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담아 흔들어줬다. 그런 후 온도계를 넣고 온도계의 눈금이 더 이상 내려가지 않을 때까지 기다렸다. 물의 어는점은 0℃ 이고 우리가 측정한 온도계의 눈금은 0℃로 나와 오차가 없었다. 하지만 증류수의 끓는점에서는 끓는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크에 물과 끓임 쪽을 넣고 온도계의 높이를 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적당한 높이에 설치하여 스탠드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스탠드에 온도계를 고정 시킬 때 온도계를 너무 세게 고정하면 온도계가 파손될 수 있으니 너무 꽉 조이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그 후 고정된 비커를 hot plate에 올려 스위치를 켜고 유리막대로 저어 골고루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더 빨리 물이 끓을 수 있다. 하지만 너무 세게 할 경우 비커 안의 끓임 쪽이 세게 돌기 때문에 플라스크가 깨질 우려가 있어보였다. 실험결과 끓는점의 측정 결과는 99℃였다. 실험시 온도계를 삽입할 때 온도계를 어느 쪽에 삽입하느냐에 따라 측정되어지는 온도가 조금씩 차이가 날수 있다. 특히 끓는점의 온도를 측정할 때 에는 온도계가 액체의 아래쪽에 있을수록 온도가 조금 높게 측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얼음의 온도를 측정 할 때는 얼음이 많이 있는 부분에 정 가운데 부분에 있을 때와 비커 가장자리에 있을 때의 온도는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실험을 진행할 때 오차가 발생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오차로는 온도를 그냥 보통 눈으로 측정한 값에 비해 비교적 정확하지만 아주 정밀한 차원에서 정확하지 못 하다고 생각한다. 평소 실험에 많이 사용하는 수은온도계로 읽은 눈금 값이 항상 정확한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서 정확한 온도를 알기 위해서는 온도계 보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온도계보정 법과 그에 관한 이론을 알 수 있는 좋은 실험 이였다.
7.참고문헌 (reference)
1)대학화학실험, 권중근·박영조, AUDAX Publishers, 42~45쪽
2)일반화학실험 초판, 대한화학교재연구회, 사이플러스, 41~43쪽
3)유만형 외 2명, 『화학공학실험』, 삼광출판사, 1995, p16~22
4)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28940&categoryId=20000
5)http://blog.naver.com/danny456?Redirect=Log&logNo=80087210012
7.참고문헌 (reference)
1)대학화학실험, 권중근·박영조, AUDAX Publishers, 42~45쪽
2)일반화학실험 초판, 대한화학교재연구회, 사이플러스, 41~43쪽
3)유만형 외 2명, 『화학공학실험』, 삼광출판사, 1995, p16~22
4)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28940&categoryId=20000
5)http://blog.naver.com/danny456?Redirect=Log&logNo=80087210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