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대수명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기대수명의 증가가 합계출산율에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2. 한국, 일본, 대만의 합계출산율 변화에 기대수명 증가가 미치는 영향 고찰
1) 국가별 합계출산율 변화와 기대수명 증가 추이
(1) 한국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는 <그림-1>과 같으며, 기대수명 증가 추이는 <그림-2>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림-1> 한국의 합계출산율 및 기대수명 추이
합계출산율
(단위 : 명)
기대수명
(단위 : 세)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탈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보면, 12년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3년에는 1명 이하인 0.72명을 기록하였다. 반면에 기대수명이 경우에는 2024년 9월 기준으로 볼 때, 12년 81.3세를 기록한 이후 장래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72년에는 89.8세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 것이다.
(2) 일본
일본의 합계출산율을 보면, 한국과 다르게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18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형태를 띄고 있다. 그리고 기대수명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한국과 마찬가지로 보이고 있으며, 72년에는 한국보다 더 많은 91.1세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2> 일본의 합계출산율 및 기대수명 추이
합계출산율
(단위 : 명)
기대수명
(단위 : 세)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탈
일본이 한국보다 합계출산율과 기대수명이 높은 이유는 면적 자체가 한국과 차이가 있으며, 인구 밀집도가 적기 때문에 거주 환경 자체가 한국과는 다르게 양호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선진국가이기 때문에 양육에 대한 부담이 덜한 것도 합계출산율이 한국보다는 덜 감소한다고 생각한다.
(3) 대만
대만의 합계출산율의 경우, 통계청 자료가 없어서 각종 신문기사를 통해서 확인한 수치를 기재하였다. 대만의 합계출산율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22년에 1명 이하로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기대수명은 한국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3> 대만의 합계출산율 및 기대수명 추이
합계출산율
(단위 : 명)
기대수명
(단위 : 세)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탈, 연합뉴스(2024.02.28.)
대만도 한국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국가별 환경이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도시 밀집도가 강하여서 물가가 비싸기 때문에 출산 환경이 좋지 않기
2. 한국, 일본, 대만의 합계출산율 변화에 기대수명 증가가 미치는 영향 고찰
1) 국가별 합계출산율 변화와 기대수명 증가 추이
(1) 한국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는 <그림-1>과 같으며, 기대수명 증가 추이는 <그림-2>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림-1> 한국의 합계출산율 및 기대수명 추이
합계출산율
(단위 : 명)
기대수명
(단위 : 세)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탈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보면, 12년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3년에는 1명 이하인 0.72명을 기록하였다. 반면에 기대수명이 경우에는 2024년 9월 기준으로 볼 때, 12년 81.3세를 기록한 이후 장래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72년에는 89.8세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 것이다.
(2) 일본
일본의 합계출산율을 보면, 한국과 다르게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18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형태를 띄고 있다. 그리고 기대수명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한국과 마찬가지로 보이고 있으며, 72년에는 한국보다 더 많은 91.1세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2> 일본의 합계출산율 및 기대수명 추이
합계출산율
(단위 : 명)
기대수명
(단위 : 세)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탈
일본이 한국보다 합계출산율과 기대수명이 높은 이유는 면적 자체가 한국과 차이가 있으며, 인구 밀집도가 적기 때문에 거주 환경 자체가 한국과는 다르게 양호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선진국가이기 때문에 양육에 대한 부담이 덜한 것도 합계출산율이 한국보다는 덜 감소한다고 생각한다.
(3) 대만
대만의 합계출산율의 경우, 통계청 자료가 없어서 각종 신문기사를 통해서 확인한 수치를 기재하였다. 대만의 합계출산율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22년에 1명 이하로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기대수명은 한국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3> 대만의 합계출산율 및 기대수명 추이
합계출산율
(단위 : 명)
기대수명
(단위 : 세)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탈, 연합뉴스(2024.02.28.)
대만도 한국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국가별 환경이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도시 밀집도가 강하여서 물가가 비싸기 때문에 출산 환경이 좋지 않기
키워드
추천자료
2020년 2학기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기말시험 과제물(스페인 독감)
2020년 2학기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코로나 대유행, 자신의 견해)
2023년 2학기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기말시험 과제물1(2023년 노벨생리의학상 연구)
2023년 2학기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기말시험 과제물2(크리스퍼 cas 9 기술)
2024년 2학기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합계출산율 변화, 기대수명)
2024년 2학기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서평)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mRNA 백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024년 2학기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기말시험 과제물(커리코와 와이스만 연구와 응용성과)
2024년 2학기 기말과제물(온라인과제물)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농축산환경학 2025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생태계는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