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트의 성서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삼중적인 형태의 하나님의 말씀
1).선포된 하나님의 말씀
2).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
3).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

3. 삼중일치의 하나님의 말씀

4. 하나님의 말씀의 본질
1). 말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2). 행위로서의 하나님의 말하심
3). 비밀로서의 하나님의 말하심

5. 바르트의 성서관에 대한 평가
1). 긍정적인 평가
2). 부정적인 평가

6. 결론

본문내용

있는 것이 아니라 성육신을 통해 최고의 방식으로 알려지신 삼위일체 하나님에게 있다는 점을 바로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을 숭배하지 말고 우리의 찬양을 하나님 자신에게만 돌려야 한다. 성경은 우리가 참된신 하나님에게 주의를 돌리게 하는 도구이며 성령의 감동을 받아 우리의 신앙이 올바른 대상에 초점을 두도록 하는 수단이다.
2). 부정적인 평가
다음은 바르트의 성경관의 심각한 결점이라고 할 수 있다.
①바르트는 너무 쉽게 성서의 무오성을 부인했다는 점이다. 브로밀리는 바르트가 성서의 저자가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성서 자체가 오류를 포함한다는 주장을 한 것은 논리의 비약이라고 비평한다. 이어서 브로밀리는 바르트가 오류의 가능성이 있는 말들이 하나님의 말씀이 되는 것이 권위있는 기적이라고 말한다면 성서가 오류가 있으면 있을수록 더욱 권위있는 기적이라고 말하는 억지의 원리가 되지 않겠는가 하는 질문이 제기된다고 했다.
②성경은 단지 계시의 증언이라는 점이다. Norman L. Geisler, p. 163.
바르트는 결코 계시다 하나님의 말씀이다 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성서 자체가 어디까지나 문서요 문학서적과 일반이라 한다. 다만 어떤 성경의 부분이 지금 여기서 나에게 구원이 될만하다고 믿어질때에 믿어진 부분을 놓고 계시다 하나님의 말씀이다라고 말하는 것 뿐이다. 한종회, “칼 바르트의 성경관 비판” 「신학지남」(1985), 175.
주님께서 성경을 사용하실 때도 결코 만일 하나님이 이 구절을 통해서 말씀하시고 계신다면 이란 조건절을 붙여 인용하신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작은 문제에 이르기까지도 성경을 폐할 수 없다고 하셨다.
③바르트는 하나님의 자유와 위엄을 수호하여 인간들이 하나님을 멋대로 조종할 수 있는 죄수로 가두지 못하게 하려고 하나님의 초월성 원리를 주장하였는데 아마 이 원리가 성경을 계시의 표현으로 보지 않고 계시의 증언으로 보는 그의 성경관 밑바닥에 깔려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 초월성 사상이 인간이 교만을 정당하게 꺽기는 하지만 그 자체가 균형있는 신관은 아니다. 그 때문에 바르트는 자연 계시를 지나치게 거부하게 된다.
④바르트는 개혁자들 특히 루터와 칼빈의 성경관을 재포착하였다고 주장하지만 이런 주장은 매우 심각한 문제성이 있다. 루터의 경우 바르트가 자기 입장을 확립하기 위해 상당한 인용을 하고 있지만 실상 성경 본문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성경은 자기 모순이 있을 수 없고 난제들이나 상치점들은 단지 얼른 보기에 그럴 뿐이라는 주장을 루터는 여러 곳에서 누차 지적하고 주장하였지만 그러나 이런 것을 바르트는 고려하지 않았다.
⑤마샬은 바르트의 영감론이 현재의 조명은 강조하고 있으나 기록될 때에 그 때의 영감은 거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큰 약점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Howard Marshall, Biblical Inspiration(Grand Rapids : Eerdmans, 1982), p. 37.
⑥바르트의 성서해석은 하나님에게 대단히 많은 자리를 부여 했기에 인간은 로봇나 그 자유가 환상적인 존재로 격하되었다는 점이다. 인간과 하나님을 친근하게 관련시키지 못한 채 하나님과 대립시켜서 인간은 신앙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없도록 하는 이원론이 있는 것 같이 보여진다.
6.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바르트의 성경관을 살펴보았다. 바르트의 성경관이 가지고 있는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음이 보여진다. 오늘 우리에게 바르트의 성경관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아마도 그것은 문자적인 성서의 무오성을 주장하는 이들에게는 좀더 나은 성경의 이해를 그리고 성서의 영감성을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한번쯤 성서의 영감성의 의미를 되새겨 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22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