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눈
(1) 눈의 구조
(2) 시각의 전달 경로
(3) 눈의 조절 작용
(4) 눈의 이상
2. 청각
(1) 귀의 구조
(2) 청각의 경로
(3) 평형 감각
3. 미각
(1) 사람의 미각기
(2) 미각의 경로
(3) 미각의 분포
4. 후각
(1) 후각기의 구조
(2) 후각의 경로
(3) 후각의 특징
5. 피부 감각
(1) 피부의 구조
(2) 피부 감각점
(3) 감각점의 분포
(1) 눈의 구조
(2) 시각의 전달 경로
(3) 눈의 조절 작용
(4) 눈의 이상
2. 청각
(1) 귀의 구조
(2) 청각의 경로
(3) 평형 감각
3. 미각
(1) 사람의 미각기
(2) 미각의 경로
(3) 미각의 분포
4. 후각
(1) 후각기의 구조
(2) 후각의 경로
(3) 후각의 특징
5. 피부 감각
(1) 피부의 구조
(2) 피부 감각점
(3) 감각점의 분포
본문내용
눈의 내부 보호
② 맥락막 : 망막을 둘러싼 검은 막. 암실 역할
③ 홍채 : 맥락막이 앞으로 나온 것, 빛이 들어오는 부분
④ 모양체 :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근육. 원근조절
⑤ 망막 :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 시세포 분포, 시신경이 분포
㉠ 맹점 : 시신경이 모여 뇌로 가는 곳
㉡ 황반 : 시세포가 주로 모여 있는 곳
⑥ 수정체 :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함
⑦ 유리체 : 수정체와 망막사이를 채운 투명한 액체
(2) 사람의 눈과 카메라의 비교
빛의 굴절
빛의 양 조절
원근 조절
상이 맺힘
빛의 차단
산란 방지
눈
수정체
홍 채
모 양 체
망 막
눈꺼풀
맥 락 막
카메라
렌 즈
조 리 개
거 리 개
필 름
셔 터
어둠상자
(2) 시각의 전달 경로
빛 → 각막 → 수정체 → 유리체 → 망막(시세포) → 시신경 → 대뇌
(3) 눈의 조절 작용
① 명암조절
㉠ 밝을 때 : 홍채 이완 → 동공 축소 → 빛이 적게 들어옴
㉡ 어두울 때 : 홍채 수축 → 동공 확대 → 빛이 많이 들어옴
② 원근조절
㉠ 가까운곳을 볼 때 : 모양근 수축 → 수정체 두꺼워짐
㉡ 먼곳을 볼 때 : 모양근 이완 → 수정체가 얇아짐
(4) 눈의 이상
① 근시안
㉠ 수정체가 두껍거나 수정체와 망막사이의 거리가 길어 상이 망막 앞쪽에 맺혀 잘 볼 수 없는 눈
㉡ 가까운 곳은 잘 보이나 먼 곳은 잘 못 봄
㉢ 오목렌즈로 교정
② 원시안
㉠ 수정체가 얇거나 수정체와 망막사이의 거리가 짧아 상이 뒤에 맺히는 눈
㉡ 먼 곳은 잘 보이나 가까운 곳은 잘 보이지 않음
㉢ 볼록렌즈로 교정
③ 난시
㉠ 각막이나 수정체의 표면이 고르지 않아 빛이 각막 표면에서 흩어져 물체가 겹쳐 보이거나 흐리게 보임
㉡ 특수렌즈로 교정
④ 노안 : 수정체의 탄력이 약해져 거리조절이 안되는 눈
2. 청각
(1) 귀의 구조
① 외이
㉠ 귓바퀴 : 소리를 모아 고막으로 전달
㉡ 외이도 : 소리가 지나는 길
② 중이
㉠ 고막 :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얇은 막
㉡ 청소골 : 세 개의 뼈로 구성. 고막의 진동을 증폭 하여 달팽이관으로 전달
㉢ 유스타키오관 : 중이에서 목구멍으로 통하는 가는 관. 외이와 중이의 압력을 같게 조절하여 고막을 보호함
③ 내이
㉠ 달팽이관 : 청세포가 있어 공기진동 감각
㉡ 반고리관 : 세 개의 반고리 모양의 뻐가 서로 직각으로 배열. 회전 감각 담당
㉢ 전정기관 : 림프액이 차있는 2개의 주머니, 위치감각 담당
(2) 청각의 경로
소리 → 귓바퀴 → 고막 → 청소골 → 달팽이관 → 청세포 → 청신경 → 대뇌
(3) 평형 감각 :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자세나 운동 방향을 감각하는 것으로 소뇌로 잔달 되어 소뇌에서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① 전정기관 : 중력의 자극을 받아 몸의 위치 변화를 감각
② 반고리관 : 3개의 고리 모양의 관으로, 몸의 회전감각을 감각
3. 미각
(1) 사람의 미각기
① 유두 : 혀의 표면에 좁쌀 모양으로 나 있는 돌기
② 미뢰 : 유두의 양 옆구리 아래Wr에 있으며, 맛을 느끼는 미세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③ 미세포 : 맛을 느끼는 세포로, 미신경을 통해 대뇌와 연결
(2) 미각의 경로
자극(액체 상태의 화학물질) → 미뢰 → 미세포 → 미신경 → 대뇌
(3) 미각의 분포
① 단맛 - 혀의 양쪽 끝부분
② 신맛 - 혀의 양쪽 가장자리
③ 쓴맛 - 혀의 안쪽부분
④ 짠맛 - 혀 전체
4. 후각
(1) 후각기의 구조
① 후각상피 : 콧속위의 천장부분에 위치. 많은 후세포 분포
② 후세포 : 길다란 막대모양. 끝에 섬모가 있어서 냄새를 맡음
(2) 후각의 경로
자극(기체 상태의 화학물질) → 콧속 → 후각상피 → 후세포 → 후신경 → 대뇌
(3) 후각의 특징
① 가장 예민한 감각이지만 쉽게 피로해진다.
② 보통 어른보다 어린이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민감하다.
5. 피부 감각
(1) 피부의 구조
① 표피 : 죽은세포로 된 튼튼한 막, 내부보호, 수분증발 방지
② 진피 : 표피 밑의 살아있는 세포. 감각점, 신경, 모세혈관, 땀샘 위치
(2) 피부 감각점
① 통점 : 아픈 감각, 피부에 가장 많이 분포(손끝, 내장)
② 압점 : 누르는 것을 느끼는 감각점(입술, 손가락)
③ 냉점 : 체온보다 차가운 정도를 느낌
④ 온점 : 체온보다 따뜻한 정도를 느낌
(3) 감각점의 분포
① 피부의 온몸에 분포
② 분포수 : 통점 〉 압점 〉 냉점 〉 온점
③ 압각, 냉각, 온각이 심하면 통각
② 맥락막 : 망막을 둘러싼 검은 막. 암실 역할
③ 홍채 : 맥락막이 앞으로 나온 것, 빛이 들어오는 부분
④ 모양체 :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근육. 원근조절
⑤ 망막 :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 시세포 분포, 시신경이 분포
㉠ 맹점 : 시신경이 모여 뇌로 가는 곳
㉡ 황반 : 시세포가 주로 모여 있는 곳
⑥ 수정체 :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함
⑦ 유리체 : 수정체와 망막사이를 채운 투명한 액체
(2) 사람의 눈과 카메라의 비교
빛의 굴절
빛의 양 조절
원근 조절
상이 맺힘
빛의 차단
산란 방지
눈
수정체
홍 채
모 양 체
망 막
눈꺼풀
맥 락 막
카메라
렌 즈
조 리 개
거 리 개
필 름
셔 터
어둠상자
(2) 시각의 전달 경로
빛 → 각막 → 수정체 → 유리체 → 망막(시세포) → 시신경 → 대뇌
(3) 눈의 조절 작용
① 명암조절
㉠ 밝을 때 : 홍채 이완 → 동공 축소 → 빛이 적게 들어옴
㉡ 어두울 때 : 홍채 수축 → 동공 확대 → 빛이 많이 들어옴
② 원근조절
㉠ 가까운곳을 볼 때 : 모양근 수축 → 수정체 두꺼워짐
㉡ 먼곳을 볼 때 : 모양근 이완 → 수정체가 얇아짐
(4) 눈의 이상
① 근시안
㉠ 수정체가 두껍거나 수정체와 망막사이의 거리가 길어 상이 망막 앞쪽에 맺혀 잘 볼 수 없는 눈
㉡ 가까운 곳은 잘 보이나 먼 곳은 잘 못 봄
㉢ 오목렌즈로 교정
② 원시안
㉠ 수정체가 얇거나 수정체와 망막사이의 거리가 짧아 상이 뒤에 맺히는 눈
㉡ 먼 곳은 잘 보이나 가까운 곳은 잘 보이지 않음
㉢ 볼록렌즈로 교정
③ 난시
㉠ 각막이나 수정체의 표면이 고르지 않아 빛이 각막 표면에서 흩어져 물체가 겹쳐 보이거나 흐리게 보임
㉡ 특수렌즈로 교정
④ 노안 : 수정체의 탄력이 약해져 거리조절이 안되는 눈
2. 청각
(1) 귀의 구조
① 외이
㉠ 귓바퀴 : 소리를 모아 고막으로 전달
㉡ 외이도 : 소리가 지나는 길
② 중이
㉠ 고막 :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얇은 막
㉡ 청소골 : 세 개의 뼈로 구성. 고막의 진동을 증폭 하여 달팽이관으로 전달
㉢ 유스타키오관 : 중이에서 목구멍으로 통하는 가는 관. 외이와 중이의 압력을 같게 조절하여 고막을 보호함
③ 내이
㉠ 달팽이관 : 청세포가 있어 공기진동 감각
㉡ 반고리관 : 세 개의 반고리 모양의 뻐가 서로 직각으로 배열. 회전 감각 담당
㉢ 전정기관 : 림프액이 차있는 2개의 주머니, 위치감각 담당
(2) 청각의 경로
소리 → 귓바퀴 → 고막 → 청소골 → 달팽이관 → 청세포 → 청신경 → 대뇌
(3) 평형 감각 :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자세나 운동 방향을 감각하는 것으로 소뇌로 잔달 되어 소뇌에서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① 전정기관 : 중력의 자극을 받아 몸의 위치 변화를 감각
② 반고리관 : 3개의 고리 모양의 관으로, 몸의 회전감각을 감각
3. 미각
(1) 사람의 미각기
① 유두 : 혀의 표면에 좁쌀 모양으로 나 있는 돌기
② 미뢰 : 유두의 양 옆구리 아래Wr에 있으며, 맛을 느끼는 미세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③ 미세포 : 맛을 느끼는 세포로, 미신경을 통해 대뇌와 연결
(2) 미각의 경로
자극(액체 상태의 화학물질) → 미뢰 → 미세포 → 미신경 → 대뇌
(3) 미각의 분포
① 단맛 - 혀의 양쪽 끝부분
② 신맛 - 혀의 양쪽 가장자리
③ 쓴맛 - 혀의 안쪽부분
④ 짠맛 - 혀 전체
4. 후각
(1) 후각기의 구조
① 후각상피 : 콧속위의 천장부분에 위치. 많은 후세포 분포
② 후세포 : 길다란 막대모양. 끝에 섬모가 있어서 냄새를 맡음
(2) 후각의 경로
자극(기체 상태의 화학물질) → 콧속 → 후각상피 → 후세포 → 후신경 → 대뇌
(3) 후각의 특징
① 가장 예민한 감각이지만 쉽게 피로해진다.
② 보통 어른보다 어린이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민감하다.
5. 피부 감각
(1) 피부의 구조
① 표피 : 죽은세포로 된 튼튼한 막, 내부보호, 수분증발 방지
② 진피 : 표피 밑의 살아있는 세포. 감각점, 신경, 모세혈관, 땀샘 위치
(2) 피부 감각점
① 통점 : 아픈 감각, 피부에 가장 많이 분포(손끝, 내장)
② 압점 : 누르는 것을 느끼는 감각점(입술, 손가락)
③ 냉점 : 체온보다 차가운 정도를 느낌
④ 온점 : 체온보다 따뜻한 정도를 느낌
(3) 감각점의 분포
① 피부의 온몸에 분포
② 분포수 : 통점 〉 압점 〉 냉점 〉 온점
③ 압각, 냉각, 온각이 심하면 통각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운영A형)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
[유아교육기관운영A]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기관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의 평가인증 영...
내부기관 장애의 경제적 어려움 (장애인복지론: [또 다른 장애를 가진 그들 내부기관 장애인...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A+(유아교육기관의 평가에 관하여 보육시설과 유치원으로 나누어 설명)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4A)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구성 원리와 효율적인 관리 방안
[병원 경영][복지 경영][보험사 경영][의료기관 경영][병원][복지][의료기관]병원 경영, 복지...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A) 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 운영자의 지도성에 관하여 논하시오.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C) 유아교육기관장으로서의 기관 설립 및 운영 철학에 대한 논의(교육...
[신용평가][신용평가시스템][신용평가기관][기업신용평가][은행신용평가]신용평가시스템, 신...
사회복지행정에서 홍보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자신이 사회복지기관의 기관장이라고 생각...
(A+레포트, 기관분석지) 동부노인보호전문기관 기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