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모호하며, 편견에 치우쳐 있고, 추리에 의존하며, 정확하지 않다.
⑤ 맞춤법상의 오류가 있다.
⑥ 반복된 표현, 장황한 표현, 진부한 용어를 사용한다.
⑦ 의미가 없고, 비판적이며, 과장되게 표현한다.
⑧ 클라이언트와 상황에 대한 독단적인 견해의 표현, 특히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난 또는 부정적인 낙인을 붙인다.
⑨ 행위자가 식별되지 않는 수동태 문장으로 표현한다.
3) 기록의 유의사항
- 기록을 하기 전에 클라이언트에게 양해와 동의를 구한다. 기록을 하는 목적과 기록이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간략하게 이야기한다.
- 녹음이나 녹화를 할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비밀스럽게 녹음을 하거나 녹화를 하는 것은 좋지 않다. 반드시 허락을 구하고 시작하며, 중간에 클라이언트가 불편해 하면 중단한다.
- 클라이언트와 면담을 하면서 기록을 할 때, 메모하는 것은 최소한으로 줄인다. 사회복지사가 기록에 치중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가 자신에게 관심이 없다고 느낄 수도 있고, 면담의 진행에 방해를 주기도 한다.
- 사실적인 내용이나 약속 등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기록한다.
- 면담이 끝난 후 잊어버리기 전에 간단하게라도 빨리 메모해 두는 습관을 갖는다.
- 기록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공개되어서는 안된다. 다른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신경을 쓴다.
- 기록을 슈퍼비전이나 사례회의에 사용할 경우 클라이언트의 사적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5. 기록과 클라이언트의 사생활보호의 권리
-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구하고 받는 동안 본인, 환경, 대인관계에 대한 정보를 전하고 이 정보는 기록의 핵심이 된다. 이런 정보에 대한 폭넓은 접근은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을 높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와 기관은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록에 포함될 정보의 유형을 정하고 그 기록의 보관, 공개과정의 규정을 두어야 한다.
- 클라이언트의 사생활 보호 지침(Hepworth, Rooney & Larsen, 1997; Kagle, 1997)
① 서비스 제공에 필요하거나 서비스 전달 및 평가와 관련된 것만 기록한다.
② 클라이언트의 매우 사적인 생활이나 비밀스런 행동 등 민감한 정보는 자세하게 기록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한다.
③ 정확한 것으로 입증된 정보만 기록하고, 부정확한 것으로 확인되면 삭제하거나 이전에 기록된 정보가 정확치 않음을 추가로 기입한다.
④ 사례기록은 반드시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곳에 보관하고 기록파일에 빈번히 접근해야 하는 사람만이 잠금장치를 열 수 있도록 한다.
⑤ 특별히 허가된 매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록파일 자체를 기관외부로 내보내지 않는다.
⑥ 면담중이나 회의 중에 사례기록을 방치해 두거나 일관 중에 책상 위에 펼쳐두어 아무나 볼 수 있게 해서는 안되며, 하루일과를 마치면 기록을 제대로 보관하고 퇴근해야 한다.
⑦ 전산화된 기록은 암호장치를 두어 합법적 권한을 가진 사람만이 접근하도록 한다.
⑧ 사회복지기관은 회부기관이나 개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에 대해 규칙을 갖고 있어야 하며, 기관의 절차를 사회복지사가 잘 지킬 수 있도록 훈련하고 감독하여야 한다.
<참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김혜란,홍선미,공계순 / 나남출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윤현숙 외 6인 / 동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1급사회복지사기본서 / 나눔의 집
http://blog.empas.com/sarahpa/17717125 - Vision & Revival 2008
http://blog.naver.com/e7079/130031102424
네이버 카페 - 사회복지사 1,2급 취득 대표카페 사회복지스쿨
⑤ 맞춤법상의 오류가 있다.
⑥ 반복된 표현, 장황한 표현, 진부한 용어를 사용한다.
⑦ 의미가 없고, 비판적이며, 과장되게 표현한다.
⑧ 클라이언트와 상황에 대한 독단적인 견해의 표현, 특히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난 또는 부정적인 낙인을 붙인다.
⑨ 행위자가 식별되지 않는 수동태 문장으로 표현한다.
3) 기록의 유의사항
- 기록을 하기 전에 클라이언트에게 양해와 동의를 구한다. 기록을 하는 목적과 기록이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간략하게 이야기한다.
- 녹음이나 녹화를 할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비밀스럽게 녹음을 하거나 녹화를 하는 것은 좋지 않다. 반드시 허락을 구하고 시작하며, 중간에 클라이언트가 불편해 하면 중단한다.
- 클라이언트와 면담을 하면서 기록을 할 때, 메모하는 것은 최소한으로 줄인다. 사회복지사가 기록에 치중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가 자신에게 관심이 없다고 느낄 수도 있고, 면담의 진행에 방해를 주기도 한다.
- 사실적인 내용이나 약속 등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기록한다.
- 면담이 끝난 후 잊어버리기 전에 간단하게라도 빨리 메모해 두는 습관을 갖는다.
- 기록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공개되어서는 안된다. 다른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신경을 쓴다.
- 기록을 슈퍼비전이나 사례회의에 사용할 경우 클라이언트의 사적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5. 기록과 클라이언트의 사생활보호의 권리
-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구하고 받는 동안 본인, 환경, 대인관계에 대한 정보를 전하고 이 정보는 기록의 핵심이 된다. 이런 정보에 대한 폭넓은 접근은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을 높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와 기관은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록에 포함될 정보의 유형을 정하고 그 기록의 보관, 공개과정의 규정을 두어야 한다.
- 클라이언트의 사생활 보호 지침(Hepworth, Rooney & Larsen, 1997; Kagle, 1997)
① 서비스 제공에 필요하거나 서비스 전달 및 평가와 관련된 것만 기록한다.
② 클라이언트의 매우 사적인 생활이나 비밀스런 행동 등 민감한 정보는 자세하게 기록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한다.
③ 정확한 것으로 입증된 정보만 기록하고, 부정확한 것으로 확인되면 삭제하거나 이전에 기록된 정보가 정확치 않음을 추가로 기입한다.
④ 사례기록은 반드시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곳에 보관하고 기록파일에 빈번히 접근해야 하는 사람만이 잠금장치를 열 수 있도록 한다.
⑤ 특별히 허가된 매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록파일 자체를 기관외부로 내보내지 않는다.
⑥ 면담중이나 회의 중에 사례기록을 방치해 두거나 일관 중에 책상 위에 펼쳐두어 아무나 볼 수 있게 해서는 안되며, 하루일과를 마치면 기록을 제대로 보관하고 퇴근해야 한다.
⑦ 전산화된 기록은 암호장치를 두어 합법적 권한을 가진 사람만이 접근하도록 한다.
⑧ 사회복지기관은 회부기관이나 개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에 대해 규칙을 갖고 있어야 하며, 기관의 절차를 사회복지사가 잘 지킬 수 있도록 훈련하고 감독하여야 한다.
<참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김혜란,홍선미,공계순 / 나남출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윤현숙 외 6인 / 동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1급사회복지사기본서 / 나눔의 집
http://blog.empas.com/sarahpa/17717125 - Vision & Revival 2008
http://blog.naver.com/e7079/130031102424
네이버 카페 - 사회복지사 1,2급 취득 대표카페 사회복지스쿨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본인의 가족 혹은 친구 중 한명을 선정하여 사정도구(3개 이상)를 활용...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에서 면접의 기초 기술에 대하여
사회복지실천과 행동수정모델(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설진화, 양서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어려운 클라이언트 대상의 개입기술 핵심요약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중간단계의 개입기술 - 조언기술, 정보제공기술, 설명기술, 지지기술,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중간단계의 개입기술 _재명명기술, 해석기술, 도전과 직면기술, 협상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을 정리하고 그 중 어떤 분야에서 일하고 싶...
사회복지전문화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와 ‘...
구조적가족치료 및 가족상담사례(가족상담일지, 구조적가족치료모델, 가족치료시연, 부모와상...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전미사회복지사협회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가 사용할 수 있는 기술 12...
사회복지실천기술론-주어진 사례를 ‘과제중심모델’에 근거하여 개입계획을 세우시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정폭력피해의 클라이언트(여러 사정도구를 활용항 자신이나 주위에서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모델(심리사회적 모델, 인지행동모델, 인간중심모델, 과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잔여주의와 제도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