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양적연구
2) 질적연구
3)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비교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양적연구
2) 질적연구
3)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비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용한 연구에는 문화기술지, 해석학적 연구, 현상학적 연구, 상징적 상호작용론, 근거이론, 사례연구, 생애사, 내러티브 연구 등이 속한다.
문화기술지는 문화인류학에 발전하여 질적 연구의 방법을 사용한다. 집단의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두어 각 집단 구성원들이 가지는 그들만의 고유한 문화로 생활양식, 사고방식, 행동규범처럼 그들 관점으로 이해하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해석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사람들이 문화를 어떤 방법으로 해석하는지와 그것이 어떤 행위로 나타나는지 그들의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고 기술하는 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를 묘사하고 현상에 관련하는 인간 경험의 본질을 확인하는 연구방법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과 상징에 대하여 해석의 결과로 이뤄졌다고 보며 사회학을 통해 발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사람들이 언어와 몸짓으로 의미 교환을 하고 그 속에 서로의 생각과 기대, 행동을 조정해 가는 사회화 과정에 초점을 둔다.
근거이론은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파생하였다. 인간이 실질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에 근거로 두고 인간행동의 실질적인 설명을 하는 이론이다.
사례연구는 연구자가 어떤 프로그램과 사건이나 행동, 과정, 한 명 이상의 개인을 심층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다.
생애사는 한 개인, 한 집단, 한 조직체의 경험과 그 경험 속에 녹아 있는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내러티브 연구에서 한 개인의 삶을 연구하며, 한 명이나 그 이상의 개인도 그들의 삶에 대하여 이야기를 제시하는 연구이다.
③ 질적 연구의 한계점
주관적인 연구 방법의 과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해 연구 결과에도 영향을 준다. 예로 역사 연구를 위한 서술적 기록물들이 속한다.
3)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비교
양적연구
질적 연구
연구목적
설명, 예측, 통계, 일반화예측
인가의 해석과 자각의 이해
실제의 본질
정체성(실재는 변화되지 않는 사실틀로 구성)
역동성(인간의 자각이 변화됨에 따라 변화)
연구자의 관점
양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료들로 존재
인간이 존재하고 있다고 자각
가치
가치개방성(적절한 방법론적 절차로 통제가능
가치제한성(영향력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며 보고하는 경우)
초점
개별성(미리 선택된 개별 변인 연구)
총체성(전체적 완전한 상황 연구)
방향
검증(미리 설정된 가설의 검증)
발견(수집된 자료에서 이론과 가설)
자료
객관성(자료는 인간의 자각과 독립)
주관성(인간의 자각에 영향을 받음)
도구
비인가(검사, 관찰기록, 설문지)
자연성(자연적 상태에서 연구)
Ⅲ. 결론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연구 방법의 차이이다. 어떠한 방식으로 연구를 선택하는가에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도출한다. 관점을 어떻게 보는 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많지만, 결국 연구자들은 현상과 문제에 대해서 도출할 때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도 있고,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 연구가 지속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성태제. 시기자(2010).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 교육평가용어사전 김상욱 2004 5 31 학지사
문화기술지는 문화인류학에 발전하여 질적 연구의 방법을 사용한다. 집단의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두어 각 집단 구성원들이 가지는 그들만의 고유한 문화로 생활양식, 사고방식, 행동규범처럼 그들 관점으로 이해하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해석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사람들이 문화를 어떤 방법으로 해석하는지와 그것이 어떤 행위로 나타나는지 그들의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고 기술하는 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를 묘사하고 현상에 관련하는 인간 경험의 본질을 확인하는 연구방법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과 상징에 대하여 해석의 결과로 이뤄졌다고 보며 사회학을 통해 발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사람들이 언어와 몸짓으로 의미 교환을 하고 그 속에 서로의 생각과 기대, 행동을 조정해 가는 사회화 과정에 초점을 둔다.
근거이론은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파생하였다. 인간이 실질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에 근거로 두고 인간행동의 실질적인 설명을 하는 이론이다.
사례연구는 연구자가 어떤 프로그램과 사건이나 행동, 과정, 한 명 이상의 개인을 심층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다.
생애사는 한 개인, 한 집단, 한 조직체의 경험과 그 경험 속에 녹아 있는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내러티브 연구에서 한 개인의 삶을 연구하며, 한 명이나 그 이상의 개인도 그들의 삶에 대하여 이야기를 제시하는 연구이다.
③ 질적 연구의 한계점
주관적인 연구 방법의 과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해 연구 결과에도 영향을 준다. 예로 역사 연구를 위한 서술적 기록물들이 속한다.
3)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비교
양적연구
질적 연구
연구목적
설명, 예측, 통계, 일반화예측
인가의 해석과 자각의 이해
실제의 본질
정체성(실재는 변화되지 않는 사실틀로 구성)
역동성(인간의 자각이 변화됨에 따라 변화)
연구자의 관점
양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료들로 존재
인간이 존재하고 있다고 자각
가치
가치개방성(적절한 방법론적 절차로 통제가능
가치제한성(영향력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며 보고하는 경우)
초점
개별성(미리 선택된 개별 변인 연구)
총체성(전체적 완전한 상황 연구)
방향
검증(미리 설정된 가설의 검증)
발견(수집된 자료에서 이론과 가설)
자료
객관성(자료는 인간의 자각과 독립)
주관성(인간의 자각에 영향을 받음)
도구
비인가(검사, 관찰기록, 설문지)
자연성(자연적 상태에서 연구)
Ⅲ. 결론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연구 방법의 차이이다. 어떠한 방식으로 연구를 선택하는가에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도출한다. 관점을 어떻게 보는 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많지만, 결국 연구자들은 현상과 문제에 대해서 도출할 때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도 있고,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 연구가 지속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성태제. 시기자(2010).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 교육평가용어사전 김상욱 2004 5 31 학지사
추천자료
교육연구방법 연습문제 1장~13장
질적연구방법론에서의 질적연구설계
연구방법론의 인식론적 배경의 이해와 차이 - 실증주의와 해석주의 및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
양적 연구방법론과 질적 연구방법론의 비교
비교사회복지론_질적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법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를 비교하고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하나의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
질적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법을 비교,설명하시오 ( 사회복지현장의 사례를 들어 각 방법론의 ...
복지)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청소년 자립지원 강화방안 연구 보고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비교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