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항생물질(Antibiotics)
2.항생물질의 생산
3.세균의 구조와 기능
4.주요 항생물질의 종류 및 작용
5.항생제의 작용기전
2.항생물질의 생산
3.세균의 구조와 기능
4.주요 항생물질의 종류 및 작용
5.항생제의 작용기전
본문내용
는 대표적인 항생제로 Poly-mycin을 들 수 있다.
Poly-mycin은 세포막에 있는 인지질에 작용하여 세포막을 파괴하는데 이때 핵산이나 단백
질 등의 세포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 세균이 죽게 된다. 그러나 이 항생제는 사람의
세포에도 같은 작용을 나타내 독성과 부작용이 큰 편이다.
④ 핵산합성 저해
actinomycin, mitomycin, novobiocin과 같은 항생물질은 핵산구조나 기능을 변경시켜 미생
물의 증식을 저지한다. 미생물뿐만 아니라 숙주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내 임상적 이용에는
제한이 따른다.
그러나 DNA의 증식이나 전사과정을 연구하는 생화학적 또는 분자 생물학적 연구분야에서
는 아주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actinomycin은 DNA와 결합하여 DNA-의존성 RNA의
생합성을 저지하고, mitomycin은 중합된 DNA를 해리시켜 단백질 생합성을 저지한다.
⑤ 대사물질 유사 저해제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들은 그 기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물질들에 의하여 그 효소의 작
용이 저지된다. 즉 이러한 저지물질들은 효소와 결합함으로써 정상적인 효소-기질의 반응
이 저지되고, 따라서 그 다음의 촉매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여 대사과정이 중단된다.
작용 기전에 따라 경쟁적 저지제와 비경쟁적 저지제로 구분할 수 있다.
경쟁적 저지제는 효소의 동일한 부위에 기질과 경쟁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기질의 농도를 높여주면 저지제의 효과는 감소된다. 비경쟁적 저지제는 저지제의 농도에만 의존하고 기질
의 농도를 높여도 반응이 역전되지 않는다. 비경쟁적 저지제의 효과는 효소의 기질에 대한 친화도나 반응속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sulfonamide, isoniazid, flucytosine등이 여기에
속한다.
⑥ 그 밖의 작용기전
quinolone계 항생제는 정상적인 DNA 구조를 만들어주는 효소에 작용하여 세균이 제대로
된 DNA를 합성하지 못하게 하여 세균을 죽인다. 또한 일부 항생제는 세포의 에너지생산을
저해하는 작용을 지니는데 이런 경우는 선택성이 약해 부작용이 심하게 된다. 그리고
Vancomycin과 같은 많은 항생제들은 두 가지 이상의 기전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
3).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분류
현재 나와 있는 항균제만 해도 그 종류가 너무 많아 혼란과 곤혹을 느낄 때가 많다.
중요한 작용기전과 부위에 따라 분류하여, 그 중 흔히 쓰이는 대표적인 주요 항균제의
약리적인 특성을 기억, 활용하면 될 것이다.
* 항생제의 작용기전 *
항생물질의 작용점
종 류
Cell wall(세포벽)을 합성저해
penicillin, cephalosorin, vancomycin
Cytoplasmic membrane
(세포막)저해
poly-myxin, colistin,
amphotericin, imidazole
Ribosome 합성저해
kanamycin, aminoglycoside, erythro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clindamycin
DNA의 합성저해
bleomycin, mitomycin, rifampin, quinolones
* 작용기전에 따른 항생제의 분류표 *
저해작용기전
항 생 물 질
세포벽 합성저해
Penicillins, Cephalosporins, Cycloserine, Vancomycin, Ristocetin, Novobiocin, Bacitracin
세포막 기능저해
Gramicidins, Polymyxins, Colistin, Nystatin, Trichomycin, Amphotericin B
단백질 합성저해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Kanamycin, Gentamycin, Tetracyclines, Erythromycin, Mikamycin
핵산 생합성저해
Actinomycin, Chromomycin, Azaserine, Ciprofloxacin, Rifampin
대사 길항제
Sulfonamides, Trimethoprim, Dapsone, Isoniazid
* 주요 항생물질군 분류 *
종류
생산균
화학적특징
생물학적특징
주요 항생물질
β-lactam
항생물질
곰팡이
(방선균)
peptide로 생합성되어 β-lactam환을 가진다.
penicillin G는 Gram 양성세균에 유효.
많은 합성 penicillin, cephalosporin은 Gram 양성ㆍ음성 세균에 유효하다.
세포별 합성저해, 독성이 적음
penicillin
cephalosporin
aminoglycoside
항생물질
방선균
(세균)
아미노당(당)과 aminocyclolide로 되었다.
수용성 염기성 물질
Gram 양성
음성 세균 때로는 결핵균에 유효.
단백질 합성저해
독성은 강하지 않으나 신장 독성, 신경장애에 주의
streptomycin
kanamycin
gentamicin
chloramphenicol
방선균
(유연균체가 세균에서 생산된다.)
니트로기,
염소를 함유한다.
광범위 항균 spectrum
경구투여 가능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항생물질
방선균
황색
금속과 침전되기 쉽다.
광범위 항균 spectrum
경구투여 가능
tetracycline
chlorotetracycline
oxytetracycline
methacycline
macrolide
항생물질
방선균
대환상 lactone과 당(diamine당)으로 구성되었다.
염기성의 경우가 많다.
주로 Gram 양성 세균
단백질 합성저해
경구투여 가능
erythromycin
oleandomycin
kitasamycin
jasamycin
peptide
항생물질
세균,
방선균
D-amino acid나 신형 아미노산이 함유된 것이 많다.
세균에 강하게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독성이 강하다.
gramicidin S
bacitracin
enramycin
thiostrepton
polyene
항생물질
방선균
공역 이중결합을 함유한 대환상 lactone에 당이나 방향환이 함유된다.
항진균성.
막 chlosterol과 결합
일반적으로 독성이 강하다.
trichomycin
amphotericin B
nystatin
Poly-mycin은 세포막에 있는 인지질에 작용하여 세포막을 파괴하는데 이때 핵산이나 단백
질 등의 세포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 세균이 죽게 된다. 그러나 이 항생제는 사람의
세포에도 같은 작용을 나타내 독성과 부작용이 큰 편이다.
④ 핵산합성 저해
actinomycin, mitomycin, novobiocin과 같은 항생물질은 핵산구조나 기능을 변경시켜 미생
물의 증식을 저지한다. 미생물뿐만 아니라 숙주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내 임상적 이용에는
제한이 따른다.
그러나 DNA의 증식이나 전사과정을 연구하는 생화학적 또는 분자 생물학적 연구분야에서
는 아주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actinomycin은 DNA와 결합하여 DNA-의존성 RNA의
생합성을 저지하고, mitomycin은 중합된 DNA를 해리시켜 단백질 생합성을 저지한다.
⑤ 대사물질 유사 저해제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들은 그 기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물질들에 의하여 그 효소의 작
용이 저지된다. 즉 이러한 저지물질들은 효소와 결합함으로써 정상적인 효소-기질의 반응
이 저지되고, 따라서 그 다음의 촉매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여 대사과정이 중단된다.
작용 기전에 따라 경쟁적 저지제와 비경쟁적 저지제로 구분할 수 있다.
경쟁적 저지제는 효소의 동일한 부위에 기질과 경쟁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기질의 농도를 높여주면 저지제의 효과는 감소된다. 비경쟁적 저지제는 저지제의 농도에만 의존하고 기질
의 농도를 높여도 반응이 역전되지 않는다. 비경쟁적 저지제의 효과는 효소의 기질에 대한 친화도나 반응속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sulfonamide, isoniazid, flucytosine등이 여기에
속한다.
⑥ 그 밖의 작용기전
quinolone계 항생제는 정상적인 DNA 구조를 만들어주는 효소에 작용하여 세균이 제대로
된 DNA를 합성하지 못하게 하여 세균을 죽인다. 또한 일부 항생제는 세포의 에너지생산을
저해하는 작용을 지니는데 이런 경우는 선택성이 약해 부작용이 심하게 된다. 그리고
Vancomycin과 같은 많은 항생제들은 두 가지 이상의 기전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
3).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분류
현재 나와 있는 항균제만 해도 그 종류가 너무 많아 혼란과 곤혹을 느낄 때가 많다.
중요한 작용기전과 부위에 따라 분류하여, 그 중 흔히 쓰이는 대표적인 주요 항균제의
약리적인 특성을 기억, 활용하면 될 것이다.
* 항생제의 작용기전 *
항생물질의 작용점
종 류
Cell wall(세포벽)을 합성저해
penicillin, cephalosorin, vancomycin
Cytoplasmic membrane
(세포막)저해
poly-myxin, colistin,
amphotericin, imidazole
Ribosome 합성저해
kanamycin, aminoglycoside, erythro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clindamycin
DNA의 합성저해
bleomycin, mitomycin, rifampin, quinolones
* 작용기전에 따른 항생제의 분류표 *
저해작용기전
항 생 물 질
세포벽 합성저해
Penicillins, Cephalosporins, Cycloserine, Vancomycin, Ristocetin, Novobiocin, Bacitracin
세포막 기능저해
Gramicidins, Polymyxins, Colistin, Nystatin, Trichomycin, Amphotericin B
단백질 합성저해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Kanamycin, Gentamycin, Tetracyclines, Erythromycin, Mikamycin
핵산 생합성저해
Actinomycin, Chromomycin, Azaserine, Ciprofloxacin, Rifampin
대사 길항제
Sulfonamides, Trimethoprim, Dapsone, Isoniazid
* 주요 항생물질군 분류 *
종류
생산균
화학적특징
생물학적특징
주요 항생물질
β-lactam
항생물질
곰팡이
(방선균)
peptide로 생합성되어 β-lactam환을 가진다.
penicillin G는 Gram 양성세균에 유효.
많은 합성 penicillin, cephalosporin은 Gram 양성ㆍ음성 세균에 유효하다.
세포별 합성저해, 독성이 적음
penicillin
cephalosporin
aminoglycoside
항생물질
방선균
(세균)
아미노당(당)과 aminocyclolide로 되었다.
수용성 염기성 물질
Gram 양성
음성 세균 때로는 결핵균에 유효.
단백질 합성저해
독성은 강하지 않으나 신장 독성, 신경장애에 주의
streptomycin
kanamycin
gentamicin
chloramphenicol
방선균
(유연균체가 세균에서 생산된다.)
니트로기,
염소를 함유한다.
광범위 항균 spectrum
경구투여 가능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항생물질
방선균
황색
금속과 침전되기 쉽다.
광범위 항균 spectrum
경구투여 가능
tetracycline
chlorotetracycline
oxytetracycline
methacycline
macrolide
항생물질
방선균
대환상 lactone과 당(diamine당)으로 구성되었다.
염기성의 경우가 많다.
주로 Gram 양성 세균
단백질 합성저해
경구투여 가능
erythromycin
oleandomycin
kitasamycin
jasamycin
peptide
항생물질
세균,
방선균
D-amino acid나 신형 아미노산이 함유된 것이 많다.
세균에 강하게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독성이 강하다.
gramicidin S
bacitracin
enramycin
thiostrepton
polyene
항생물질
방선균
공역 이중결합을 함유한 대환상 lactone에 당이나 방향환이 함유된다.
항진균성.
막 chlosterol과 결합
일반적으로 독성이 강하다.
trichomycin
amphotericin B
nysta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