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글과생각] 교재와 방송강의 제3강의 내용을 학습한 후 황현산의 비평의 언저리에 나타난 비평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고 황현산의 비평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글과생각] 교재와 방송강의 제3강의 내용을 학습한 후 황현산의 비평의 언저리에 나타난 비평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고 황현산의 비평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와 방송강의 제3강의 내용을 학습한 후, 황현산의 「비평의 언저리」에 나타난 ‘비평’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고 황현산의 비평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1) 비평의 의미와 역할 2) 황현산의 비평론에 대한 견해

2. 방송강의 내용을 활용하여 [시에 실어 말하다](제10강)에 실린 漢詩 6편을 읽고 자신의 견해가 드러난 감상평을 작성하시오.
1) 처지를 노래하다 2) 정든 이와 작별하다 3) 경치에 기대어 노래하다

3. 로만 야콥슨이 제시한 ‘언어의 여섯가지 기능’에 대하여 교재와 방송강의 제11강을 학습한 바탕 위에서,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새로운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 정보적 기능 2) 표출적 기능
3) 명령적 기능 4) 친교적 기능
5) 관어적 기능 6) 미학적 기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드러내기 위해 정상적 언어 발음 외에 특이한 발음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발음의 높낮이나 길고 짧음을 통해서 태도를 반영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떠한 도전에 실패한 사람이 자신이 그간 노력해온 과정을 설명한 후 모두 부질 없었다 라고 말했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부질 없다 라는 표현은 말하는 사람의 감정이 감염되어 힘이 없고 길게 발음될 것이다. 이것이 언어가 지닌 표출적 기능이다.
3) 명령적 기능
말은 상대방이 없으면 성립하지 않는다. 또한 말은 듣는 사람이 무엇인가를 하도록 요구한다. 이와 같이 말의 기능 중 말을 듣는 사람에게 초점이 있는 기능을 명령적 기능이나 욕구적 기능이라고 한다. 특히 명령문은 명령적 기능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예를 들어, 친구의 집에 놀러가서 대화를 하다가 “좀 쌀쌀한데...”라고 중얼거렸다고 하자. 이때 만일 방 안에 에어컨이 틀어져 있거나 창문이 열려 있다면 듣는 사람은 에어컨을 끄거나 창문을 닫는 등의 행동을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말은 명령적 기능을 갖는다.
4) 친교적 기능
말은 의미를 전달하는 사무적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이웃끼리 주고받는 인사말이나 우연히 알게 된 사람과 나누는 경치나 날씨에 대한 이야기에서 말의 내용은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 이 순간에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서로 이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이 가장 중요하다. 이와 같이 친교적 기능은 의사소통의 경로를 열어 놓기 위한 말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아침 출근길마다 만나는 이웃 아주머니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나는 그 아주머니가 아침에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주고 오는 길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에 아이 어린이집 데려다주셨나 봐요 라는 말을 건넬 것이다. 그럼 아주머니는 네 출근하시나 봐요 라는 말을 건넬 것이다. 여기서 나와 아주머니가 주고받는 말의 내용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이때의 말은 서로의 의사소통 경로를 열어놓기 위한 친교적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5) 관어적 기능
관어적 기능이란 언어가 언어끼리 관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지식을 증진시키고 체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마더(mother)는 우리말로 어머니를 의미한다. 이는 영어와 한국어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새로운 어휘를 배우거나 외국어를 학습할 때 특정한 지식을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관어적 기능이 꼭 필요하다.
6) 미학적 기능
말에는 말 자체 속에 보다 듣기에 좋은 표현을 가지려는 본능이 감추어져 있는데 이를 미학적 기능이라고 한다. 마치 말에 화장을 해주듯이 말은 아름다운 구조를 가지고자 한다. 속담은 말의 미학적 기능이 살아 있는 대표적인 표현들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달성하기 어려운 일을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고 표현한다. 똑같은 뜻을 담고 있다고 할지라도 속담과 같이 표현하면 언어는 미학적으로 더 아름다울 수 있다.
참고문헌
- 임유경·박종성·이호권(2023). 글과 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김종회(2019). 영혼의 숨겨진 보화. 민음사.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1.22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2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