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 론
(1) 층류와 난류의 판별기준
(2) 난류와 층류 그리고 전이영역
(3) Reynolds 수
(4) 층류 및 난류유동의 속도분포
3. 실험장치 및 장치
4. 실험방법
2. 이 론
(1) 층류와 난류의 판별기준
(2) 난류와 층류 그리고 전이영역
(3) Reynolds 수
(4) 층류 및 난류유동의 속도분포
3. 실험장치 및 장치
4. 실험방법
본문내용
립한다. 이것에 관해서는 이론적인 증명이 가능하며, 여기서 Vsms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평균속도 이다.
반면에 난류유동이 되면 입자의 관성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관벽근방을 제외하고는 점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다. 그리하여 입자는 통계적으로는 관축에 평행하게 운동하나, 미시적으로 관찰하면 입자 상호간에 출돌과 혼합을 되풀이 하면서 무작위 하게 불규칙한 운동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난동이 비교적 적은 관 벽 근방에서는 큰 속도구배를 가지나, 이를 벗어나면 관 대부분의 유동에서 평탄한 속도분포를 한다.
3. 실험장치 및 장치
유리관을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든 수조 중에 넣음으로서 관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마노미터의 상류 tap는 관의 입구에서 충분히 떨어져서 관내에서의 유속분포가 완전히 형성된 부분에 붙여야 한다
stop watch
<그림 6> 레이놀드 수 측정 실험 장치
4. 실험방법
① 유리관의 밸브를 조절하여 적당한 유속을 얻고 정상상태에 도달할때까지 기다린다.
② 유속을 측정하고 마노미터로부터 압력손실을 읽는다.
③ 물감을 흘러 보내면서 흐름의 모양을 관찰한다.
④ 이상의 실험을 유속을 차차 증가시켜가면서 되풀이 한다.
5. 참고문헌
(1) 유체역학의 공학원리, 유동훈, 새론, 1997년, p.191~195
(2) 화하공학유체역학, 김민찬 윤도영, Drentic Hall PTR, p.121~122
(3) 유체역학, 김경호 외3인, 사이택미디어, 1999년, 15장
(4) 화학공학실험.
(5) 유체역학, 아진, 명주사, 2003, p.330~335
반면에 난류유동이 되면 입자의 관성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관벽근방을 제외하고는 점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다. 그리하여 입자는 통계적으로는 관축에 평행하게 운동하나, 미시적으로 관찰하면 입자 상호간에 출돌과 혼합을 되풀이 하면서 무작위 하게 불규칙한 운동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난동이 비교적 적은 관 벽 근방에서는 큰 속도구배를 가지나, 이를 벗어나면 관 대부분의 유동에서 평탄한 속도분포를 한다.
3. 실험장치 및 장치
유리관을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든 수조 중에 넣음으로서 관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마노미터의 상류 tap는 관의 입구에서 충분히 떨어져서 관내에서의 유속분포가 완전히 형성된 부분에 붙여야 한다
stop watch
<그림 6> 레이놀드 수 측정 실험 장치
4. 실험방법
① 유리관의 밸브를 조절하여 적당한 유속을 얻고 정상상태에 도달할때까지 기다린다.
② 유속을 측정하고 마노미터로부터 압력손실을 읽는다.
③ 물감을 흘러 보내면서 흐름의 모양을 관찰한다.
④ 이상의 실험을 유속을 차차 증가시켜가면서 되풀이 한다.
5. 참고문헌
(1) 유체역학의 공학원리, 유동훈, 새론, 1997년, p.191~195
(2) 화하공학유체역학, 김민찬 윤도영, Drentic Hall PTR, p.121~122
(3) 유체역학, 김경호 외3인, 사이택미디어, 1999년, 15장
(4) 화학공학실험.
(5) 유체역학, 아진, 명주사, 2003, p.330~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