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신경외과 뇌내출혈ICH 케이스 [intracerebral hemorrhage]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뇌내출혈ICH 케이스 [intracerebral hemorrhag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문헌고찰
4. 간호과정
5. 결론 및 제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석션 사용법을 교육해드리겠습니다. 따라해보시고 어려우시다면 말씀해주세요. 환자 호흡이 불편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석션해주세요”
<방법>
- 식사 전에 suction을 시행하고 Feeding 한 후에 1시간~1시간 30분동안은 suction을 시행하지 않는다.
- 캔에 생리식염수를 붓고 위생장갑을 끼고 airway를 부드럽게 삽입한다.
- 흡인튜브에 카테터를 연결한후. 흡인기의 스위치를 켜고 적당한 압력으로 조절한후, 카테터 끝을 생리 식염수에 적신다.
- 엄지손가락을 카테터 구멍에서 떼고 구광으로 부드럽게 10~ 15cm 정도 삽입하는데 저항감 느껴질시 무리하게 삽입하지 않는다.
- 카테터의 구멍을 막고 부드럽게 회전시키며 빼내면서 10~ 15초간 흡인(15초 이상 흡인시 저산소증 유발)한뒤 카테터 구멍에서 손가락을 땐다,
- 카테터에 생리식염수를 통과시켜서 세척한다.
- 간헐적으로 흡입하되 재흡인시 20~30초 간격을 두고 재흡인하고, 총 흡인시간은 5분 넘지않도록 한다
- 흡인 끝난후 입안의 airway 빼고, 흡인기 스위치 끈후 물품을 정리하고 세척한 후 손을 씻는다.
- 흡인 시간, 분비물 특성, 분비물 양, 흡인전후 대상자의 호흡특성을 간호사에게 말해준다.
7. 간병인에게 타진법을 교육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000입니다. 호흡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타진법을 교육해드리겠습니다. 따라해보시고 어려우시다면 말씀해주세요. 환자 호흡이 불편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시행해주세요.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합니다.
타진할 부위를 가운이나 타월로 덮는다.
손을 컵 모양으로 오므려서 환부의 폐엽마다 1~2분 동안 타진한다.(*타진기구를 사용하기도 함)
양손으로 번갈아 타진하면서 움직일 때 마다 펑펑소리가 나도록 한다.
대상자가 심호흡할 때에는 흡기와 호기 중 수행할 수 있으며 각 부위를 3~5분 동안 타진한다.
척추나 견갑골등 뼈 돌출부위는 타진하지 않으며, 유방, 흉골, 척추, 신장과 같이 쉽게 손상 받는 부위는 피한다.
(*타진법은 골절이나 출혈이 우려되는 대상자에게는 적용하지 않음)
타진후 기침을 돕는다.
청진기를 이용해 호흡음의 변화가 있는지 폐부분을 청진한다.
손위생을 하고 대상자의 상태를 간호사에게 알린다.
8. 정서적 지지와 감정을 케어한다. “환자분 숨쉬기가 힘드시겠어요. 그래도 가래가 많이 줄어들고 있어요. 환자분의 감정과 힘듬 저도 압니다. 조금 더 힘을 내봅시다”
이론적 근거
1. 활력 징후와 산소포화도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여 적절하게 중재하기 위함이다.
2. 산소를 직접 주입함으로써 신체의 산소화를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3. 객담양상을 파악하여 분비물로 인한 호흡 폐색을 예방한다.
4. 주기적 석션은 효율적 기도청결과 가스교한을 용이하게한다.
5. 반좌위는 횡경막 확장을 용이하게 하여 호흡을 편하게 해준다.
6. 주기적 석션으로 기도 청결을 유지하고 가스교환을 용이하게한다.
7. 타진법을 통해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분비물이 기도나 폐에 붙어 있을 때 기관지와 기관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키며 기도내 분비물 축적을 막는다.
8. 정서적 지지를 통해 환자의 호흡을 격려한다.
간호평가
단기 목표
48시간 이내 대상자의 Spo2 수치가 95%에 도달한다.
→ 대상자는 48시간 후 Spo2 수치가 95%에 도달했다.(달성)
2. 48시간 이내 대상자는 빈호흡이 28회에서 18회로 정상호흡에 도달한다.
→ 대상자는 48시간 후 빈호흡이 28회에서 18회로 정상범위 내로 호전되었다. (달성)
장기 목표
3. 7일 후 대상자는 산소 공급 없이도 숨을 편안하게 쉴 수 있다.
→ 대상자는 산소 공급 없이도 숨을 편안하게 쉴 수 있다 (달성)
4. 7일 후 대상자가 호흡으로 인한 불편감을 보이지 않는다.
→ 대상자는 호흡으로 인한 불편감을 보이지 않는다. (달성)
6) 결론 및 제언
성인간호학에서 신경계에 대한 학습을 하고 가서 그런지 마냥 외우고만 갔던 것들을 직접 보니 신기하고 새롭게 배우는 느낌이 들어 앞으로 공부를 할 때 외우기만 하지 말고 오래 기억에 남도록 이해하고 적용하면서 공부를 해야 임상에서도 쓸 일이 많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이00님과 ICH를 CASE로 잡고 책을 살펴보며 신경계에 대해 다시 공부해보는 계기가 되었고 신경계의 다른 질환들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게 되어서 뜻깊었다. 또한 신경계에서는 특히 진단검사 말고도 척도로 사용하는 검사들이 많은데, GCS, LOC, MOTOR, MMSE-K 등 사정 하는 방법을 관찰하고 배우며 더 알게 되었다. 대상자가 호전되어 상태가 좋아져 퇴원하게 된다면 정말 뿌듯할 것 같다 생각하였다. 앞으로의 실습은 내가 미래의 어떤 간호사가 되어야 할지를 알려주는 지표와도 같다고 생각하고 더욱더 열심히 하고 공부할 것이다. 00병동에는 대부분이 만성기 환자여서 치료할 수 있는 것도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더 연구하고 고민을 하는 과정에서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직접 적용할 수 있어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내가 정말 간호사가 되어서 지금 내가 실습생 신분이라 하지 못했던 것들까지 다 하면서 환자가 좋아지는 모습을 직접 본다면 얼마나 뿌듯할까 설레기도 하였다. 앞으로도 많은 실습을 통해 여러 케이스의 환자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싶고, 많은 것을 배우고 싶다.
대상자는 상하지 마비로 홀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신체 기동성 장애가 있었다. 간호진단을 적용해 수행하면서 호흡이 전체적으로 편안해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석션을 2시간에 한 번 시행하였지만 1시간에 한 번 했다면 대상자의 분비물 제거가 더 효과적이였을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또 가습기를 옆에 비치했다면 분비물 배출에 더 용이했을 것 같다.
7) 참고문헌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황옥남 외9,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I . 현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II . 현문사
병동 EMR
2023 성과기반 성인간호학 임상교육 실습지침서
google 이미지 : www.google.co.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25.09.28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7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