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였으며, 공화정치에 종지부를 찍은 기원전 27년에는 지중해의 전 지역을 지배하였다. 이리하여 로마는 광대한 제국, 엄청난 부와 강력한 지배권을 획득하였다.
로마는 물밀 듯이 밀려 들어오는 그리스 문화를 중심으로 한 헬레니즘문화의 영향으로 소박하고 건강한 고대 로마의 정신은 희박해져 갔고, 개인주의로 치우쳐서 사치와 향락에 빠지게 되었다.
2) 교 육
① 교육 목표
로마가 세계적인 제국이 되어 발전함에 따라 우수한 지성과 문화를 가진 각 국의 국민들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점차 정치가나 변론가를 육성할 학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하여 교육기관이 확대됨에 따라 교육의 장소도 가정에서 학교로 이동되었다. 로마는 그리스의 문화적 교육을 채택하여 조직적 학교 제도를 만들었다.
② 교육 내용
초등학교에서는 읽기, 쓰기, 셈하기를, 문법 학교에서는 로마나 그리스 후기의 문학이나 그리스어를, 수사 학교에서는 웅변술, 작시, 법률 기타 고도의 교과를 가르쳤다. 그러나 이 학교의 조직 및 방법은 그리스식이었고, 또 교사나 지도자도 그리스사람들이었으나, 체육이나 음악이 교육 체계에 필요 불가결하다는 그리스적 이념만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로마 사람들은 너무나 실리적이었기 때문에 음악의 가치를 생각하려고도 하지 않았을뿐더러 군사적인 면에서만 체육의 가치를 인정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수영의 능력은 모든 로마 사람들에게 중요시되어 무식한 사람들 말할 때 “읽을 줄도 헤엄칠 줄도 모르는 자”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도 지배계급과 상인 계급에 한정되어 있었고, 일반 대중에게는 직업훈련으로 그쳤다.
여성의 교육은 아테네보다 수준이 높아 부인들도 남자와 같은 교육을 받았으나, 상류 가정의 여자를 위하여 가정 교사를 두어 교육한 것을 제외하면 주로 가사에 한정되었다.
3) 체 육
①체육목적
후기 로마제국의 체육은 그 목적을 잃었다. 다만 직업 군인이나 직업 경기자의 체육에 대한 중요성만 인정하고 있었으며, 일반 시민은 건강 유지와 오락 성향이 있는 최소한의 운동을 하였을 뿐이다.
② 배 경
그리스의 제전 경기는 모든 사람들이 즐기던 대행사였으며, 시민에게 그들의 체력을 은근히 과시하려는 시위적 경기였다. 그러나 로마의 경기회는 경기 본래의 목적보다는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정치가들은 자극을 즐기는 당시의 군중들에게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화려한 경기회를 베풀었다.
로마는 후대에 개인의 사병 기관으로 검투사 훈련소룰 경영하였고, 공화제 시대에는 전쟁에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하여 색다른 경기회를 창설하기도 하였다. 제국주의 시대에는 빈곤에 허덕이고 과중한 부담에 지친 군중들을 현혹시키기 위하여 광대 노름같은 행사를 행하였다. 이와 같은 경기 행사는 로마 초기에 가졌던 목적과 전혀 달랐으며, 그리스 대제전 경기의 목적과도 전혀 다른 것이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 있었던 체육행사는 주로 직업적인 사람의 연기를 구경하는 오락이었으며, 각 기관은 오락 위주의 연기에 주력했다.
③ 체육 종목
체육 행사에는 제전을 위한 행사도 있었으나, 서커스, 권투 경기등이 있었 을 뿐이었다.
로마경기회는 공화제 후기와 제국주위 시대에 이르러 횟수도 많아졌고, 그 화려함이란 놀라울 정도였다. 시절이 제법 잘 갖추어진 원형 경기장에서는 그 당시에 유행하던 경기와 그리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새로운 경기들이 행하여졌다. 공화제 말기에는 1년에 76일이라는 많은 날짜를 경기회에 소모하였고, 마르크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121~180) 황제 때에는 더욱 늘려 135일이었으며, 기원전 354년경에는 175일로 늘어나 당시의 관심이 대단한 것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로마는 물밀 듯이 밀려 들어오는 그리스 문화를 중심으로 한 헬레니즘문화의 영향으로 소박하고 건강한 고대 로마의 정신은 희박해져 갔고, 개인주의로 치우쳐서 사치와 향락에 빠지게 되었다.
2) 교 육
① 교육 목표
로마가 세계적인 제국이 되어 발전함에 따라 우수한 지성과 문화를 가진 각 국의 국민들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점차 정치가나 변론가를 육성할 학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하여 교육기관이 확대됨에 따라 교육의 장소도 가정에서 학교로 이동되었다. 로마는 그리스의 문화적 교육을 채택하여 조직적 학교 제도를 만들었다.
② 교육 내용
초등학교에서는 읽기, 쓰기, 셈하기를, 문법 학교에서는 로마나 그리스 후기의 문학이나 그리스어를, 수사 학교에서는 웅변술, 작시, 법률 기타 고도의 교과를 가르쳤다. 그러나 이 학교의 조직 및 방법은 그리스식이었고, 또 교사나 지도자도 그리스사람들이었으나, 체육이나 음악이 교육 체계에 필요 불가결하다는 그리스적 이념만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로마 사람들은 너무나 실리적이었기 때문에 음악의 가치를 생각하려고도 하지 않았을뿐더러 군사적인 면에서만 체육의 가치를 인정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수영의 능력은 모든 로마 사람들에게 중요시되어 무식한 사람들 말할 때 “읽을 줄도 헤엄칠 줄도 모르는 자”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도 지배계급과 상인 계급에 한정되어 있었고, 일반 대중에게는 직업훈련으로 그쳤다.
여성의 교육은 아테네보다 수준이 높아 부인들도 남자와 같은 교육을 받았으나, 상류 가정의 여자를 위하여 가정 교사를 두어 교육한 것을 제외하면 주로 가사에 한정되었다.
3) 체 육
①체육목적
후기 로마제국의 체육은 그 목적을 잃었다. 다만 직업 군인이나 직업 경기자의 체육에 대한 중요성만 인정하고 있었으며, 일반 시민은 건강 유지와 오락 성향이 있는 최소한의 운동을 하였을 뿐이다.
② 배 경
그리스의 제전 경기는 모든 사람들이 즐기던 대행사였으며, 시민에게 그들의 체력을 은근히 과시하려는 시위적 경기였다. 그러나 로마의 경기회는 경기 본래의 목적보다는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정치가들은 자극을 즐기는 당시의 군중들에게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화려한 경기회를 베풀었다.
로마는 후대에 개인의 사병 기관으로 검투사 훈련소룰 경영하였고, 공화제 시대에는 전쟁에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하여 색다른 경기회를 창설하기도 하였다. 제국주의 시대에는 빈곤에 허덕이고 과중한 부담에 지친 군중들을 현혹시키기 위하여 광대 노름같은 행사를 행하였다. 이와 같은 경기 행사는 로마 초기에 가졌던 목적과 전혀 달랐으며, 그리스 대제전 경기의 목적과도 전혀 다른 것이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 있었던 체육행사는 주로 직업적인 사람의 연기를 구경하는 오락이었으며, 각 기관은 오락 위주의 연기에 주력했다.
③ 체육 종목
체육 행사에는 제전을 위한 행사도 있었으나, 서커스, 권투 경기등이 있었 을 뿐이었다.
로마경기회는 공화제 후기와 제국주위 시대에 이르러 횟수도 많아졌고, 그 화려함이란 놀라울 정도였다. 시절이 제법 잘 갖추어진 원형 경기장에서는 그 당시에 유행하던 경기와 그리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새로운 경기들이 행하여졌다. 공화제 말기에는 1년에 76일이라는 많은 날짜를 경기회에 소모하였고, 마르크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121~180) 황제 때에는 더욱 늘려 135일이었으며, 기원전 354년경에는 175일로 늘어나 당시의 관심이 대단한 것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