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에서 시와 언어의 관계.hwp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세계 정립으로서의 예술
-예술과 언어
- 은폐적 언어와 비은폐적 언어
- 결론

본문내용

그래서 존재의 비은폐적 개방인 시가 일상 언어의 의사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점에서 언어는 시를 통해 규정된다.
5. 결론
필자는 앞에서 하이데거의 두 작품을 통하여 시와 언어의 본질에 대한 하이데거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이 두 작품을 선택한 이유는 두 작품에서 시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주장이 서로 모순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1935년의 작품에서는 언어가 시의 가능성의 근거이지만, 1936년의 작품에서는 시가 언어의 가능성의 근거이다.
두 작품 사이의 외견상의 모순은 하이데거 사유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시와 언어를 비교할 때 대조의 초점이 변화한 데서 온다. 두 작품에서 시와 언어의 본질에 대한 그의 견해는 동일하다. 시는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존재의 개방, 세계의 정립, 탈은폐의 생기이다. 그리고 일상 언어는 두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근원적 측면은 예술이나 시의 본질과 동일하다. 단지 일상 언어에서 일어나는 탈은폐는 은폐되어 있을 뿐이다. 이 점에서 시는 비은폐적 근원 언어이며, 일상 언어는 은폐적 근원언어이다. 그리고 언어의 파생적 측면은, 통상적인 언어관에서 보듯이, 의사 소통이다.
시를 창작하는 활동은 일상 언어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지만 은폐되어 있는 탈은폐의 생기(生起)를 작품에서 언어로 선명하게 표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상 언어(근원적 측면의 일상 언어)의 본질에서 시의 본질이 규정된다. 시와 일상 언어의 근원적 측면을 비교하자면 언어는 시의 가능성의 근거이다.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일상인의 언어 활동은 존재자의 거명을 통한 서로의 의사 소통이다. 존재자는 언제나 특정한 탈은폐의 광장에서 우리에게 드러난다. 의사 소통은 존재 개방의 장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의사 소통으로서의 언어는 시의 본질로부터 규정된다. 시와 일상적 언어의 파생적 측면을 비교한다면 시는 언어의 가능성의 근거이다.
인용 문헌
Biemel, Walter. “Poetry and language in Heidegger,” Martin Heidegger: Critical Assessments Vol. Ⅲ ed. Christopher Macan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2 222-246.
Gethmann-Siefert, Annemarie. “Heidegger and Holderin: the over-usage of "Poets in an impoverished time',” Martin Heidegger: Critical Assessments Vol. Ⅲ ed. Christopher Macan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2. 247-276.
Heidegger, Martin. “Der Ursprung des Kunstwerkes,”(1935/6) Holzwege. GA 5. Frankfurt am Main: Vittorio Klostermann, 1977. 1-74.
------------. “Holderin und das Wesen der Dichtung,” Erlauterungen zu Holderins Dichtung GA 4. Frankfurt am Main: Vittorio Klostermann, 1981. 33-48.
------------. “Die Sprache,”(1950). Unterwegs zur Sprache GA 12. 1985. 7-30.
------------. “Das Wesen der Sprache,”(1957/8) Unterwegs zur Sprache GA 12. 1985. 147-204.
-----------. “Das Wort,”(1958) Unterwegs zur Sprache GA 12. 1985. 205-225.
von Herrmann, Friedrich-Wilhelm. Heideggers Philosophie der Kunst. Eine systematische Interpretation der Holzwege-Abhandlung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Frankfurt am Main: Vittorio Klostermann, 1980.
Maly, Kenneth. “From Truth to Αληθεια to Opening and Rapture,” Heidegger Studies Volume 9. 1985.
1. 서론
2. 세계 정립으로서의 예술
3. 예술과 언어
4. 은폐적 언어와 비은폐적 언어
5. 결론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3.19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