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씨름의 역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씨름
5. 현대씨름(프로씨름)
III 한국씨름과 일본스모의 비교
1 스모의 역사
2. 씨름과 일본의 운영형태 비교
3. 한국 씨름의 특징
4. 일본 스모의 특징
IV IMF로 인한 씨름의 쇠퇴
V 씨름의 재건 방안
Ⅵ 결 론
<참고문헌>
II 씨름의 역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씨름
5. 현대씨름(프로씨름)
III 한국씨름과 일본스모의 비교
1 스모의 역사
2. 씨름과 일본의 운영형태 비교
3. 한국 씨름의 특징
4. 일본 스모의 특징
IV IMF로 인한 씨름의 쇠퇴
V 씨름의 재건 방안
Ⅵ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 생각한다.
2) 씨름 기술의 개발
우리 씨름은 서로의 샅바를 잡고 있는 상황에서 거의 대부분을 발의 기술로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경기로써, 어떻게 보면 일본의 스모나 K-1 등과 같이 손발이 자유로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것 보다 그 흥미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좀 더 현란하고 스펙터클한 기술들의 개발로 보는 이들에게 재미와 흥분을 시킬 수 있는 경기를 만드는 것이 우리 씨름 재건 방안 중에 하나 일 것이다.
3) 중계 시간의 적절성
예전 부흥기 때의 씨름은 주말 낮에 이루어졌었다. 평일에 씨름 경기가 열린다면 저녁시간 때에 좋을 것이라 보인다. 아마, 2군, 프로 등 3개에서 4개로 나눠졌을 때를 가정한다면 1시정도부터 시작하여 낮은 등급부터 차례대로 경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래서 가장 볼만한 프로 1군 경기가 직장인의 퇴근시간과 대학생들의 수업 끝나는 시간을 계산해서 7시쯤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보인다. 물론 tv에서도 생중계를 해주는 것이다. 그래서 9시쯤 경기가 끝나서 50분 뒤 스포츠 뉴스에서 그 결과가 보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4) 경기운영 측면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씨름의 전용 경기장의 건축이 아닐까 한다. 일본의 스모만 봐도 그들은 전용 경기장을 갖고 있다. 경기가 열릴 때마다 체육관을 하나 빌려 씨름판을 만들고 하는 번거러움과 전통 스포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전용 경기장은 필요한 것이다.
씨름 선수들에게 맞는 대기실을 만들어 이들의 컨디션을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경기를 좀 더 재미있게, 선수들을 좀 더 가까이 볼 수 있게끔 모래판과 관중석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만들어 선수와 관중들이 경기에 제대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가장 첫 경기가 점심 때 부터 열리고 1군 경기가 저녁시간 때에 열린다면 도시락을 먹으면서 동시에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좀 더 편한 자세에서 관람 할 수 있도록 편안한 좌석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경기규칙의 간소화가 필요 할 것이다. 종전에는 씨름판 밖으로 나간다면 다시 모래판으로 돌아와 재시작이 되었지만, 밖으로 나가는 것도 지는 것으로 하여 경기의 처짐을 막고, 샅바를 항상 잡고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한순간 샅바에 손을 빼, 다리를 잡고 넘길 수 있는 필살기술 같은 것을 허용하여(단 성공하지 못할 경우 패하는 것으로 함) 경기의 흥미 및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태권도처럼 씨름의 국기화가 필요 할 것이다. 씨름 기술, 경기방식의 통일화, 생활체육으로 만들기 위한 활성화로 곳곳에 경기장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최고 국기인 만큼 선수들에게 그만큼의 대우가 필요 할 것이다. 일본의 스모처럼 대회우승자에게 나라의 영웅이라는 명예와 부를 안겨주는 것처럼 우리에게도 씨름으로 성공하면 지금의 박지성이나 김연아처럼 나라의 영웅이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씨름의 소중함을 알리는 것이다.
또한 프로와 아마의 경기규칙을 동일시하고 아마에서 성적이 좋은 선수는 프로로 등극하고, 프로에서 성적이 좋지 않은 선수는 2군으로, 더 성적이 좋지 못하다면 아마로 내려가는 규칙이 필요 할 것이다.
5) 인재발굴과 육성
지금 가장 시급한 문제로써 씨름단의 창설이다. 2004년 이후 겨우 단 2개의 구단만이 남아 있다. 적어도 프로씨름이라면 축구나 야구처럼 각 지역 별 팀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프로 팀을 주축으로 2, 3군 등의 팀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프로보다 더 활성화 되어야 할 아마 팀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아래, 인재의 양성이 필요 할 것이다. 초등학교서부터 씨름부를 설립하고, 씨름 선수 전문 양성 학교를 만들어 프로와 아마 팀에 질 좋고 많은 선수들을 보내는 것이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요즘 한창 인기있는 축구처럼 호나우도, 카카와 같은 스타의 발굴로 인해 씨름의 인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6) 씨름의 세계화
마지막으로 씨름이 다시금 재 부흥이 일어난다면 씨름의 세계화가 필요 할 것이다. 일본처럼 외국의 선수들을 영입하고, 세계를 돌며 씨름을 알리는 대회를 여는 것이 필요하고 외국의 선수들을 초청하여 세계대회를 한국에서 치루는 대회들이 생겨나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 씨름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올리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일 것이다.
Ⅵ 결 론
우리나라의 씨름은 약 4세기부터 유래되어 천 5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씨름은 우리민족의 정신이 면면히 이어져 온 전통문화이자 놀이로서, 한국의 역사 발전과 함께 현대적인 스포츠로 발전되어 왔고, 다양한 스포츠가 발달하고 있는 오늘에도 씨름은 국민들의 전통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IMF 이후의 경기침체로 인하여 씨름 팀의 해체로 씨름의 위기를 맞고 있는 현재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우리 국민들의 의식개선일 것이다. IMF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고 있는 지금 석유 값 급등,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허리를 제대로 펼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우리나라의 스포츠 관객의 동원이 예전만큼 힘들다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 볼 수 도 있다. 하지만 이런 힘들 때 일수록 국민들은 삶의 고단함을 우리의 전통 스포츠인 씨름을 통해 그 시름을 달래고 우리나라의 자부심을 느껴야할 가장 적절한 시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또한 문화상품이 국력이 되어가고 있는 지금 우리의 전통문화를 갈고 닦으며 상품화하여 세계에 널리 알려 우리의 힘을 알려야 할 때이다. 그 문화상품에 중심이 되어야 할 씨름이 우리에게 가장 소홀한 대접을 받고 있다면 과연 한국이라는 전통 깊은 나라의 명맥을 이어갈 수 없을 것이다.
지금이야 말로 우리 국민 모두가 힘을 모아 전통적인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어느 나라에도 뒤처지지 않은 문화상품이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할 때이고 일제 시대와 전쟁을 통해 우리의 전통적인 문화 계승이 끊겼던 끈을 다시금 이어야 할 때인 것이다.
<참고문헌>
이만기(2002), ‘씨름’, 대원사
김목경(1993), ‘한국 씨름의 스포츠적 성격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정위곤(2003), ‘국기씨름’, 홍경
중앙대학교(1993), ‘한일 씨름과 일본스모의 비교’,한국민속학연구소
2) 씨름 기술의 개발
우리 씨름은 서로의 샅바를 잡고 있는 상황에서 거의 대부분을 발의 기술로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경기로써, 어떻게 보면 일본의 스모나 K-1 등과 같이 손발이 자유로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것 보다 그 흥미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좀 더 현란하고 스펙터클한 기술들의 개발로 보는 이들에게 재미와 흥분을 시킬 수 있는 경기를 만드는 것이 우리 씨름 재건 방안 중에 하나 일 것이다.
3) 중계 시간의 적절성
예전 부흥기 때의 씨름은 주말 낮에 이루어졌었다. 평일에 씨름 경기가 열린다면 저녁시간 때에 좋을 것이라 보인다. 아마, 2군, 프로 등 3개에서 4개로 나눠졌을 때를 가정한다면 1시정도부터 시작하여 낮은 등급부터 차례대로 경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래서 가장 볼만한 프로 1군 경기가 직장인의 퇴근시간과 대학생들의 수업 끝나는 시간을 계산해서 7시쯤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보인다. 물론 tv에서도 생중계를 해주는 것이다. 그래서 9시쯤 경기가 끝나서 50분 뒤 스포츠 뉴스에서 그 결과가 보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4) 경기운영 측면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씨름의 전용 경기장의 건축이 아닐까 한다. 일본의 스모만 봐도 그들은 전용 경기장을 갖고 있다. 경기가 열릴 때마다 체육관을 하나 빌려 씨름판을 만들고 하는 번거러움과 전통 스포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전용 경기장은 필요한 것이다.
씨름 선수들에게 맞는 대기실을 만들어 이들의 컨디션을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경기를 좀 더 재미있게, 선수들을 좀 더 가까이 볼 수 있게끔 모래판과 관중석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만들어 선수와 관중들이 경기에 제대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가장 첫 경기가 점심 때 부터 열리고 1군 경기가 저녁시간 때에 열린다면 도시락을 먹으면서 동시에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좀 더 편한 자세에서 관람 할 수 있도록 편안한 좌석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경기규칙의 간소화가 필요 할 것이다. 종전에는 씨름판 밖으로 나간다면 다시 모래판으로 돌아와 재시작이 되었지만, 밖으로 나가는 것도 지는 것으로 하여 경기의 처짐을 막고, 샅바를 항상 잡고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한순간 샅바에 손을 빼, 다리를 잡고 넘길 수 있는 필살기술 같은 것을 허용하여(단 성공하지 못할 경우 패하는 것으로 함) 경기의 흥미 및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태권도처럼 씨름의 국기화가 필요 할 것이다. 씨름 기술, 경기방식의 통일화, 생활체육으로 만들기 위한 활성화로 곳곳에 경기장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최고 국기인 만큼 선수들에게 그만큼의 대우가 필요 할 것이다. 일본의 스모처럼 대회우승자에게 나라의 영웅이라는 명예와 부를 안겨주는 것처럼 우리에게도 씨름으로 성공하면 지금의 박지성이나 김연아처럼 나라의 영웅이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씨름의 소중함을 알리는 것이다.
또한 프로와 아마의 경기규칙을 동일시하고 아마에서 성적이 좋은 선수는 프로로 등극하고, 프로에서 성적이 좋지 않은 선수는 2군으로, 더 성적이 좋지 못하다면 아마로 내려가는 규칙이 필요 할 것이다.
5) 인재발굴과 육성
지금 가장 시급한 문제로써 씨름단의 창설이다. 2004년 이후 겨우 단 2개의 구단만이 남아 있다. 적어도 프로씨름이라면 축구나 야구처럼 각 지역 별 팀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프로 팀을 주축으로 2, 3군 등의 팀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프로보다 더 활성화 되어야 할 아마 팀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아래, 인재의 양성이 필요 할 것이다. 초등학교서부터 씨름부를 설립하고, 씨름 선수 전문 양성 학교를 만들어 프로와 아마 팀에 질 좋고 많은 선수들을 보내는 것이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요즘 한창 인기있는 축구처럼 호나우도, 카카와 같은 스타의 발굴로 인해 씨름의 인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6) 씨름의 세계화
마지막으로 씨름이 다시금 재 부흥이 일어난다면 씨름의 세계화가 필요 할 것이다. 일본처럼 외국의 선수들을 영입하고, 세계를 돌며 씨름을 알리는 대회를 여는 것이 필요하고 외국의 선수들을 초청하여 세계대회를 한국에서 치루는 대회들이 생겨나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 씨름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올리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일 것이다.
Ⅵ 결 론
우리나라의 씨름은 약 4세기부터 유래되어 천 5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씨름은 우리민족의 정신이 면면히 이어져 온 전통문화이자 놀이로서, 한국의 역사 발전과 함께 현대적인 스포츠로 발전되어 왔고, 다양한 스포츠가 발달하고 있는 오늘에도 씨름은 국민들의 전통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IMF 이후의 경기침체로 인하여 씨름 팀의 해체로 씨름의 위기를 맞고 있는 현재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우리 국민들의 의식개선일 것이다. IMF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고 있는 지금 석유 값 급등,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허리를 제대로 펼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우리나라의 스포츠 관객의 동원이 예전만큼 힘들다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 볼 수 도 있다. 하지만 이런 힘들 때 일수록 국민들은 삶의 고단함을 우리의 전통 스포츠인 씨름을 통해 그 시름을 달래고 우리나라의 자부심을 느껴야할 가장 적절한 시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또한 문화상품이 국력이 되어가고 있는 지금 우리의 전통문화를 갈고 닦으며 상품화하여 세계에 널리 알려 우리의 힘을 알려야 할 때이다. 그 문화상품에 중심이 되어야 할 씨름이 우리에게 가장 소홀한 대접을 받고 있다면 과연 한국이라는 전통 깊은 나라의 명맥을 이어갈 수 없을 것이다.
지금이야 말로 우리 국민 모두가 힘을 모아 전통적인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어느 나라에도 뒤처지지 않은 문화상품이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할 때이고 일제 시대와 전쟁을 통해 우리의 전통적인 문화 계승이 끊겼던 끈을 다시금 이어야 할 때인 것이다.
<참고문헌>
이만기(2002), ‘씨름’, 대원사
김목경(1993), ‘한국 씨름의 스포츠적 성격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정위곤(2003), ‘국기씨름’, 홍경
중앙대학교(1993), ‘한일 씨름과 일본스모의 비교’,한국민속학연구소
추천자료
[실버산업][노인복지][노인문제][고령화사회]노인의 개념,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 실버계층...
[실버산업][실버타운]실버산업과 실버타운(사례 중심)(실버산업 생성요인, 실버산업 필요성, ...
[실버산업][실버타운][노인복지][고령화사회][노인문제]실버산업, 실버타운의 유형과 실버산...
방송영상산업, 방송영상정책 환경변화에 따른 방송영상산업, 방송영상정책의 현황, 방송영상...
산업디자인의 개념, 산업디자인의 중요성, 산업디자인의 분류, 산업디자인의 경쟁력 현황, 산...
[화장품산업 역사][화장품산업 현황][화장품산업 문제점][화장품산업 발전방향][화장품산업 ...
[출판산업][출판업][출판산업 과거][출판산업 현황][출판산업 문제점][출판산업 쇠퇴][출판산...
[산업안전보건법][유럽 산업안전보건법 사례][산업안전보건]산업안전보건법의 변천사, 산업안...
[산업안전보건]산업안전보건 개념, 산업안전보건법 역사와 체계, 산업안전보건법의 문제점과 ...
[식품산업][식품공학][식량문제][식품원료][가공특성]식품산업의 발전과 식품공학 및 식품산...
서비스산업,서비스산업현황,한국서비스산업의국제적비교,한국서비스산업문제점및발전방향
한국 IT 서비스 산업의 현황 소개와 전망 - 한국IT서비스산업의현황소개와전망,한국IT서비스...
우리나라서비스산업,서비스산업의문제점,서비스산업최근동향,서비스산업선진화
★ 한국 게임산업 - 한국 게임 산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주제 선정배경, 한국 게임 산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