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의 역사
2.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의 현재 상태
3. 성공적인 외국 산업디자인 / 국가 정책 사례
4.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
Ⅲ. 결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의 역사
2.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의 현재 상태
3. 성공적인 외국 산업디자인 / 국가 정책 사례
4.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기 영업실적은 12.3% 증가.
▷ 영국
“The World's Most Creative Nation"도약을 위해 정부차원의 전담기구 설치 및 국가적인 정책 지원.
‘창조사업’은 총 부가가치 생산의 10%, 수출 9% 차지.
‘창조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여 높은 성장세 유지.
▷ 일본
총리를 위원장으로 정부, 기업(도요타, 마쯔시타 등 20여개) 문화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디자인 중심의 국가브랜드전략 추진.
전통적 디자인, 기능, 콘텐츠 개발, 향후 국가 4대 서비스 산업의 하나로 디자인을 선정.
2010 년 디자인 비즈니스 규모 12조엔, 디자인 인력수요 40만명 전망
▷ 미국
‘Innovate America' 고부가가치 지식기반 서비스.
미국의 미래를 위한 5가지 정책 아젠다 중 디자인이 속함.
▷ 싱가포르
국제 건축가 연맹 본부 유치.
‘09년 세계 산업디자인 대회 유치.
정부 차원의 산업디자인 정책 추진.
▷ 중국
디자인산업 촉진회 설립
연간 3만명의 디자인 인력 배출
문화의 산업화, 장기적으로 전세계 디자인 허브를 지향.
4.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
우리나라는 일부 기업을 제외한 다수의 기업들과 정부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 및 투자가 부족해 디자인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디자인 경쟁력도 과거에 비해 조금씩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선진국의 80~90%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고, 산업규모도 7조원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영세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 기업, 국민이 모두 힘을 모아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꾀하여야 한다.
정부는 단기적인 성과만을 바라보지 말고, 먼 미래를 바라보는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일관되고 종합적인 국가적 차원의 디자인 정책을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그 동안의 디자인 정책은 단기적인 목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고, 한번 추진한 정책을 꾸준히 밀어 붙이는 뚝심이 없는 정책인 경우가 허다했다. 그리고 디자인 전문기업과 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디자인 전문기업에 대한 지원과 디자인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기업은 디자인 R&D 투자를 확대해야 하고, 디자인에 대한 투자비용을 보다 과감히 높여야 한다. 투자가 있어야 좋은 결과가 있을 수 있다. 투자 없이 좋은 성과만을 바라는 것은 사과나무 밑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또한 디자인 전문 인력 채용을 늘리고, 기존의 직원들에게도 디자인의 중요성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은 디자인의 중요성을 깨닫고 어렸을 적부터 창의력을 중시하는 교육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주입식 수동식 교육 하에서는 훌륭한 디자인과 좋은 디자인산업을 기대할 수 없다. 그동안의 잘못된 인식을 바꾸고 디자인에 대한 시선을 바로 잡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 다자인 산업의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한국의 산업디자인의 역사와 현황, 성공적인 외국 기업사례나 국가 정책 사례,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차례로 기술해 보았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정부와 기업들이 산업디자인 육성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노력이나 투자의 정도가 선진국이나 경쟁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성공적인 외국의 기업들이나 국가를 보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 멀게만 느껴지고, 지금 우리가 가고 있는 길이 맞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저력을 믿는다. 올바른 방향과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정부, 기업, 국민이 모두 힘을 모아 디자인 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켜 나간다면 긍정적인 미래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 영국
“The World's Most Creative Nation"도약을 위해 정부차원의 전담기구 설치 및 국가적인 정책 지원.
‘창조사업’은 총 부가가치 생산의 10%, 수출 9% 차지.
‘창조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여 높은 성장세 유지.
▷ 일본
총리를 위원장으로 정부, 기업(도요타, 마쯔시타 등 20여개) 문화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디자인 중심의 국가브랜드전략 추진.
전통적 디자인, 기능, 콘텐츠 개발, 향후 국가 4대 서비스 산업의 하나로 디자인을 선정.
2010 년 디자인 비즈니스 규모 12조엔, 디자인 인력수요 40만명 전망
▷ 미국
‘Innovate America' 고부가가치 지식기반 서비스.
미국의 미래를 위한 5가지 정책 아젠다 중 디자인이 속함.
▷ 싱가포르
국제 건축가 연맹 본부 유치.
‘09년 세계 산업디자인 대회 유치.
정부 차원의 산업디자인 정책 추진.
▷ 중국
디자인산업 촉진회 설립
연간 3만명의 디자인 인력 배출
문화의 산업화, 장기적으로 전세계 디자인 허브를 지향.
4.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
우리나라는 일부 기업을 제외한 다수의 기업들과 정부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 및 투자가 부족해 디자인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디자인 경쟁력도 과거에 비해 조금씩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선진국의 80~90%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고, 산업규모도 7조원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영세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 기업, 국민이 모두 힘을 모아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꾀하여야 한다.
정부는 단기적인 성과만을 바라보지 말고, 먼 미래를 바라보는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일관되고 종합적인 국가적 차원의 디자인 정책을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그 동안의 디자인 정책은 단기적인 목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고, 한번 추진한 정책을 꾸준히 밀어 붙이는 뚝심이 없는 정책인 경우가 허다했다. 그리고 디자인 전문기업과 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디자인 전문기업에 대한 지원과 디자인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기업은 디자인 R&D 투자를 확대해야 하고, 디자인에 대한 투자비용을 보다 과감히 높여야 한다. 투자가 있어야 좋은 결과가 있을 수 있다. 투자 없이 좋은 성과만을 바라는 것은 사과나무 밑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또한 디자인 전문 인력 채용을 늘리고, 기존의 직원들에게도 디자인의 중요성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은 디자인의 중요성을 깨닫고 어렸을 적부터 창의력을 중시하는 교육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주입식 수동식 교육 하에서는 훌륭한 디자인과 좋은 디자인산업을 기대할 수 없다. 그동안의 잘못된 인식을 바꾸고 디자인에 대한 시선을 바로 잡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 다자인 산업의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한국의 산업디자인의 역사와 현황, 성공적인 외국 기업사례나 국가 정책 사례, 우리나라 산업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차례로 기술해 보았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정부와 기업들이 산업디자인 육성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노력이나 투자의 정도가 선진국이나 경쟁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성공적인 외국의 기업들이나 국가를 보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 멀게만 느껴지고, 지금 우리가 가고 있는 길이 맞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저력을 믿는다. 올바른 방향과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정부, 기업, 국민이 모두 힘을 모아 디자인 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켜 나간다면 긍정적인 미래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추천자료
중소기업의 마케팅 믹스 전략 ((주)삼립산업 현대 프린텍)
Custom Molds 경영혁신 전략보고서 -수직적통합 금형산업 CASE MP MANAGERIAL PRACTICE
[만화][애니메이션][만화산업]만화이론, 애니메이션이론 고찰과 애니메이션의 제작 기법, 애...
[리모델링][리모델링시장][리모델링산업]리모델링의 정의, 리모델링의 특성, 리모델링의 성장...
[국제경영] 인도의 IT산업[우수평가자료]
(국제경영,글로벌경영) A+자라(zara)의 한국진출 성공사례 -기업분석 산업구조분석.stp, swo...
나주 천연염색 지역 경제 효과, 지역 개발, 천연 염색 산업, 성공 사례, 경제 개발, 경제 효...
[A+] [산업전시박람회관리론] LIGHTING FAIR 2010 조사보고서
[A+레포트]우리나라 요트산업의 현황과 전망 및 활성화 방안
글로벌 환경의 변화 마케팅,환경.단수산업,혁신마케팅,엠엔에이,레노버엠엔에이,엔엔에이성공...
[기술개발전략]기술개발전략과 정보보호기술, 환경기술, 기술개발전략과 항공기재료산업, 통...
모바일 콘텐츠와 모바일 게임 산업
컨벤션(convention)산업의 특성과 개선방안
[컴퓨터의이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과정과 컴퓨터산업에 기여한 점 그리고 최신동향/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