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발달이상] 유아기 발달장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발달이상] 유아기 발달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아기 발달장애

I. 유전적 요인
1. Heller성 유아치매증
2. 과운동증후군

II. 외인성 기질적 요인
1. 뇌염
2. 실어증
3. 사고에 의한 뇌손상
4. 소발작
5. 자폐증
1) 언어능력
2) 인지능력
3) 대인능력
4) 반복적인 행동과 관심
5) 자해행동
6) 자폐증 유발요인
(1) 정신지체
(2) 출산과정
3. 심리적 요인
1) 무언증
2) 언어유치증
3) 눌어증
4) 아뇨증
5) 주뇨증
6) 똥싸개
7) 말더듬이
8) 기관지 천식증
9) 신경증적 퇴행행동
10) 식욕부진증(거식증)
11) 수면장애
12) 애착장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얻어맞거나 야단맞을 때, 억압해야 할 공격성을 진정시킬 수 없는 결과로 똥을 싸게 되는 것이다.
(7) 말더듬이
아동의 말더듬이(stutterer)는 1차적 노이로제와 2차적 노이로제로 구별될 수 있다. 전자는 외부영향에 의한 성격구조에 의해 생기는 것이고, 후자는 외부 영향이 뚜렷하지 않은 노이로제이다. 유아의 말더듬이는 원래 부모와 유아관계의 장애가 기초해서 생기는 것이어서, 언어 노이로제의 반응은 뚜렷하게 파악될 수 있다.
말더듬이 유아는 서로 비슷한 점이 많다. 이들은 얌전하고 억압되고 수줍어하는 유아들로서 집단 속에 있을 때는 과장된 행동을 나타낸다. 유아는 놀이 친구나 집단에서 바보 취급을 받고, 성격도 억압되고 있어 이것은 다시 의사소통을 불통하게 하며, 혼자 있을 때에도 억압되어 있고 겁에 질려 있다.
대부분의 말더듬이 유아들은 지배적이고 엄격하게 제한을 하는 아버지를 갖고 있다.
(8) 기관지 천식증
기관지 천식(asthma bronchiale)은 대부분 체질에 맞지 않는 물질에 대한 과민성, 곧 알레르기에 의해서 생긴다. 이 병의 증후는 아동과 부모 관계의 장애 표시이다.
야뇨증의 유아들이 자기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반응하는 데 비해서 이 기관지 천식을 나타내는 유아는 폐쇄적이고 말더듬이의 경우와 같이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유아는 숨을 내쉴 수 없을 정도이다. 흔히 지나치게 보호받고 간섭받은 유아들이 이러한 방법으로 반응하고 또 이 병 때문에 부모의 과잉보호가 악순환되어 더욱 강화되기도 한다.
(9) 신경증적 퇴행행동
흔히 유아들은 그 단계에서 만족을 얻지 못했을 때 고착되어 발달 진행이 방해를 받는다. 즉, 이것은 어떤 욕구불만이나 내적 갈등, 또는 일반적인 불만사태를 이전의 발달단계로 소급시켜 돌아가는 퇴행행동이다.
이에 속하는 것으로는 엄지손가락 빨기, 여러 가지 형태의 율동적 흔들거림, 콧구멍 쑤시기, 머리카락 꼬기(trichotillomanie), 손톱 물어뜯기 및 자위행위이다. 이 모든 행위는 유아에게서 무의식적으로 진행되고 환경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10) 식욕부진증(거식증, canorexia)
식욕부진증이란 먹기를 거절하거나 음식에 대해 까다로운 것을 의미한다. 유아가 영아에 비해 소량의 음식을 먹기 때문에 부모가 식욕부진으로 잘못 오인할 수도 있다. 식욕부진의 일반적 원인은 다음과 같다. 즉, 유아 독립심의 발달로 부모의 요구에 반항하거나, 주의집중 무시에 대한 적개감 표출, 나이 많은 아동의 모방행위로써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식사시에 지나친 간섭이나 강요를 당했을 때 나타나며, 음식에 대해 흥미가 없을 때, 유아에게 정서적 적응장애가 있을 때(부모의 사랑 결여, 부모 사이의 갈등, 부모와 자식 간의 갈등, 형제간의 질투), 좋은 식사습관이 형성되지 못하였을 때 식욕부진(거식증)을 초래한다. 어떠한 질환(결핵, 빈혈, 만성감염 등)이 있을 때에는 빨리 치료해야 하며 기타 여러 가지 요인은 원인을 규명하여 교정해 주어야 할 것이다.
(11) 수면장애
일시적인 수면문제는 생후 2년 동안은 질병(귀의 감염, 감기 등) 또는 이가 나기 시작하여 나타나는 고통과 관련될 수 있다. 스트레스, 성숙 요인, 그리고 기질이 수면주기와 관련된다.
유아들에게서 가장 흔한 수면장애는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안정되지 않는 것과 밤에 깨어있는 문제이다. 학령전기와 학령기 아동에서 가장 흔한 수면장애는 반응소실증(parasomnias 또는 NREM 수면 장애), 악몽(night terrors), 몽유병(sleepwalking, sleeptalking)과 특정형태의 야뇨증(enuresis)이다. 유아기 수면장애의 진단기준에는 (1) 하룻밤 사이에 세 번 이상 깨어나는 것, (2) 밤에 20분 이상 깨어 있는 것, (3) 부모의 잠자리로 옮겨가는 것, (4) 잠잘 시간에 자기를 거부하고 잠들 때까지 부모가 옆에 있기를 요구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증상이 1주일에 5일 이상, 3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한다.
(12) 애착장애
부모의 무관심, 지나친 학대 또는 애정결핍의 결과로 부모에게 애착을 발달시키지 못한 유아를 지칭한다.
애착되지 않은 장애는 정신연령이 적어도 생후 10개월 이상된 유아가 선호하는 애착대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이다.
장애가 있는 애착은 유아가 양육자를 세상을 탐색하는 안전기지로 그리고 위험한 상황에서 다시 되돌아오는 안전한 회피처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안전기지가 왜곡되는 것의 특징은 증후적 행동이 관계 특정적이고 또 장애가 있는 애착관계에만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어린 유아가 떨어지려 하지 않고 탐색하는데 억제되어 있을 경우 억제된 애착장애로 생각할 수 있다. 역으로 아이가 위험한 상황에서도 뒤돌아보면서 확인하는 행동을 하지 않고 너무 쉽게 양육자로부터 떨어지고, 무분별하고 위험한 행동을 보일 때는 자신을 위험하게 하는 애착장애로 간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가 애착대상의 정서적 신체적 안녕을 발달적으로 부적절한 정도로 걱정하고 염려하는 방향으로 애착관계가 역전되었을 경우는 역할 역전된 애착장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애착장애는 주요한 애착대상을 상실한 어린 유아의 슬픔 반응을 나타낸다. 생후 3년 동안에는 애착대상이 상당히 중요성을 가지므로 이 시기에 애착대상을 상실하는 것은 인생의 다른 시기에 일어난 상실과는 질적으로 다를 것이다. 실제로 5세 이전의 상실은 후에 정신병리가 발달될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있다. 애착장애의 행동 특성은 영아기 시절의 접촉장애로 인한 행동특성과 거의 같다고 하겠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12.28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