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Flexbility 유연성
2) Muscular strenth 근력
3) Proprioception 고유감각
4) Power 순발력
5) Agility 민첩성
6) Coordination 협응력
7) Cardiorespiratory Endurance(fitness) (심폐지구력)
8) Muscular Endurance (근지구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Flexbility 유연성
2) Muscular strenth 근력
3) Proprioception 고유감각
4) Power 순발력
5) Agility 민첩성
6) Coordination 협응력
7) Cardiorespiratory Endurance(fitness) (심폐지구력)
8) Muscular Endurance (근지구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종합해 신속하게 적절한 판단을 내려 중추신경 기구가 훌륭해야 한다. 셋째. 효율이 좋은 반응 동작을 하기 위해 근신경 조정력을 높인다. 넷째. 동작을 단시간에 완료가 가능한 근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한다.
균형을 잃지 않고 재빠르며 정확하게 방향과 속도를 바꾸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왕복달리기, 지그재그 달리기, 사이드 스텝 등의 민첩성 운동으로 그 기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민첩성 검사는 이상의 조건을 하나의 테스트로 모두 만족시킬 것은 없다. 하지만, 몇 가지 테스트를 실시해 종합평가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사용 테스트로는 국소(局所)전신의 반응 시간(빛소리), 바피 테스트, 반복 옆뛰기, 점프스텝 테스트, 셔틀 런, 시간왕복 달리기, 부메랑(boomerang) 달리기 등이 있다. 민첩성은 20세 전후에서 최고에 이르며, 이후는 비교적 빨리 저하된다.
측정방법은 사다리 운동으로 평가할 수 있다. 사다리운동은 특정 스포츠 기술로 연결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나 체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집중력향상으로 청소년들에게도 적합하다. 사다리 줄에 고정되어 있는 가로대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해 운동에 임하는 사람들이 그 가로대를 밝지 않으며 사각형의 공간만을 활용하여 이도한다. 축구, 농구, 단거리 달리기에 보조 트레이닝 형식으로 사용한다.
6) Coordination 협응력
신체의 움직임을 얼마나 매끄러우며 정확히 하는가에 따라 신체 각 분절의 조화를 말한다. 몸 전체를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조정해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두 가지 이상의 감각기관이 협조해 지각능력과 인지 능력을 한꺼번에 높일 수 있다. 근육, 신경기관, 운동기관 등의 움직임의 상호조정 능력을 말한다. 여기에 머리, 어깨, 입, 팔, 손가락 등을 시각적 탐사와 연결해 움직이는 신체적 조절 능력이다.
협응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은 사다리, 콘, 밸런스, 패드, BOSU board 등에 할 수 있는 훈련이고, 신체를 자유롭게 컨트롤하기 위하여 몸의 중심을 잡는 코어 트레이닝이 있다. 코어 중 플랭크 운동이 향상에 도움이 된다.
측정방법은 플랭크 운동으로 가능하다. 어깨, 허리, 엉덩이, 발로 이어지는 라인이 굴곡지지 않으며, 곧게 뻗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7) Cardiorespiratory Endurance(fitness) (심폐지구력)
유산소 능력이라고도 한다. 심장,폐, 혈관 등의 호흡·순환계에서 산소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처럼 순환계와 호흡계가 산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들이마시고, 사용여부이다. 체력의 중요 요인이며 전반적인 신체 능력 측정의 지표가 되는 부분이다. 심폐 지구력이 좋으면 유산소성 운동을 장시간 수행할 수 있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된다.
심폐 지구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운동은 걷기와 오래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 인터벌트레이닝 등처럼 유산소성 운동들이다. 저강도에서 중강도로 힘을 내면며 운동을 지속해 몸 안에 최대한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시킨다. 다음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되고, 강한 혈관조직을 갖게 해준다. 이것은 강도보다 시간과 빈도에 초점을 드아 운동하는 것이 좋다. 초보자는 주 3~4일, 30분 이상의 저강도이나 중간 강도로 운동한다. 경험자는 주 5~6일, 30분 이상 중간 강도로 운동 한다. 그리고 저강도 최대 심박수의 40~60%, 중간 강도가 최대 심박 수의 60~80%, 고강도는 최대 심박수의 80% 이상을 보인다.
심폐 지구력의 측정으로 운동 할 때 안정 상태의 몇 배의 열량을 소모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대사당량(METs)\'과 고강도의 운동 시에 신체가 최대로 산소를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최대산소섭취량(VO2 Max)\'을 측정으로 산출이 가능하다.
심폐지구력을 측정평가 하는 방법은 필드테스트와 실험실 방법이 있다. 필드테스트는 12분 걷기와 달리기, 1,200m 걷기나 달리기 등 지속적으로 걷고, 달리며 총거리나 도달 시간을 계측한다. 실험실 방법은 트레드밀 테스트, 사이클 에르고미터 테스트, 스텝 테스트가 있다.
Ⅲ. 결론
위의 체력 8가지 요소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연관성을 가진다. 또 꾸준한 운동을 통하여 자신의 소모되는 체력이나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이태신 유연성
2. 산업안전대사전, 2004. 5. 10., 최상복 근력
3. 인간의 모든 감각 눈을 감고서도 팔다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최현석
2009. 4. 20.,
균형을 잃지 않고 재빠르며 정확하게 방향과 속도를 바꾸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왕복달리기, 지그재그 달리기, 사이드 스텝 등의 민첩성 운동으로 그 기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민첩성 검사는 이상의 조건을 하나의 테스트로 모두 만족시킬 것은 없다. 하지만, 몇 가지 테스트를 실시해 종합평가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사용 테스트로는 국소(局所)전신의 반응 시간(빛소리), 바피 테스트, 반복 옆뛰기, 점프스텝 테스트, 셔틀 런, 시간왕복 달리기, 부메랑(boomerang) 달리기 등이 있다. 민첩성은 20세 전후에서 최고에 이르며, 이후는 비교적 빨리 저하된다.
측정방법은 사다리 운동으로 평가할 수 있다. 사다리운동은 특정 스포츠 기술로 연결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나 체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집중력향상으로 청소년들에게도 적합하다. 사다리 줄에 고정되어 있는 가로대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해 운동에 임하는 사람들이 그 가로대를 밝지 않으며 사각형의 공간만을 활용하여 이도한다. 축구, 농구, 단거리 달리기에 보조 트레이닝 형식으로 사용한다.
6) Coordination 협응력
신체의 움직임을 얼마나 매끄러우며 정확히 하는가에 따라 신체 각 분절의 조화를 말한다. 몸 전체를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조정해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두 가지 이상의 감각기관이 협조해 지각능력과 인지 능력을 한꺼번에 높일 수 있다. 근육, 신경기관, 운동기관 등의 움직임의 상호조정 능력을 말한다. 여기에 머리, 어깨, 입, 팔, 손가락 등을 시각적 탐사와 연결해 움직이는 신체적 조절 능력이다.
협응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은 사다리, 콘, 밸런스, 패드, BOSU board 등에 할 수 있는 훈련이고, 신체를 자유롭게 컨트롤하기 위하여 몸의 중심을 잡는 코어 트레이닝이 있다. 코어 중 플랭크 운동이 향상에 도움이 된다.
측정방법은 플랭크 운동으로 가능하다. 어깨, 허리, 엉덩이, 발로 이어지는 라인이 굴곡지지 않으며, 곧게 뻗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7) Cardiorespiratory Endurance(fitness) (심폐지구력)
유산소 능력이라고도 한다. 심장,폐, 혈관 등의 호흡·순환계에서 산소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처럼 순환계와 호흡계가 산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들이마시고, 사용여부이다. 체력의 중요 요인이며 전반적인 신체 능력 측정의 지표가 되는 부분이다. 심폐 지구력이 좋으면 유산소성 운동을 장시간 수행할 수 있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된다.
심폐 지구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운동은 걷기와 오래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 인터벌트레이닝 등처럼 유산소성 운동들이다. 저강도에서 중강도로 힘을 내면며 운동을 지속해 몸 안에 최대한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시킨다. 다음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되고, 강한 혈관조직을 갖게 해준다. 이것은 강도보다 시간과 빈도에 초점을 드아 운동하는 것이 좋다. 초보자는 주 3~4일, 30분 이상의 저강도이나 중간 강도로 운동한다. 경험자는 주 5~6일, 30분 이상 중간 강도로 운동 한다. 그리고 저강도 최대 심박수의 40~60%, 중간 강도가 최대 심박 수의 60~80%, 고강도는 최대 심박수의 80% 이상을 보인다.
심폐 지구력의 측정으로 운동 할 때 안정 상태의 몇 배의 열량을 소모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대사당량(METs)\'과 고강도의 운동 시에 신체가 최대로 산소를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최대산소섭취량(VO2 Max)\'을 측정으로 산출이 가능하다.
심폐지구력을 측정평가 하는 방법은 필드테스트와 실험실 방법이 있다. 필드테스트는 12분 걷기와 달리기, 1,200m 걷기나 달리기 등 지속적으로 걷고, 달리며 총거리나 도달 시간을 계측한다. 실험실 방법은 트레드밀 테스트, 사이클 에르고미터 테스트, 스텝 테스트가 있다.
Ⅲ. 결론
위의 체력 8가지 요소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연관성을 가진다. 또 꾸준한 운동을 통하여 자신의 소모되는 체력이나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이태신 유연성
2. 산업안전대사전, 2004. 5. 10., 최상복 근력
3. 인간의 모든 감각 눈을 감고서도 팔다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최현석
2009. 4. 20.,
추천자료
강체의 회전(자이로스코프) 실험 자료 및 OHP 자료
손의 지압과 건강
[간호학] 뇌졸중(Stroke)
[사회과학] 건강의 의미
[뇌졸중][뇌졸중 원인][뇌졸중 증상][뇌졸중 치료][뇌졸중 간호][뇌졸증]뇌졸중의 정의, 뇌졸...
[근육][근육의 운동원리][근육의 생리][상체의 근육][하체의 근육][근육계질환]근육의 운동 ...
[소아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MD] 환자에 대한 이해와 운동치료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PMD]환자에 대한 이해와 운...
골절 케이스 스터디 Fracture case study
실험. 인체미생물의 배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