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 극복을 위한 국어학 연구 방향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2.2. 민족어
2.3. 언어정책
2.4. 국어교육
2.5. 한자폐지
2.6 어휘정리
2.7. 언어생활의 기풍
2.8. 언어규범 정책
2.9. 글자개혁
2.10. 김정일의 언어정책

3. 결 론

본문내용

'로 기사화되었는데, 이는 1986년 '다듬은 말'에 '어름보숭이'로 다듬었다가 1992년 조선말대사전에는 다시 '아이스크림'으로 환원되었다.
① 통일연수원(1995)『달라진 남북의 언어』에서
가르치다(남)-배워주다(북)
가정주부(남)-가두여성(북)
건망증(남)-잊음증(북)
아이스크림(남)-얼음보숭이(북)
이는 북한에서 둘 다 쓰고 있는 말이고, 북한에서 이미 폐기된 말을 아래와 같이 기술하고 있다.
감독-책임연출( 연출, 연출가)
로터리-도는네거리( 로타리)
아이스크림-얼음보숭이( 아이스크림)
소시지-칼파스( 소세지)
사병-하전사( 병사+사관)
② 이현복(1995. 1) 『신동아』별책부록에 "두 갈래 한국말, 평양은 문화어 서울은 표준말"에서 1986년 『다듬은 말』은 1992년 『조선말대사전』에서 폐기되어 등재되지 않은 것이 많다.
커튼-창문보(창가림, 커튼), 아이스크림-얼음보숭이(아이스크림),
투피스-동강옷(나뉜옷)
③ 박갑수(1994. 10)『교육월보』"남북 어휘와 국어교육"에서
아이스크림(남)-얼음보숭이( 아이스크림)
식도(남)-밥길( 식도)
발코니(남)-내민대( 발코니)
모닥불(남)-우동불(폐기됨)
허우대(남)-키개(폐기됨)
④ 최기호(1994)『月刊 同和』12호. "골 깊은 남북 언어 이질화의 현주소"
채광(採光)-빛받이(각립)
가발(假髮)-덧머리(각립)
게시판(揭示板)-알림판(각립)
수신인(受信人)-받는사람(수신인(受信人) 받는사람)
인수증(引受證)-받음표(인수증(引受證) 받음표)
아이스크림-얼음보숭이(아이스크림 얼음보숭이)
도너츠-가락지빵(각립)
클라이막스-절정(각립)
⑤ 1999. 6. 25일자 『조선일보』에 "언어 분단 심각하다"와 김영환(2000. 9. 11일자)『교수신문』. "남북언어 이질화를 보는 시각"에서도 '아이스크림(남)-얼음보숭이(북)'로 기사화되었는데, 북한어의 연구자는 이질화에 대한 정확한 고찰이 필요하다.
(12) 제언
통일을 대비하여 남북한은 <민족어 연구소(가칭)>를 설립하여, 국어학의 각 분야별로 세분하여 남북한 학자들이 연구를 하게 해야 한다.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상설기구화하여 연구를 하고 개선된 것은 홍보하여 분단으로 이질화된 민족어를 통일시켜야 한다. 언어는 우리 민족의 세계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므로 어떤 분야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참 고 문 헌
고영근(1990).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고영근(1994). 『통일시대의 언어 문제』. 길벗.
과학백과사전출판사(1979) 『조선문화어문법』.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1984). 『조선속담』. 평양.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어학연구소(1954). 『조선어철자법』. 사회과학원출판사.
국어사정위원회(1966). 『조선말규범집』. 사회과학원출판사.
김기종(1989). 『조선말속담연구』.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김동수(1983). 『조선말례절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김동찬(1991). 『단어조성론』. 대제각.
김민수(1985). 『북한의 국어연구』. 교려대 출판부.
김민수 편(1997). 『김정일 시대의 북한언어』. 태학사.
김병제(1991). 『조선어학사』. 대제각.
김영황(1978). 『조선민족어 발전 력사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김영황(1999). 『조선언어학사연구』. 박이정.
김응모(1999). 『통일대비 남북한어 이해』. 세종출판사.
김일성(1964).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 『문화어학습』. 1969. 2호.
김일성(1966). "조선어의 민족적특성을 옳게 살려갈데 대하여" 『문화어학습』. 1969. 3호.
남성우·정재영(1990). 『북한의 언어생활』. 고려원.
리득춘(1996). 『조선어 어휘사』. 박이정.
리상벽(1975). 『조선어화술』. 사회과학출판사.
리익선(1974). 『단어만들기연구』. 사회과학출판사.
리홍연(1983). 『문화어문장론』.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문영호(1994). 『조선어빈도수사전』. 한국문화사.
문용진(1987). 『북한의 학교교육과정 분석』. 국토통일원.
문화어학습 편집부(1975). 『주체사상에 기초한 언어이론』. 사회과학출판사.
박갑수(1994). 『교육월보』10월호, "남북 어휘와 국어교육".
박상훈(1991). 『우리나라에서 어휘정리』. 대제각.
박용순(1978). 『조선어문체론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북한언어연구회 편저(1989). 『북한의 어학혁명』. 백의.
사회과학원 어학연구소(1971). 『조선말규범집해설』. 사회과학출판사.
사회과학원 어학연구소(1981). 『조선말규범집』. 사회과학출판사.
사회과학원 어학연구소(1992). 『조선말대사전』2권. 평양.
사화과학원 출판사(1973). 『조선로동당 정책사(언어부분)』. 평양.
이옥련 외3인(1997). 『남북한 언어연구』. 박이정.
이현복(1995). 『신동아 별책부록』1월호, "두 갈래 한국말, 평양은 문화어 서울은 표 준어".
임홍빈(1997). 『북한의 문법론연구』. 한국문화사.
전수태·최호철(1989). 『남북한 언어비교』. 녹진.
조재수(1995). 『남북한말 비교사전』. 토담.
최기호(1994). 『월간 동화』12월호, "골 깊은 남북언어 이질화의 현주소".
최운갑(1994). 『중국,조선,한국 조선어 차이연구』. 한국문화사.
최응구(1982). 『조선어문체론』. 료령인민출판사.
최호완·문영호(1980). 『조선어 어휘론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하치근(1993). 『남북한 문법 비교연구』. 한국문화사.
허동진(1998). 『조선어학사』. 한글학회.
국어연구소(1985). 『한자·외래어 사용 실태조사1』. 서울.
국어연구소(1986). 『외래어표기법 용례집(지명·인명)』. 서울.
국어연구소(1987). 『한자·외래어 사용 실태조사2』. 서울.
국어연구소(1988). 『한글맞춤법 해설』. 서울.
국립국어연구원(1989). 『남북한 언어 차이 조사1(발음, 맞춤법 편』.서울.
국립국어연구원(1989). 『남북한 언어 차이 조사2(고유어 편』.서울.
국립국어연구원(1998). 『북한 문학작품의 어휘』.서울.
문화부(1991). 『국어어문 규정집』. 대한교과서주식회사.
통일연수원(1995). 『달라진 남북의 언어』. 서울.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07.2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