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플라톤, 루소의 저서 중 1권을 선택하여 읽고, 독후감을 작성하시오.
Ⅰ. 서론
Ⅱ. 줄거리와 교육사상
Ⅲ. 에밀에서의 사상과 인상 깊었던 부분
Ⅳ. 결론
Ⅰ. 서론
Ⅱ. 줄거리와 교육사상
Ⅲ. 에밀에서의 사상과 인상 깊었던 부분
Ⅳ. 결론
본문내용
모르기에 일어나는 고통도 견디며 자유를 향해 있는 희망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사회에 집착하기보다는 그 본성에 충실하며 사회에서 살아가며 놓지 않는 희망을 만드는 교육이다. 이것이 통합 자체인 자연인데 자연이 그러한 것이기 때문이다.
Ⅳ. 결론
흔히 하는 말로 ‘인간은 고쳐서 쓸 수 없다’라는 표현이 있다. 인간이란 존재 자체가 이미 본성적으로 자유로 완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신은 인간에게선을 사랑하기 위해 인간에게 양심을, 선의 인식을 위한 이성, 그리고 선을 선택하기 위한 자유를 주었으며 그것과 함께 인간이 이 자유를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자유 역시 허락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자유는 자연의 질서를 넘어서서는 누릴 수가 없다. 루소의 시민종교론의 개념이며 사부아 사제의 신앙고백이기도 한 이 말은 인간 생의 진정한 자유에 대한 의미를 촉구한다. 인간에게 부여된 자유는 그 한계를 벗어남이 고통이요 그것을 지키는 것도 고통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동시에 전혀 다른 결과가 기다린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 한계를 벗어나는 고통은 파멸의 고통이지만 자유를 지키기 위한 고통은 희망이 따르는 진정한 자유로움을 위한 고통이다. 이것이 자연의 법칙이고 이러한 자연의 법칙에 대해 본능적으로 느끼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루소의 교육적 철학이다. 루소는 에밀에서 교육학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인 통합을 이루고자 한다. 자연과 인간 안에서 인간의 자유가 실현되고 발전되는 원천은 바로 인간 자신이며, 이것에 대한 교육이란 바로 인간 양심의 내면 혹은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말한다. 루소의 교육적 철학은 평소 내가 가지고 있던 교육에 대한 인식과 흡사함이 많다고 생각한다. 자연과 인간, 사물 그리고 이것의 통합에 대한 인식 부분이 그러하다. 루소의 시대와 지금은 많은 변화와 더불어 세상이 매우 다르다. 교육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실천할 수 없고 유효하지 않기도 하다. 그러나 지금 세대인 내가 루소의 통합적 교육에 공감할 수 있음은 그가 말하는 교육의 원리가, 인간이 자연적 인간 그대로 존재하는 한 계속 유효할 것이고 이러한 점은 현시대에 더욱더 의미를 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에밀. 장 자크 루소. 이환 옮김. 2015. 돋을새김.
에밀. 장 자크 루소. 문경자 지음. 2018. 생각정거장.
교육고전의 이해. 조화태 권영민 공저. 2020. KNOUPRESS.
Ⅳ. 결론
흔히 하는 말로 ‘인간은 고쳐서 쓸 수 없다’라는 표현이 있다. 인간이란 존재 자체가 이미 본성적으로 자유로 완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신은 인간에게선을 사랑하기 위해 인간에게 양심을, 선의 인식을 위한 이성, 그리고 선을 선택하기 위한 자유를 주었으며 그것과 함께 인간이 이 자유를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자유 역시 허락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자유는 자연의 질서를 넘어서서는 누릴 수가 없다. 루소의 시민종교론의 개념이며 사부아 사제의 신앙고백이기도 한 이 말은 인간 생의 진정한 자유에 대한 의미를 촉구한다. 인간에게 부여된 자유는 그 한계를 벗어남이 고통이요 그것을 지키는 것도 고통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동시에 전혀 다른 결과가 기다린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 한계를 벗어나는 고통은 파멸의 고통이지만 자유를 지키기 위한 고통은 희망이 따르는 진정한 자유로움을 위한 고통이다. 이것이 자연의 법칙이고 이러한 자연의 법칙에 대해 본능적으로 느끼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루소의 교육적 철학이다. 루소는 에밀에서 교육학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인 통합을 이루고자 한다. 자연과 인간 안에서 인간의 자유가 실현되고 발전되는 원천은 바로 인간 자신이며, 이것에 대한 교육이란 바로 인간 양심의 내면 혹은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말한다. 루소의 교육적 철학은 평소 내가 가지고 있던 교육에 대한 인식과 흡사함이 많다고 생각한다. 자연과 인간, 사물 그리고 이것의 통합에 대한 인식 부분이 그러하다. 루소의 시대와 지금은 많은 변화와 더불어 세상이 매우 다르다. 교육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실천할 수 없고 유효하지 않기도 하다. 그러나 지금 세대인 내가 루소의 통합적 교육에 공감할 수 있음은 그가 말하는 교육의 원리가, 인간이 자연적 인간 그대로 존재하는 한 계속 유효할 것이고 이러한 점은 현시대에 더욱더 의미를 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에밀. 장 자크 루소. 이환 옮김. 2015. 돋을새김.
에밀. 장 자크 루소. 문경자 지음. 2018. 생각정거장.
교육고전의 이해. 조화태 권영민 공저. 2020. KNOUPRESS.
추천자료
(교육고전의이해, 공통)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플라톤, 루소, 몬테소리의 저서 ...
(교육고전의이해 4학년)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플라톤, 루소, 몬테소리의 저서 중 1...
(A+ 교육고전의이해, 4 교육학) 프레이리 <페다고지>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플라톤,...
(A+ 교육고전의이해, 4-1 교육학) 플라톤 <변론>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플라톤, 루...
교육4 교육고전의이해 교재에 소개된 플라톤 루소의 저서 중 1권을 선택하여 읽고 독후감
2024년 2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플라톤, 루소의 저서를 읽고 독후감)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교육고전의이해, 공통형)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
2025년 1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플라톤, 루소의 저서를 읽고 독후감)
교육고전의이해_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플라톤, 루소, 몬테소리의 저서 중 1권을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