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ubject
2. Object
3. Assessment
4. Plan
1) Short goal
2) Long goal
3) Intervention
2. Object
3. Assessment
4. Plan
1) Short goal
2) Long goal
3) Intervention
본문내용
의 손으로 배의 힘을 이용해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2. 치료사는 환자의 자세와 낙상예방에 주의한다.
MC kenzie
1. supine 자세에서 양손바닥을 어깨위치에 놓는다.
2. 손으로 바닥을 밀어 팔굽을 피고 상체를 젖혀 10초간 유지 후 천천히 내려온다.
3. 치료사는 환자의 통증 범위를 확인하고 통증이 나타나기 전 부위까지 실시하도록 한다.
3. 균형 / 낙상
one leg standing test : 위에서 외발서기 및 교대 올리기
one step 운동 : 보행을 통해 체중지지와 균형을 증진
체중지지를 위한 한발서기운동
중재방법
짚을 수 있는 테이블 옆에서 선 자세에서 마비 측 다리를 단상 위에 올려줌. 이때 건측에 체중을 실어준다.
2. 반대로 건측을 단상 위에 올리고 환측에 체중을 실어 균형을 잡는다.
2. 외줄걷기 운동
1. 바닥에 임의의 선을 만들어 걷도록 유도한다.
2. hip flexor, hip extensor, knee flexor의 사용을 확인하고 체중 지지를 실시한다.
3. 이때 다리가 과도하게 안쪽으로 걷게 되면 발목이 뒤집어 지는 것을 확인한다.
4. ADL 훈련
ADL training : 옷 입기, 양치, 단추 넣기, 머리 빗기, 식사 등
옷 입기
중재방법
1. 옷의 목부분이 환자의 무릎 부분을 향하고 옷의 앞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펼처 놓는다.
2. 건측 손으로 마비 측 소매를 넓게 벌려 마비측 팔에 끼운다.
3. 이후 건강한 팔을 마저 끼우고 머리를 숙여 목을 끼워 입는다.
4. 벗을 때에는 입기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2. 양치하기
칫솔을 세면대에 올리고 건측으로 치약을 짠다.
2. 건측으로 양치를 한 후 컵에 물을 받아 입안을 헹군다.
3. 침대에서 W/C로 이동
W/C를 건측 방향으로 45도로 위치시킵니다.
2. 브레이크를 잠구고 침대와 가까운 쪽 팔걸이를 제거합니다.
3. 몸통을 앞으로 구부리면서 건측 다리를 축으로 천천히 옮겨 앉는다.
4. 팔걸이를 내리고 브레이크를 풀고 이동한다.
5. W/C에서 침대로 이동시에는 위의 방법을 역순으로 실시한다.
5. 인지 기능
기억력, 집중력, 시공간기능, 계산력 등 다양한 감각과 인지훈련을 실시함.
인지 재활 치료 실시
6. 언어, 배뇨 기능
작업치료사와의 협진을 통해 언어기능을 향상시킴
요실금 치료를 위해 케겔 운동을 실시함.
배를 천천히 들어 올리면서 동시에 항문근육을 수축하며 5~10초 유지하며 5~10회 반복함.
등을 서서히 둥글게 하면서 항문근육을 수축하며 5~10초 유지하며 5~10회 반복함.
삼킴장애 치료는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통한 삼킴반사 촉진 / Shaker ex. 후두 상거근 강화를 통해 삼킴근을 훈련시킴.
Shaker ex.를 통해 후두 상거근을 강화 시켜 삼킴장애 증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함.
7. 욕창
2시간 마다 체위 변경을 실시하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에게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교육한다. 이때 장시간 같은 체위를 유지하게 되면 중력으로 인해 한 부위에 지속된 압력으로 인해 혈액 순환의 저해로 괴사가 될 수 있는 것을 알려줌. Tilting table을 이용하여 혈액 순환 증진 및 욕창,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바로 누운 자세
중재 방법
어깨는 external rotation, 아래팔은 pronation, 손목은 약간 굽힘 상태를 유지한다.
2. hip, knee 관절은 폄 상태를 유지한다.
3. 발바닥은 중립이나 발등 굽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머리와 팔꿈치, 오금부위에 배개를 놓는다.
옆으로 누운 자세
배개는 머리를 받치고 어깨와 팔꿈관절을 약간 굽혀 배개를 감싼다.
2. 위쪽 다리의 hip, knee 관절을 약간 굽혀 배개 위에 올린다.
3. 배개로 등을 받쳐 몸통의 정렬을 유지한다. 꼬리뼈의 압력을 제거에 효과적이고 객담 배출에 용이하다.
엎드린 자세
어깨는 약간 올림, 벌림 상태를 유지한다.
2. hip, knee 관절은 약간 굽힌 상태를 유지한다.
3. 배개는 머리, 가슴, 무릎, 다리사이에 놓는다.
앉은 자세 (W/C, 침대 위)
압박이 가장 큰 90도 앉은 자세는 피한다.
2. W/C에서는 머리 받침에 머리를 정렬시키고 골반은 중립을 유지하도록 한다.
3. hip과 knee는 굽힘, foot은 발판에 놓는다.
선 자세 (Tilt table)
1. 환자의 무릎, 골반, 가슴에 벨트를 착용한다.
2. 수평 상태에서부터 천천히 각도를 증가시킨다.
3. 매 각도마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4. 환자에게 기립성저혈압이 나타나면 치료를 중지한다.
이를 통해 골다공증 감소, 걷기 교육 전 보행에 대한 두려움 감소, 구축 방지, 혈압 순환을 증진할 수 있다.
참고한 자료/논문
1. 메디컬 다큐 7요일 - 50년의 사랑, 그리고 기억- 외상성 뇌손상 외https://www.youtube.com/watch?v=hrg2eu8lC_A
2. 대뇌 경색, 뇌내 출혈로 인한 왼쪽 편마비 https://blog.naver.com/srnhospital/221712320932
3. 편마비 재활운동, 허리 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oPU3-l1P-io
4. 허리 통증을 없애주는 허리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f-mgnsrDWHg
5. 한발서기운동, 체중지지 https://www.youtube.com/watch?v=npK5h-oWWYU
6. 중증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급성기 치료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
/0176bn/bn-1-136.pdf
7. ICF Tool을 적용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보행능력 증진을 위한 점진적 중재전략의 증례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63894
8. 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및 통증과 Bodyblade 훈련의 융합관계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3842955
2. 치료사는 환자의 자세와 낙상예방에 주의한다.
MC kenzie
1. supine 자세에서 양손바닥을 어깨위치에 놓는다.
2. 손으로 바닥을 밀어 팔굽을 피고 상체를 젖혀 10초간 유지 후 천천히 내려온다.
3. 치료사는 환자의 통증 범위를 확인하고 통증이 나타나기 전 부위까지 실시하도록 한다.
3. 균형 / 낙상
one leg standing test : 위에서 외발서기 및 교대 올리기
one step 운동 : 보행을 통해 체중지지와 균형을 증진
체중지지를 위한 한발서기운동
중재방법
짚을 수 있는 테이블 옆에서 선 자세에서 마비 측 다리를 단상 위에 올려줌. 이때 건측에 체중을 실어준다.
2. 반대로 건측을 단상 위에 올리고 환측에 체중을 실어 균형을 잡는다.
2. 외줄걷기 운동
1. 바닥에 임의의 선을 만들어 걷도록 유도한다.
2. hip flexor, hip extensor, knee flexor의 사용을 확인하고 체중 지지를 실시한다.
3. 이때 다리가 과도하게 안쪽으로 걷게 되면 발목이 뒤집어 지는 것을 확인한다.
4. ADL 훈련
ADL training : 옷 입기, 양치, 단추 넣기, 머리 빗기, 식사 등
옷 입기
중재방법
1. 옷의 목부분이 환자의 무릎 부분을 향하고 옷의 앞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펼처 놓는다.
2. 건측 손으로 마비 측 소매를 넓게 벌려 마비측 팔에 끼운다.
3. 이후 건강한 팔을 마저 끼우고 머리를 숙여 목을 끼워 입는다.
4. 벗을 때에는 입기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2. 양치하기
칫솔을 세면대에 올리고 건측으로 치약을 짠다.
2. 건측으로 양치를 한 후 컵에 물을 받아 입안을 헹군다.
3. 침대에서 W/C로 이동
W/C를 건측 방향으로 45도로 위치시킵니다.
2. 브레이크를 잠구고 침대와 가까운 쪽 팔걸이를 제거합니다.
3. 몸통을 앞으로 구부리면서 건측 다리를 축으로 천천히 옮겨 앉는다.
4. 팔걸이를 내리고 브레이크를 풀고 이동한다.
5. W/C에서 침대로 이동시에는 위의 방법을 역순으로 실시한다.
5. 인지 기능
기억력, 집중력, 시공간기능, 계산력 등 다양한 감각과 인지훈련을 실시함.
인지 재활 치료 실시
6. 언어, 배뇨 기능
작업치료사와의 협진을 통해 언어기능을 향상시킴
요실금 치료를 위해 케겔 운동을 실시함.
배를 천천히 들어 올리면서 동시에 항문근육을 수축하며 5~10초 유지하며 5~10회 반복함.
등을 서서히 둥글게 하면서 항문근육을 수축하며 5~10초 유지하며 5~10회 반복함.
삼킴장애 치료는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통한 삼킴반사 촉진 / Shaker ex. 후두 상거근 강화를 통해 삼킴근을 훈련시킴.
Shaker ex.를 통해 후두 상거근을 강화 시켜 삼킴장애 증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함.
7. 욕창
2시간 마다 체위 변경을 실시하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에게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교육한다. 이때 장시간 같은 체위를 유지하게 되면 중력으로 인해 한 부위에 지속된 압력으로 인해 혈액 순환의 저해로 괴사가 될 수 있는 것을 알려줌. Tilting table을 이용하여 혈액 순환 증진 및 욕창,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바로 누운 자세
중재 방법
어깨는 external rotation, 아래팔은 pronation, 손목은 약간 굽힘 상태를 유지한다.
2. hip, knee 관절은 폄 상태를 유지한다.
3. 발바닥은 중립이나 발등 굽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머리와 팔꿈치, 오금부위에 배개를 놓는다.
옆으로 누운 자세
배개는 머리를 받치고 어깨와 팔꿈관절을 약간 굽혀 배개를 감싼다.
2. 위쪽 다리의 hip, knee 관절을 약간 굽혀 배개 위에 올린다.
3. 배개로 등을 받쳐 몸통의 정렬을 유지한다. 꼬리뼈의 압력을 제거에 효과적이고 객담 배출에 용이하다.
엎드린 자세
어깨는 약간 올림, 벌림 상태를 유지한다.
2. hip, knee 관절은 약간 굽힌 상태를 유지한다.
3. 배개는 머리, 가슴, 무릎, 다리사이에 놓는다.
앉은 자세 (W/C, 침대 위)
압박이 가장 큰 90도 앉은 자세는 피한다.
2. W/C에서는 머리 받침에 머리를 정렬시키고 골반은 중립을 유지하도록 한다.
3. hip과 knee는 굽힘, foot은 발판에 놓는다.
선 자세 (Tilt table)
1. 환자의 무릎, 골반, 가슴에 벨트를 착용한다.
2. 수평 상태에서부터 천천히 각도를 증가시킨다.
3. 매 각도마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4. 환자에게 기립성저혈압이 나타나면 치료를 중지한다.
이를 통해 골다공증 감소, 걷기 교육 전 보행에 대한 두려움 감소, 구축 방지, 혈압 순환을 증진할 수 있다.
참고한 자료/논문
1. 메디컬 다큐 7요일 - 50년의 사랑, 그리고 기억- 외상성 뇌손상 외https://www.youtube.com/watch?v=hrg2eu8lC_A
2. 대뇌 경색, 뇌내 출혈로 인한 왼쪽 편마비 https://blog.naver.com/srnhospital/221712320932
3. 편마비 재활운동, 허리 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oPU3-l1P-io
4. 허리 통증을 없애주는 허리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f-mgnsrDWHg
5. 한발서기운동, 체중지지 https://www.youtube.com/watch?v=npK5h-oWWYU
6. 중증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급성기 치료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
/0176bn/bn-1-136.pdf
7. ICF Tool을 적용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보행능력 증진을 위한 점진적 중재전략의 증례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63894
8. 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및 통증과 Bodyblade 훈련의 융합관계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3842955
추천자료
외상성 뇌손상에 대한 특성과 치료
외상성 뇌손상
TBI (외상성 뇌손상)환자 SOAP 노트
[외상성뇌손상][TBI][뇌손상][뇌][재활치료]외상성뇌손상(TBI)의 개념, 외상성뇌손상(TBI)의 ...
[외상성뇌손상][TBI][뇌손상]외상성뇌손상(TBI)의 정의, 외상성뇌손상(TBI)의 증상, 외상성뇌...
외상성 뇌손상(TBI)의 진단,분류,병태생리,증상,치료,예후
지체장애-외상성뇌손상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TBI[Traumatic Brain Injury]에 관해
12. SOAP note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환자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