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정보의 공유
3. 서비스의 공유
4. 자원의 공유

본문내용

1. 서론
학교와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협력관계는 도서관의 목적에 나타나지 않으며 실제로도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초기 공공도서관의 발생 때부터 사서들은 이들 두 기관의 협력 필요성을 제기하여 왔다. 1896년에 한 Cleveland사서는 “사서는 교사들이 다가오기를 기다려서는 안 된다. 사서가 먼저 다가가야 한다.”(Eastman 1896)라고 쓰고 있다. 여러 공공도서관들은 적은 량의 장서를 학생과 교사에게 대출해주는 정책을 유지하였다(Cole 1985, Emery 1917, James 1886). 초기에 있어서의 자원 공유는 어린이들에게 폭넓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어야 하는데 학교는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만한 장서를 제공할 수 없다는 전제에서 비롯되었다.
20세기에 이르러서는 교육에 대한 강조점이 교과서 위주 교육에서 폭넓은 자료의 이용교육으로 전환되게 되었다. 교사와 학생 모두가 학교도서관이나 미디어센터가 교육에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점차적으로 많은 학교에서 장서 구축을 위한 자금도 확보하게 되었다. 1960년대까지 대부분의 학군에서 일반교육재정 편성 시에 관내 학교의 미디어센터 예산을 의무적으로 배정하였다.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는 교과과정에 관련되는 자료에 국한하지 않고 레크레이션 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 충족하려 하였다.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들이 북미지역 전역에 걸쳐 설립됨에 따라 어린이서비스에 대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에도 의문이 제기되었다. 학교는 어린이들에게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당국자와 사서들은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는 취학 전 어린이와 어른들에게 한정해야 하고 학령기 어린이들에 대한 서비스는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에서 전적으로 담당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실제적인 법률검토, 적정예산, 예산삭감 등에 대한 여러 가지 근거들이 점차적으로 마련되어 왔다.
현재는 학교도서관이나 공공도서관 어느 쪽도 어린이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를 전적으로 부담하지는 않고 있다. 두 기관간의 협력에 대한 요구와 장서 및 서비스 개발의 합리화에 대한 요구가 전문가 회의 및 전문학술지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다. 협력의 수준은 각 자치구역의 정치적 환경, 지역사회의 규모, 기관 대표자들 간의 관계, 기타 여러 요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모든 공공도서관 어린이부서는 도서관서비스의 계획에서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두 기관의 밀접한 협력관계는 더 나은 서비스를 이끌어내고 있다.
2. 정보의 공유
공공도서관에서 계속 제기되는 불평은 수많은 학생들의 학교 과제정보 요구를 충족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한 두 명의 학생들이 도서관에 와서 특정 주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3.24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25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