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점진적인 기상이변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중 25℃이상의 고온과 스콜현상이 일상화되었다는 전제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여라.
1) 품종의 기상생태형
2) 벼에 나타날 생육상의 변화 예측
(1) 조생종 벼의 생육상의 변화
(2) 중생종 및 중만생종 벼의 생육상의 변화
(3) 대응방안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을 조사하라.
1) 우리나라 벼 재배 및 생산현황
2)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
참고문헌
1) 품종의 기상생태형
2) 벼에 나타날 생육상의 변화 예측
(1) 조생종 벼의 생육상의 변화
(2) 중생종 및 중만생종 벼의 생육상의 변화
(3) 대응방안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을 조사하라.
1) 우리나라 벼 재배 및 생산현황
2)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
참고문헌
본문내용
글라데시, 부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태국, 스리랑카와 같은 국가에선 국민의 하루 총 칼로리 섭취에서 쌀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40∼67%에 이른다.” 수틱 비스와스. 인도의 쌀 수출 금지가 세계 식량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이유. BBC, 2023년 8월 2일자.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720jj9q99yo (검색일: 2023.10.7.)
주요 쌀 수입국으로는 중국, 나이지리아, 필리핀 등이 있으며 인도네시아나 방글라데시의 경우 내수 공급이 부족한 경우에만 수입량을 늘리고 있다. 아울려 최근에는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쌀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 통계만 살펴보면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는 쌀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습관의 변화로 쌀 소비량이 줄고 있으나 여전히 쌀은 주식이다. 국내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쌀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미래에 식량 안보 측면에서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다. 만약 우리도 해외 국가와 같이 쌀을 수입에 의존한다면 글로벌 곡물가격 변화로 인한 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 박순직·이종훈(2004). 식용작물학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채제천(2006). 쌀생산과학. 향문사
- 심교문 외(2010). 지구온난화에 따른 벼 생육 및 생산성 변화 예측,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1권22호, pp.121∼131
- 이윤선·이승호(2008). 기후변화가 벼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제42권제3호, pp.405∼416
- 통계청(2023). 2023년 벼, 고추 재배면적조사 결과. 통계청, pp.1∼17
- 통계청(2022). 2022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 통계청, pp.1∼19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23). 2023년 7월 국제 쌀 시장 동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pp.1∼17
- KOSIS. 농업생산량(쌀).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403&conn_path=I3 (검색일: 2023.10.7.)
- 수틱 비스와스. 인도의 쌀 수출 금지가 세계 식량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이유. BBC, 2023년 8월 2일자.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720jj9q99yo (검색일: 2023.10.7.)
주요 쌀 수입국으로는 중국, 나이지리아, 필리핀 등이 있으며 인도네시아나 방글라데시의 경우 내수 공급이 부족한 경우에만 수입량을 늘리고 있다. 아울려 최근에는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쌀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 통계만 살펴보면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는 쌀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습관의 변화로 쌀 소비량이 줄고 있으나 여전히 쌀은 주식이다. 국내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쌀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미래에 식량 안보 측면에서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다. 만약 우리도 해외 국가와 같이 쌀을 수입에 의존한다면 글로벌 곡물가격 변화로 인한 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 박순직·이종훈(2004). 식용작물학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채제천(2006). 쌀생산과학. 향문사
- 심교문 외(2010). 지구온난화에 따른 벼 생육 및 생산성 변화 예측,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1권22호, pp.121∼131
- 이윤선·이승호(2008). 기후변화가 벼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제42권제3호, pp.405∼416
- 통계청(2023). 2023년 벼, 고추 재배면적조사 결과. 통계청, pp.1∼17
- 통계청(2022). 2022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 통계청, pp.1∼19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23). 2023년 7월 국제 쌀 시장 동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pp.1∼17
- KOSIS. 농업생산량(쌀).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403&conn_path=I3 (검색일: 2023.10.7.)
- 수틱 비스와스. 인도의 쌀 수출 금지가 세계 식량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이유. BBC, 2023년 8월 2일자.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720jj9q99yo (검색일: 2023.10.7.)
키워드
추천자료
식용작물학1] 점진적인 기상이변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중 25℃이상의 고온과 스콜현상이 일상화되었다는 전제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여라.
식용작물학(중간)_점진적인 기상이변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중 25도 이상의 고온과 스콜현상이 일상화되었다는 전제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고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을 조사하라
식용작물학1) 1점진적인 기상이변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중 25도 이상의 고온과 스콜현상이 일상화되었다는 전제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여라
식용작물학 ) 기후 생태계가 변화했다는 가정하에, 우리 나라의 기후가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중 25도 이상의 고온과 스콜현상이 일상화되었다고 할 때,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려품종 벼에서 나타날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라
2023년 2학기 식용작물학1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 등)
2021년 2학기 식용작물학1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장려품종 벼에서 나타날 생육상의 변화)
[농학과 공통] 1.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여라.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을 조사하라 - 벼 생육
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 기후 생태계가 변화했다는 가정 하에 , 우리나라의 기후가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 중 25도 이상의 고온과 스콜현상이 일상화되었다고 할 때,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려품종 벼에서 나타날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라.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식용작물학1(공통) - 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장려품종을 세네갈과 같은 지역에 재배했을 때 나타나는 생육상의 특징을 예측 설명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