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문규범 ] 한국어 받침 발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한국어문규범 ] 한국어 받침 발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받침의 발음
2. 소리의 동화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면,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서 발음한다.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어미, 또는 접미사를 만나면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며, 이 때 ‘ㅅ’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으로 시작되면, 대표음으로 바꿔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예를 들어, ‘밭 아래’ 는 [바다래]로, ‘늪 앞’은 [느밥]으로 발음한다. 단, ‘맛있다, 멋있다’의 경우에는 [마싣따], [머싣따]로 발음할 수 있다.
겹받침은 받침 중 하나만 옮겨서 발음한다. 한글 자모의 이름은 그 받침소리를 연음하지만,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은 다음과 같이 예외적으로 발음한다. 예를 들면, ‘디귿이’는 [디그시]로, ‘디귿을’은 [디그슬]로, ‘디귿에’는 [디그세]로 발음한다.
2. 소리의 동화
표준어 규정 제2부 표준 발음법, 한글 맞춤법, 1988.
조사 또는 접미사의 모음 ‘ㅣ’와 받침 ‘ㄷ, ㅌ(ㄾ)’이 결합되면, [ㅈ, ㅊ]으로 바꿔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서 발음한다. 받침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경우에는 [치]로 발음한다.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받침 ‘ㅁ, ㅇ, ㄱ, ㅂ’ 뒤에 ‘ㄹ’이 연결되면 [ㄴ]으로 발음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하며, 첫소리 ‘ㄴ’이 ‘ㅀ, ㄾ’ 뒤에 나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ㄹ]로 발음한다. 단, ‘의견란[의ː견난], 횡단로[횡단노], 입원료[이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5.01.03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1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