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중매체의 효과
2.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
1) 분석의 필요성
2) 이론을 통한 사례 분석
(1) 강효과 이론
(2) 약효과 이론
(3) 중효과 이론
3. 결론
참고문헌
2.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
1) 분석의 필요성
2) 이론을 통한 사례 분석
(1) 강효과 이론
(2) 약효과 이론
(3) 중효과 이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SNS의 부정적 효과 중 하나는 상대적 박탈감을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SNS 계정을 삭제하는 이유와도 관련이 있다. “직장인 송진영(여·38) 씨는 최근 활발하게 활동했던 SNS 계정을 모두 삭제하고 팔로 없이 눈팅(온라인 커뮤니티·SNS에서 게시물을 보기만 하고 참여하지 않는 행위)만 하는 인스타그램 계정을 새로 만들었다. SNS를 하다 보니 주변인들과 교류를 통해 얻는 즐거움보다 박탈감을 더 심하게 느꼈기 때문이다.” 허민. 인스타엔 온통 화려한 삶...행복한 타인에 쌓이는 박탈감. 문화일보, 2021년 7월 7일자.
많은 사람들이 SNS로 자신의 일상을 공유한다. 새로운 물건을 사거나 여행을 가는 것과 같은 특별한 일이 있으면 SNS에 기록을 남긴다. 그러한 게시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다 보면 자신을 뺀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 남들의 일상을 자신의 일상과 비교하다보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문화계발효과론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대중매체의 현실 구성적 효과라고 말한다. 대중매체의 메시지가 수용자를 둘러싼 현실을 특정 관점으로 보도록 유도하는 것과 같이 SNS의 메시지도 이용자를 둘러싼 현실을 특정 관점으로 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3. 결론
대중매체 효과 이론으로 SNS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강효과 이론, 약효과 이론, 중효과 이론의 내용과 부합하는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SNS가 대중매체는 아니지만 대중매체와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고, 유사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SNS가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SNS의 순기능이 강조되었지만 갈수록 SNS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청소년의 SNS 이용을 규제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고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SNS가 대중매체와 유사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면 대중매체에 적용되는 규제를 도입하는 것도 나름의 타당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또한 SNS의 이용자들도 스스로 SNS의 역기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정준영 외(2021). 인간과 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허지영. BTS 슈가 타투에 지하철서 비명 지른 팬...9호선 대피 소동 전말은. 서울경제, 2023년 8월 7일자.
- 허민. 인스타엔 온통 화려한 삶...행복한 타인에 쌓이는 박탈감. 문화일보, 2021년 7월 7일자.
많은 사람들이 SNS로 자신의 일상을 공유한다. 새로운 물건을 사거나 여행을 가는 것과 같은 특별한 일이 있으면 SNS에 기록을 남긴다. 그러한 게시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다 보면 자신을 뺀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 남들의 일상을 자신의 일상과 비교하다보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문화계발효과론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대중매체의 현실 구성적 효과라고 말한다. 대중매체의 메시지가 수용자를 둘러싼 현실을 특정 관점으로 보도록 유도하는 것과 같이 SNS의 메시지도 이용자를 둘러싼 현실을 특정 관점으로 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3. 결론
대중매체 효과 이론으로 SNS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강효과 이론, 약효과 이론, 중효과 이론의 내용과 부합하는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SNS가 대중매체는 아니지만 대중매체와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고, 유사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SNS가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SNS의 순기능이 강조되었지만 갈수록 SNS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청소년의 SNS 이용을 규제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고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SNS가 대중매체와 유사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면 대중매체에 적용되는 규제를 도입하는 것도 나름의 타당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또한 SNS의 이용자들도 스스로 SNS의 역기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정준영 외(2021). 인간과 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허지영. BTS 슈가 타투에 지하철서 비명 지른 팬...9호선 대피 소동 전말은. 서울경제, 2023년 8월 7일자.
- 허민. 인스타엔 온통 화려한 삶...행복한 타인에 쌓이는 박탈감. 문화일보, 2021년 7월 7일자.
추천자료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 ①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② 교재에서의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재에서의 대중매체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인간과사회 2024학년도 2학기 중간 -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이를 바탕으로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교재에서의 대중매체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재에서의 대중매체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재에서의 대중매체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재에서의 대중매체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재에서의 대중매체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인간과사회 2024년2학기 중간]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체)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재에서의 대중매체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1)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2) 교재에서의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인간과사회] 2024년 중간과제물, 1)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정리하고, 2) 교재에서의 대중매체의 효과에 대한 이론들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타당한지 여러 사례들을 들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