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식당 내 흡연 금지
(2) 서대문 형무소의 감시 방식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식당 내 흡연 금지
(2) 서대문 형무소의 감시 방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로라면 죄수들은 사실상 감시자의 실질적인 감시에 의해서 감시당하는 것이 아니라 감시 상태에 놓여 있다는 자각에 의한 감시를 받는다. 더불어 중앙탑이 어두워서 누가 감시자가 되어도 상관이 없다. 감시를 내면화하고 감시자의 부재가 상관없다는 것은 결국 효율적인 감시와 통제를 가능하게 만든다. 푸코는 여기서 감시자의 시선을 현대 사회에서는 ‘규율 권력’이 대신하고 있다고 보았다. 푸코는 사람들이 정해진 규칙에 순응하게 만들어버리면 아예 감시 자체가 필요 없어질 거라고 생각했다. 결국 개인을 순종적인 주체로 만드는 것이 규율이라는 것이다. 규율에 길들여지면 우리는 더 이상 규율을 불편하게 느끼지 않고 권력에 복종하고 있다는 사실조차도 깨닫지 못하게 된다. 근대 이성은 푸코의 입장에서는 위와 같이 작동하고 있는 셈이다.
3. 결론
푸코의 이야기를 가만히 들어보면 ‘항상 깨어있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세상이 자신의 생각을 일정 방향으로 유도한다고 해서 마치 그것이 올바른 길인 것처럼 느끼고 고스란히 따라간다면 결국 나는 권력자의 생각대로 계속해서 지배를 당하는 존재일 뿐인 것이다. 나는 과연 자유로운가에 대한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면 나는 늘 ‘남이 보는 나’를 기준으로만 살아왔었고 세상의 풍조에 물들어서 남과 같이 살았던 존재였던 것 같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내 스스로를 그 틀에 껴맞추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겉으로는 자유로운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주체적인 삶을 살지 못하고 세상의 지배를 당하고 있던 것이다. 물론, 세상의 기준에 맞게 살아가는 것이 나쁘기만 하다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는 것이 안정감을 줄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나라는 사람이 ‘깨어있다는 자각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자문자답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해 보인다. 내가 나의 인생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알을 깨고 나오려는 투쟁이 있어야 한다. 내가 나답기 위해서 끊임없이 사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항상 깨어있을 수 있다는 것을 푸코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4. 참고문헌
(1)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유튜브
(2) 위험하게 살아라 푸코, 유튜브
(3)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유튜브
(4) 푸코입문, 푸코의 철학, 유튜브
(5) 근대 이성의 본질을 폭로하다, 프레시안 뉴스
3. 결론
푸코의 이야기를 가만히 들어보면 ‘항상 깨어있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세상이 자신의 생각을 일정 방향으로 유도한다고 해서 마치 그것이 올바른 길인 것처럼 느끼고 고스란히 따라간다면 결국 나는 권력자의 생각대로 계속해서 지배를 당하는 존재일 뿐인 것이다. 나는 과연 자유로운가에 대한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면 나는 늘 ‘남이 보는 나’를 기준으로만 살아왔었고 세상의 풍조에 물들어서 남과 같이 살았던 존재였던 것 같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내 스스로를 그 틀에 껴맞추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겉으로는 자유로운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주체적인 삶을 살지 못하고 세상의 지배를 당하고 있던 것이다. 물론, 세상의 기준에 맞게 살아가는 것이 나쁘기만 하다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는 것이 안정감을 줄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나라는 사람이 ‘깨어있다는 자각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자문자답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해 보인다. 내가 나의 인생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알을 깨고 나오려는 투쟁이 있어야 한다. 내가 나답기 위해서 끊임없이 사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항상 깨어있을 수 있다는 것을 푸코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4. 참고문헌
(1)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유튜브
(2) 위험하게 살아라 푸코, 유튜브
(3)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유튜브
(4) 푸코입문, 푸코의 철학, 유튜브
(5) 근대 이성의 본질을 폭로하다, 프레시안 뉴스
추천자료
미셀 푸코 언어, 지식 그리고 권력
[텀페이퍼] 하버마스의 비판이론과 교육
[현대의 서양문화]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에 대해...
현대의서양문화4A)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A+,완...
서양 근현대 철학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에 대해 서술
칸트(Kant)와 도덕교육 - 칸트의 의무론
칸트와 도덕교육 - 칸트의 도덕철학과 의무론
[현대의서양문화 4학년 B형] 18세기에 형성된 계몽주의적 이성에 대한 프랑크푸르트학파(호르...
(사회복지정의론 3학년) 1. 1강에서 6강까지 강의를 들은 후, 인상 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