문화, 기타 성과 관련된 문화들 말이다. 그 외에 ‘문화’는 ‘리비도’의 배출구로서 규정될 수 없으며, 단지 성욕의 승화로 보기에는 ‘문화’가 미치는 영향력과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고사카 슈헤이, 『현대 철학과 굴뚝청소 1-기원편』, (서울: 도서출판 새길, 1998),
지그문트 프로이드, 『정신분석』, (서울: 정민미디어, 2001.),
김진웅 손영호 정성화, 『서양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2.),
루스 베리, 『30분에 읽는 프로이트』,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2006.),
조시 코언, 『HOW TO READ 프로이트』, (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2010.),
4. 결론 -나의 생각
17세기부터 시작하여 프로이트가 마주하고 있던 19세기까지 근대적 세계관은 ‘문화’를 인간의 이성이 만들어낸 산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문화’는 성적인 욕동을 그대로 표현할 수 없는 인간이 이러한 욕동을 승화시키는 배출구의 역할로써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하였다.
프로이트가 바라본 ‘문화’에 대한 나의 입장을 밝히자면, 우선 인간의 욕망에 대한 배출구로써 문화가 만들어졌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인간의 욕구, 욕망이 없었다면 ‘문화’라는 것은 아예 형성될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편히 자고 싶다는 욕망이 침대와 집을 만들었고, 맛있게 먹고 싶다는 욕망이 다양한 음식들을 만들어내었다. 더 알고 싶다는 욕망이 책과 지식을 만들어내었고, 심리적 편안함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싶다는 욕망이 예술을 만들어 내었다. 이 세상 ‘문화’의 어떤 것 하나 인간의 욕망이 배제되어 있는 것은 없다.
그러나 인간의 욕망이 전부 ‘리비도’로만 해석된다면 나의 해석 또한 달라진다. ‘문화’라는 것은 범주가 엄청나게 넓다. 연필, 지우개도 크게 보면 문화의 범주에 속할 수 있고, 운동과 텔레비전, 쇼핑과 공부, 책과 음악, 정치와 경제, 과학과 기술, 전통과 첨단 그 모든 것이 문화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이 많은 것들을 하나로 묶고 한 단어로 규정하기에 ‘리비도’는 턱없이 부족하다. 프로이트의 ‘문화’에 대한 관점을 조금 확대해석하면 “이 세상 모든 것은 다 성욕이 만들어낸 것이다.”라는 주장과 같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자 모든 욕망은 성욕이라고 하였는데, 내 생각에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은 의식주이다. 만약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아무것도 없는 무인도에 표류되었다면 인간은 무엇을 먼저 하겠는가? 사랑하는 사람과 성행위를 하겠는가, 식량과 잘 곳을 찾겠는가? 프로이트의 사상은 당시 사회에서는 획기적이고 대단한 사상이었지만 단지 그 시대의 사회상만 반영하였을 뿐, 원초적인 부분까지는 접근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문화’라는 것이 성욕보다 의식주에 대한 욕망이 만들어 낸 결과라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따라서 성욕이 만들어낸 ‘문화’라는 것은 문화 전체를 포괄할 수 없으며, 일부 성욕을 대체할 수 있는 문화만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포르노나 유흥문화, 기타 성과 관련된 문화들 말이다. 그 외에 ‘문화’는 ‘리비도’의 배출구로서 규정될 수 없으며, 단지 성욕의 승화로 보기에는 ‘문화’가 미치는 영향력과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고사카 슈헤이, 『현대 철학과 굴뚝청소 1-기원편』, (서울: 도서출판 새길, 1998),
지그문트 프로이드, 『정신분석』, (서울: 정민미디어, 2001.),
김진웅 손영호 정성화, 『서양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2.),
루스 베리, 『30분에 읽는 프로이트』,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2006.),
조시 코언, 『HOW TO READ 프로이트』, (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2010.),
추천자료
프로이드 (프로이트/Freud) : 자기 자신의 행동을 살펴보고, 그 행동이 어떤 무의식 자료와 연결되는지 탐색해 본다 - 꿈, 저항, 정화, 억압, 거부, 욕구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정신분석이론][발달이론][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Freud)이론,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Freud) 발달이론 고찰과 프로이드(Freud)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분석
[정신건강 1공통] 프로이드(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관한 연구
[프로이드]프로이드(Freud)는 누구인가, 프로이드(Freud)의 역동적 심리학 창설, 프로이드(Freud) 이론의 주요개념, 프로이드(Freud)의 성격발달, 프로이드(Freud)이론의 교육적 적용, 프로이드(Freud) 비판 분석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발달단계][심리성적발달단계][정신분석][정신북석이론][성격발달이론]프로이드(Freud)이론의 배경, 구성, 발달단계와 제한점 및 프로이드(Freud)이론의 현대 정신분석적 관점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성격과 주요용어,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기본내용과 정신구조,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단계별발달과 연구내용,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분석사례와 상담방법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배경과 특성,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전제조건,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구성요소,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성격발달단계와 성격발달내용,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사례와 공헌점
[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Freud)는 누구인가, 프로이드(Freud)의 이론, 프로이드(Freud) 성격의 역동성, 프로이드(Freud) 성격의 구조, 프로이드(Freud) 성격발달단계, 프로이드(Freud) 교육적 시사점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