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욕창
2. 피부의 구조 및 기능
3. 욕창의 발생 기전
4. 욕창이 많이 생기는 경우
5. 욕창이 많이 생기는 부위
6. 욕창의 예방
7. 욕창의 치료
8. 욕창 단계
2. 피부의 구조 및 기능
3. 욕창의 발생 기전
4. 욕창이 많이 생기는 경우
5. 욕창이 많이 생기는 부위
6. 욕창의 예방
7. 욕창의 치료
8. 욕창 단계
본문내용
육안으로 오염이 되었으면 드레싱을 교환할 때 마다 상처를 소독한다.
(7) 상처가 깨끗하고, 삼출물이 거의 없고 육아조직이 보이면 소독을 자주하 지 않는다.
8. 욕창 단계
1) 1단계 : 피부에 홍반생성, 표피의 발적과 염증
▶ 압력을 제거한 후 5분이 지나도 피부가 계속 붉은색이다.
▶ 피부 손상은 없다.
▶ 피부는 따뜻하고 단단하다.
▶ 압력이 완화되면 원래 피부 상태로 돌아간다.
▶압력완화방법: 자주 돌아눕기, 체위변경, 압력완화기구 사용
2) 2단계 : 피부박리나 수포의 형성, 얕은 분화구 모양의 표피 또는 진피까지의 부분손실 혹은 물집
▶ 피부 파열: 찰과상, 포진
▶ 피부의 지방층까지 침범하면 통증이 있다.
▶ 부종
▶ 압력이 완화되면 1-2주 내에 회복된다.
▶ 촉촉한 치유환경 유지한다.
▶ 폐쇄드레싱 한다.
3) 3단계 : 피부전층의 소실. 피하조직의 손상 또는 괴사를 포함할 수 있고 근막 바로 위까지도 손상을 받을 수 있다.
▶ 피하조직까지 괴사
▶ 악취가 나는 황록색의 삼출물
▶ 통증은 없다.
▶ 회복되기까지 몇 달이 걸린다.
▶ 괴사조직의 제거
4) 4단계 : 뼈나 근육, 건이나 관절낭 등의 주위조직에 손상을 받거나 조직의 괴 사를 일으키는 피부전층의 소실이다.
피부에 있는 혈관들이 어떤 원인에 의해 눌리거나 신전되면 피부세포는 영양 분을 받지 못해서 결국은 죽게 된다. 피부세포가 죽으면 죽은 세포에서 새로 운 피부 형성을 막는 자극적인 독성 물질을 만들어 내고 이로 인해 욕창이 발 생하게 되고 일단 욕창이 발생하면'회복이 느리며 감염되기 쉽다.
(7) 상처가 깨끗하고, 삼출물이 거의 없고 육아조직이 보이면 소독을 자주하 지 않는다.
8. 욕창 단계
1) 1단계 : 피부에 홍반생성, 표피의 발적과 염증
▶ 압력을 제거한 후 5분이 지나도 피부가 계속 붉은색이다.
▶ 피부 손상은 없다.
▶ 피부는 따뜻하고 단단하다.
▶ 압력이 완화되면 원래 피부 상태로 돌아간다.
▶압력완화방법: 자주 돌아눕기, 체위변경, 압력완화기구 사용
2) 2단계 : 피부박리나 수포의 형성, 얕은 분화구 모양의 표피 또는 진피까지의 부분손실 혹은 물집
▶ 피부 파열: 찰과상, 포진
▶ 피부의 지방층까지 침범하면 통증이 있다.
▶ 부종
▶ 압력이 완화되면 1-2주 내에 회복된다.
▶ 촉촉한 치유환경 유지한다.
▶ 폐쇄드레싱 한다.
3) 3단계 : 피부전층의 소실. 피하조직의 손상 또는 괴사를 포함할 수 있고 근막 바로 위까지도 손상을 받을 수 있다.
▶ 피하조직까지 괴사
▶ 악취가 나는 황록색의 삼출물
▶ 통증은 없다.
▶ 회복되기까지 몇 달이 걸린다.
▶ 괴사조직의 제거
4) 4단계 : 뼈나 근육, 건이나 관절낭 등의 주위조직에 손상을 받거나 조직의 괴 사를 일으키는 피부전층의 소실이다.
피부에 있는 혈관들이 어떤 원인에 의해 눌리거나 신전되면 피부세포는 영양 분을 받지 못해서 결국은 죽게 된다. 피부세포가 죽으면 죽은 세포에서 새로 운 피부 형성을 막는 자극적인 독성 물질을 만들어 내고 이로 인해 욕창이 발 생하게 되고 일단 욕창이 발생하면'회복이 느리며 감염되기 쉽다.
추천자료
골다공증(Osteoporosis)
1차예방 2차예방 3차예방
암(Cancer), 비정상 세포들의 반란 / 암의 예방과 치료
아동신비뇨기계구조와 장애
지역사회 - 노인보건
뇌막염 환아의 간호과정 casestudy
[부영양화][부영양화의 과정][부영양화의 영향][부영양화의 대책]부영양화의 정의, 부영양화...
cerebral aneurysm
소아과 실습 case study
1.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사례(10점)...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신경외과 병동 실습일지 (NS, GCS, 무의식, 두개 내 수술 종류, 수술전 수술후 간호, ICP 상...
심실빈맥, 심실세동 및 응급약물
<기초간호과학 공통형 2017년>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 염증의 형태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