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작품 설명
(1) 줄거리
(2) 근원설화와 주제
2.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의 인물들
3.이청준의 ‘눈길’과 비교
(1)‘눈길’의 줄거리와 주제
(2)심청전과 ‘눈길’의 비교
Ⅲ.결론
Ⅳ.참고문헌
Ⅰ.서론
Ⅱ.본론
1.작품 설명
(1) 줄거리
(2) 근원설화와 주제
2.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의 인물들
3.이청준의 ‘눈길’과 비교
(1)‘눈길’의 줄거리와 주제
(2)심청전과 ‘눈길’의 비교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 하지만 주인공은 마음 한 구석으로는 어머님의 사랑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고, 그것을 갚아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힘들었던 과거를 잊고 싶은 마음이나 현실적인 상황 때문에 어머니의 사랑을 외면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니면 정말 단순히 개인주의 사회에서 체득하게 되는 이해관계의 원리에 따라 어머니와 나이 관계를 ‘받은 것도 없고 줄 것도없는’ 관계로 치부한 불효막심한 인물인지도 모른다.
어찌되었거나 초인적으로 고난을 이겨내는 심청이보다는 훨씬 현실감이 있는 인물이다. 아마 심청이가 이 시대의 인물이라면 ‘눈길’의 주인공처럼 행동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Ⅲ.결론
효는 본래 우리 민족의 사상 저변에 깔려 있는 관념이다. 유교가 나라의 기틀과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였으며 통치체제의 기틀을 잡는 수단이 되었기 때문에 효를 더욱 중시했을 것이다. 당시에 분명 불효하는 사람은 사회적인 비난뿐만 아니라 불효를 행한데 대한 응징도 함께 받아야했다. 어찌 보면 효가 절대적인 관념이라 볼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당시에 사람들이 받아들이던 ‘효’는 숙명과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오늘날의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효의 개념과는 확실히 다를 것이다. 요즈음 효의 개념은 희박해졌을 뿐 아니라 때때로는 거추장스럽게 인식되기도 한다. 효는 부모와 자식을 이어주는 고리 같은 것이다. 무언가 확증적인 give and take 에 익숙해졌기 때문인지 우리는 때때로 효를 우리의 일방적인 희생(또는 손해)으로 간주하곤 한다. 그러나 효를 과거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로 치부한다거나 자식의 일방적인 희생으로 간주할 수는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자식의 효에는 이미 부모님의 크나큰 사랑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라는 것이 뭔가 거추장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아마 심청이의 희생 탓이 클 것 같다. 하지만 굳이 효라고 이름붙이지 않더라도, 그간 무심했던 부모님께 관심을 두면서 부모 자식 간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 그래서 화목한 가정을 이루어 간다면, 위의 두 작품에서 부족했던 요소를 채워서 보다 아름다운 현실을 만들어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눈길, 이청준문학전집,열림원(2000)
심청전의 구조와의미, 장석규 지음, 도서출판 박이정(1998)
심청전 연구, 유영대, 문학아카데미(1999)
한국 고소설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심청전> <콩쥐팥쥐전>,류인균, 서울대학교 출 판부(2004)
아니면 정말 단순히 개인주의 사회에서 체득하게 되는 이해관계의 원리에 따라 어머니와 나이 관계를 ‘받은 것도 없고 줄 것도없는’ 관계로 치부한 불효막심한 인물인지도 모른다.
어찌되었거나 초인적으로 고난을 이겨내는 심청이보다는 훨씬 현실감이 있는 인물이다. 아마 심청이가 이 시대의 인물이라면 ‘눈길’의 주인공처럼 행동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Ⅲ.결론
효는 본래 우리 민족의 사상 저변에 깔려 있는 관념이다. 유교가 나라의 기틀과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였으며 통치체제의 기틀을 잡는 수단이 되었기 때문에 효를 더욱 중시했을 것이다. 당시에 분명 불효하는 사람은 사회적인 비난뿐만 아니라 불효를 행한데 대한 응징도 함께 받아야했다. 어찌 보면 효가 절대적인 관념이라 볼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당시에 사람들이 받아들이던 ‘효’는 숙명과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오늘날의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효의 개념과는 확실히 다를 것이다. 요즈음 효의 개념은 희박해졌을 뿐 아니라 때때로는 거추장스럽게 인식되기도 한다. 효는 부모와 자식을 이어주는 고리 같은 것이다. 무언가 확증적인 give and take 에 익숙해졌기 때문인지 우리는 때때로 효를 우리의 일방적인 희생(또는 손해)으로 간주하곤 한다. 그러나 효를 과거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로 치부한다거나 자식의 일방적인 희생으로 간주할 수는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자식의 효에는 이미 부모님의 크나큰 사랑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라는 것이 뭔가 거추장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아마 심청이의 희생 탓이 클 것 같다. 하지만 굳이 효라고 이름붙이지 않더라도, 그간 무심했던 부모님께 관심을 두면서 부모 자식 간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 그래서 화목한 가정을 이루어 간다면, 위의 두 작품에서 부족했던 요소를 채워서 보다 아름다운 현실을 만들어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눈길, 이청준문학전집,열림원(2000)
심청전의 구조와의미, 장석규 지음, 도서출판 박이정(1998)
심청전 연구, 유영대, 문학아카데미(1999)
한국 고소설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심청전> <콩쥐팥쥐전>,류인균, 서울대학교 출 판부(2004)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문학] 우화소설과 조선후기의 향촌사회 변동
[고전문학] 연명설화의 운명관
미래 문화 콘텐츠로서의 고전문학
[고전문학] 田禹治傳(전우치전)
[고전문학] 애정소설
어린이를 위한 고전문학의 콘텐츠 방안
[영화감상문]한국고전영화 서울의 지붕 밑을 보고나서
[영화감상문]한국고전영화 돌아오지 않는 해병을 보고 나서
[영화감상문]한국고전영화 남과북을 보고 나서
[고전문학 관련 교수 학습 지도안](광문자전 학습지도안)
[고전문학감상] 명월부인전(박씨전) - 박씨전이 넘은 한계와 넘지 못한 한계
[고전문학 교육론] 매체 활용한 수업하기 -사씨남정기-
[고전문학 교육론] 배심원토론을 활용한 토끼전 수업
[고전문학 교육론] 국선생전(麴先生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