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활성의 물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리활성의 물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생리활성의 물질
1. 생리활성물질의 정의
2. 생리활성물질의 종류
3.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식품

Ⅱ. 메탄발효
1. 메탄의 정의
2. 메탄발효의 정의
(1) 메탄발효의 정의
(2) 산생성균, 메탄생성균
3. 메탄발효의 원리와 특징
4. 메탄발효의 특징
5. 메탄발효의 기술의 개요
6. 메탄발효의 이용

Ⅲ. 광합성 미생물과 그 이용
1. 광합성 미생물의 정의
2. 광합성 미생물의 조성성분
3. 광합성미생물의 이용
(1) 농업에서의 이용
(2) 축산에서의 이용
(3) 수산에서의 이용

본문내용

효 온도 : 중온발효(34-38℃), 고온발효(50-55℃)
b. 유기물농도 : 약 5vol%(1.0wt%)
② 메탄발효의 C/N비와 적절 pH : C:N=15-25:1 pH 7.0-7.6
③ 유기물 부하량 : 고온발효(4-6kg/m3d), 중온발효는 고온발효의 1/3
④ 가스생성률 : 유기물 1kg당 400~600L
5) 메탄발효 기술의 개요
(1) 액화 단계: 많은 종류의 통성 혐기성균에 의해 고분자 유기물이 가수분해 되어
저분자화 하는데 이처럼 고체에서 수용성 물질이 변화 하는 과정
(2) 메탄발효단계(가스화 단계): 저분자화한 유기물은 편혐기성 균인데, 메탄 발효균에
의해 분해되어 메탄이 발생한다. 이런 유기물 생물에 의한 분해는 생물 체내에서
만들어진 효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6) 메탄발효의 이용
Scheme of Methane Fermentation and Distribution of Purified Biogas via City Gas Pipeline System
3. 광합성 미생물과 그 이용
1) 광합성 미생물이란?
-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적으로 생육하는 미생물의 총칭. 크게 광합성진핵생물과 광합성원핵생물로 나뉜다. 광합성진핵생물에는 조류 등이, 광합성원핵생물에는 남조, 프로클로론(Prochloron), 광합성세균, 염생세균이 속한다.
독립 영양 미생물인 광합성세균(PSB)은 홍색비유황세균(PNSB)으로 자연생태계의 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나 존재하는 예를 들면 호수, 연못, 연안 등의 늪지, 습윤 토지 그리고 전형적인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되는 자연 생태계에 존재화는 천연미생물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이들의 역할은 유기물을 분해, 즉 자연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세균이 가지고 있는 Bacterio-Chlorophyll은 태양에너지를 받아 carotenoid 색소를 만들며 이로 인해 붉은 색을 띈다. 광합성세균은 질소를 고정화하여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균체 내에 자연 항생제, 아미노산, 핵산, 호르몬, 보조효소,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서 광합성 세균은 축산물, 수산양식에서 증체량 및 건강에 도움을 주어 , 수산양식에선 물고기의 치사율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성장속도를 빠르게 한다. 광합성미생물은영양분을 공급하는 동시에 물을 정화시키는 유일한 제품이다. 이런 광합성 미생물의 생리 생화학적, 생태학적 기능기반으로 하여 광합성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 시설, 축사의 축분 정화 및 악취 제거, 농업에 이용한 식량 증산 및 품질향상 등 다방면에 적용될 수 있다.
2) 광합성 미생물의 조성성분
- 광합성 미생물의 균체에는 클로렐라나 효모보다도 고급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 광합성균체 중의 비타민류 및 색소의 함량
3) 광합성 미생물의 이용
(1) 광합성 미생물의 농업에의 이용
- 광합성미생물의 농업에의 이용가치는 수량이 증가되고, 과실에서는 맛, 색깔, 향기 등의 품질이 향상되고 저장 및 수송이 용이하며, 시설하우스의 연작 장해 해소, 토양의 개량, 식물 병원균과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 및 억균 작용이 강하다는 것이 연구 결과에 의해 밝혀졌다. 특히 벼농사에서는 다수확 및 품질 향상, 태풍에 대한 도복방지, 쌀의 저장성이 좋아 오랫동안 밥맛을 좋게하고, 생육기중 유수 형성기에 벼 뿌리 부근에 발생한 황화수소에 의해 뿌리가 급격히 약화되는데, 광합성 세균은 이러한 물질을 제거하여 착립 수를 증대하고 수량을 늘려 농가 소득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① 광합성 미생물에 의한 질소고정
- 광합성 미생물은 혐기적 명조건하에서 최고의 질소고정을 하며, 호기성 유기영양세균과 공존하면 질소고정 및 활성이 급격히 상승되고 광합성 미생물의 생육력은 현저히 활성화된다. 따라서 호기적 영양세균인 아조토박터, 바실러스, 효모균이나 유산균 등 혐기성 미생물을 함께 혼합배양하면, 생리활성과 함께 핵산 등 다양한 영양소가 많이 생성된다. 이들 호기적 영양세균은 단독으로는 질소고정을 할 수 없지만 광합성미생물이 공존하면 질소고정을 할 수 있다.
② 광합성 미생물의 광합성 능력
- 식물의 광합성은 가시광선(400~700나노미터) 이하에서는 하지 못하지만, 광합성 미생물은 박테리오클로로필을 함유하고 있어, 근 적외선을 흡수하여 50나노미터 이하의 어두운 곳에서도 광합성이 가능하다. 일조가 부족할 때 광합성미생물을 이용하면 식물의 광합성을 보조하여 정상적인 생육을 할 수 있다.
③ 벼농사에서 광합성 미생물의 이용
a. 줄기가 굵고 출수가 빠르다
b. 도복 방지
c. 수확량 증가
d. 고품질의 양질미
④ 밭농사(하우스 포함) 및 과수에서의 광합성미생물
a. 꽃눈의 분화촉진, 착과촉진
b. 수확량 증가, 과실의 비대화
c. 당도상승 및 장기간 보존가능
d. 색택 및 특유의 향기
(2) 광합성 미생물의 축산에서의 이용
①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 (공통)
② 파리, 모기 등 발생억제
③ 사료효율증대, 증체율향상
④ 설사예방 및 소화촉진
⑤ 항병력 증강 및 폐사율감소
⑥ 수태율향상, 사산감소, 모돈무유증감소
⑦ 육질, 육색, 향, 저장기간 좋게 함
⑧ 항생제등 각종동물약품 사용량 획기적 저감
---> 친환경축산 가능
(3) 광합성 미생물의 수산에서의 이용
① 수질정화
② 곰팡이류 및 수생균억제
③ 용존산소량 개선
④ 동물성 플랑크톤의 급속한 증식
⑤ 폐사 감소
⑥ 채색 및 육질 향상
⑦ 면역력 강화
⑧ 활력도 향상
(4)광합성미생물의 환경정화에 이용
광합성 미생물은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뿐만 아니라 고농도의 축산폐수, 생선 및 가축의 도축부산물, 기타 고농도의 유기성폐수, 생활오폐수 등을 효과적으로 분해 처리 하며 양질의 퇴비 또는 사료로 만들어주고 오염물질이 없는 맑은 물로 정화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문헌
미생물생태학(이상준) 동화기술
사이트
http://www.kobelco-eco.co.jp/english/product/biomass/methane_r01.html
http://www.asiabiomass.jp/english/topics/0912_03.html
http://mptech365.com/page/sub1_12.htm
  • 가격8,4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