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한국어의 발전
2.본론-자주 틀리는 한국어
1)맞춤법-띄어쓰기
-자주 틀리는 단어
-사이시옷
2)표준어
3)표준발음
4)외래어 표기 규정
3.결론-한국어의 미래
4.출처 및 참고문헌
2.본론-자주 틀리는 한국어
1)맞춤법-띄어쓰기
-자주 틀리는 단어
-사이시옷
2)표준어
3)표준발음
4)외래어 표기 규정
3.결론-한국어의 미래
4.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중국어의 비음 중 /N/
한국어의 /ㄴ/보다 비음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ㄴ/의 발음을 가르칠 때는 중국어의 자음 /N/에서 비음을 약하게 발음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러시아어의 경우 마찰음에 유성과 무성의 대립만 있기 때문에 한국어의 마찰음 /ㅅ/과 /ㅆ/을 구별하여 발음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러시아인들은 자음의 동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철자 그대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유의하여 지도해야 한다.
한국어를 교육할 때 특히 발음에 관해서는 단순히 한국어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학습자의 모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같다.
본론4)―외래어 표기 규정
외래어 표기 규정에는 1,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2.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3,받침에는 ‘ㄱ ,ㄹ,ㅁ,ㅂ,ㅅ,ㅇ’만을 쓴다. 4.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와 같은 5가지 표기의 원칙을 따른다.
결론
외국인으로서의 한국어가 그 어떤 다른 언어보다도 매력 있고, 재미있게 느껴졌으면 좋겠다. 한국어는 역사가 우리에게 남긴 선물이고 우리는 감사하게 보존하고 많은 사람에게 알릴 의무가 있다. 외국인에게 한국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언어가 되었으면 좋겠다.
출처 및 참고문헌
1.허용, 김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2006
2.김정우, 『국어 어문규범 365가지』, 경남대학교출판부, 2006
한국어의 /ㄴ/보다 비음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ㄴ/의 발음을 가르칠 때는 중국어의 자음 /N/에서 비음을 약하게 발음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러시아어의 경우 마찰음에 유성과 무성의 대립만 있기 때문에 한국어의 마찰음 /ㅅ/과 /ㅆ/을 구별하여 발음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러시아인들은 자음의 동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철자 그대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유의하여 지도해야 한다.
한국어를 교육할 때 특히 발음에 관해서는 단순히 한국어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학습자의 모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같다.
본론4)―외래어 표기 규정
외래어 표기 규정에는 1,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2.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3,받침에는 ‘ㄱ ,ㄹ,ㅁ,ㅂ,ㅅ,ㅇ’만을 쓴다. 4.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와 같은 5가지 표기의 원칙을 따른다.
결론
외국인으로서의 한국어가 그 어떤 다른 언어보다도 매력 있고, 재미있게 느껴졌으면 좋겠다. 한국어는 역사가 우리에게 남긴 선물이고 우리는 감사하게 보존하고 많은 사람에게 알릴 의무가 있다. 외국인에게 한국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언어가 되었으면 좋겠다.
출처 및 참고문헌
1.허용, 김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2006
2.김정우, 『국어 어문규범 365가지』, 경남대학교출판부, 2006
키워드
추천자료
분단 극복을 위한 국어학 연구 방향
강의계획서(위험관리론)
오류문장 고치기
외국어교육이론의 변천
사회방언 중 통신언어에 관한 조사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쓰기 교육
[남북 언어정책][남북 어휘][남북 규범문법][남북 언어통일]남북한 언어정책의 비교, 남북한 ...
저항시인 이상화 론
[맞춤법과표준어]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분석
전공영어강의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조사방법론논문)
[언어관][18세기][가다머][워즈워스][한국][불교][영어공용론]언어관과 18세기, 언어관과 가...
[국문학개론] - 사범대 문법 교육과정의 구성과 문법 교육의 개선에 대한 연구
관광해설론=1. 해설 프로그램을 체험 한 후, 체험한 해설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하고, 방문한...
교수 학습의 과제와 발전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