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Plan(계획)
Ⅱ. Do(개선활동 수행)
Ⅲ. Check(결과 평가)
Ⅳ. Act(사후관리)
Ⅴ. 결론 및 제언(향후 결과의 유지관리 계획 포함)
Ⅵ. 성찰일지(팀: 창증감제, 개인: 배느실 적용)
Ⅶ. 참고문헌
Ⅱ. Do(개선활동 수행)
Ⅲ. Check(결과 평가)
Ⅳ. Act(사후관리)
Ⅴ. 결론 및 제언(향후 결과의 유지관리 계획 포함)
Ⅵ. 성찰일지(팀: 창증감제, 개인: 배느실 적용)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주제선정 배경
일 오후 1시 경 한 환자분이 호흡기 증상이 있어 신속항원 검사결과 양성이 나왔다. 이를 보고 우리는 더이상 전파가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 의료진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모색하던 중 감염수칙에 기본적이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손씻기에 대해서 연구하게 되었다.
인스파일러에 따르면 2020년부터 현재까지 COVID-19 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감염 전파율은 매우 빨랐고, 계속 전이 되어 현재는 전국민의 약 44%가 감염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감염예방 수칙이 매우 중요해졌다.
그중에서도 손씻기는 COVID-19 방역지침에서도 강조하듯이 거리두기 및 마스크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감염수칙이다. 이에 COVID-19 이후 손씻기 실천율 향상을 위한 의료인의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자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나. 활동목적 및 기대효과
손씻기는 교차 감염에 의한 병원 감염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임상기술이며, 적정 소독제의 사용과 사용과 정확한 손 씻기 방법이 병행될 떄 효과적인 병원감염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손 씻기 방법과 빈도, 간호행위 별 손 씻기 실태를 조사하여 병원 감염 관리를 위한 중재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 자료수집 및 문제 분석
용어정의
1) 손위생: 아래의 용어를 모두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2) 손씻기(hand washing): 일반 비누나 항균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 을 말한다.
3) 손소독(hand disinfection): 피부소독(antiseptic) 손세척, 피부소독(antiseptic) 손마찰, 피부소독/오염제거/미생물 제거, 항균제제나 비누와 물을 이용한 위생적 손 피부소독, 위생적 손마찰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일 오후 1시 경 한 환자분이 호흡기 증상이 있어 신속항원 검사결과 양성이 나왔다. 이를 보고 우리는 더이상 전파가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 의료진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모색하던 중 감염수칙에 기본적이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손씻기에 대해서 연구하게 되었다.
인스파일러에 따르면 2020년부터 현재까지 COVID-19 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감염 전파율은 매우 빨랐고, 계속 전이 되어 현재는 전국민의 약 44%가 감염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감염예방 수칙이 매우 중요해졌다.
그중에서도 손씻기는 COVID-19 방역지침에서도 강조하듯이 거리두기 및 마스크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감염수칙이다. 이에 COVID-19 이후 손씻기 실천율 향상을 위한 의료인의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자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나. 활동목적 및 기대효과
손씻기는 교차 감염에 의한 병원 감염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임상기술이며, 적정 소독제의 사용과 사용과 정확한 손 씻기 방법이 병행될 떄 효과적인 병원감염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손 씻기 방법과 빈도, 간호행위 별 손 씻기 실태를 조사하여 병원 감염 관리를 위한 중재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 자료수집 및 문제 분석
용어정의
1) 손위생: 아래의 용어를 모두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2) 손씻기(hand washing): 일반 비누나 항균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 을 말한다.
3) 손소독(hand disinfection): 피부소독(antiseptic) 손세척, 피부소독(antiseptic) 손마찰, 피부소독/오염제거/미생물 제거, 항균제제나 비누와 물을 이용한 위생적 손 피부소독, 위생적 손마찰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