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열정에 취하다- 네덜란드 반고흐미술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의 열정에 취하다- 네덜란드 반고흐미술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그렇기에 강한 광기를 뿜어내는 다른 그림들에 눌려 내 머릿속에 강하게 인식되지는 않았다. 역시나 생각대로 색감이 아름다우며, 절제된느낌이구나 싶은 그림.
테오부부의 아들 탄생 축하선물이었다니 그럴만 하다 싶었다.
파리에 온 반 고흐는 여러 화가들과 사귀면서 술을 많이 마시게 되었다고 한다. 때마침 그땐 파리에는 압생트라는 술이 크게 유행하고 있었다. 이 술은 알코올 7~80% 함유한 독한술이며 그 원료는 아니스, 히솝, 약쑥등의 향초로, 이를 증류하면 에메랄드그린빛깔의 술이 만들어지는데, 값이싸고 독해서 쉽게 취하기때문에 이를 녹색요정이라고 불렀다고한다. 유행에따라 번져나간 압생트는19세기 예술의 꽃이라 불릴만큼 당시 예술인들의 사랑을받아 이를 소재로 시인들은 시를, 문인들은 글을썼으며 화가들은 그림을 그렸다. 압생트는 시신경을 손상시키는 테레빈유도체가 함유되었기 때문에 이 술을 많이마셔 중독이되면 시각장애를 일으켜 색맹과 같은 눈의 이상을 초래하는데 황시증도 그 부작용의 하나이다
노란색이 예술적인 해바라기. 그리고 우리나라사람들이 가장 좋아한다는 고흐의 그림 해바라기이다.
나는 해바라기라하면 노란색이 가장 많이 떠오른다.
근데 몇 달전 고흐의 이글거리는 노란색이 압생트라는 술에 중독되어 만들어진 결과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알코올중독자의 실수이던, 우연의 효과이던 해바라기의 노란색은 이글거렸고, 내 눈을 매혹시켰으며, 단연 최고이다.
고흐의 몇 안 되는 대형작품이라고 한다..
대지가 폭풍 속에서 바다처럼 사납게 일렁이는 속에 까마귀가 활개치며 날으는 불안한 화면을 표현했다.
자연 속에서 느껴지는 무한한 생명력에 대한 갈구가 결국은 내면에서 끓어오르는 극도의 독과 절망감을 이기지 못하는 자신을 표현하고 있다.
고흐의 마지막 작품인 오베르에는 밀밭이 황금색으로 변하는 7월엔 밀이삭을 쪼아먹기 위해 날아드는 까마귀떼로 장관을 이룬다고한다.
1890년 7월, 고독을 이겨내거나 병이 나을수 있다는 희망을 포기한 고흐, 일요일 자신의 그림에 배경인 이 밀밭에서 스스로 방아쇠를 당기며 37년 이란 짧은 생을 마감한다.
생의 절절함이 낳은 그림이고, 그렇기에 색감이고 터치고 하나하나의 그의 마지막 의지가 속속히 들어이는것 같았다.
그는 마지막까지 열정적이었으며, 강렬한 기를 주체못할정도로 내뿜고 있었다.
다른 작품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흐는 찬란한 빛의 변화가 눈부신 이곳 프로방스 지방의 햇빛을 캔버스에 그대로 옮기고자 했습니다. 그는 생기있는 보라색과 푸른색을 이용해 붓꽃을 매우 자극적인 모습으로 묘사했다.
사실 이 그림은 실제로 보기 전 까지는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실제로 본 후 가장 매혹되었던 그림이다.
아이리스의 청초한 색감과 잎의 색 조화는 그 어떤말로도 표현할 수 없었고, 그 색감에 빠져 한참동안이나 앞에 서있었다.
기대보다 훨씬 좋았던 작품이었다.
들라크루아의 흑백 인쇄화를 보며 이 그림을 그릴 당시 고흐는 종교가 위안을 준다는 사실을 시인하면서도 그것에 대해 적의도 품었다고 한다.
고흐는 ‘즉흥’ 혹은 ‘해석’이라고 불렀던 이 작품을 그리면서 자신감을 느꼈다. “내가 작업하는 모습을 네가 봤어야 하는 건데. 내 머리는 명료하고 손가락은 확신에 가득 차서 단번에 들라크루아의 <피에타>를 그릴 정도였지.”
고흐는 인물들에 초록색의 병적인 빛을 주었다. 원작도 그렇지만 이 그림의 우울한 이미지는 이상할 정도로 감동적이다.
고흐는 이 그림을 더 작게 복제해서 여동생 빌에게 주었다. 그는 또 들라크루아의 다른 그림 <착한 사마리아인>을 복제하기도 했다.
고흐는 이 그림에서 손을 그리는데 어려움을 느꼈다. “전경에만도 네 개의 손과 팔이 있다. 몸짓이나 자세를 정하는 게 그리 쉽거나 간단한 게 아니야.” 다소 서툴게 표현되었지만 이 손들은 무력함을 호소하는 두 인물을 정확히 나타내주고 있다.
색채는 부드럽고 우울하며 병적이기까지 하다. 그러나 힘 있는 인물로 등장하는 마리아의 역할은 훨씬 단조로운 의상의 색을 통해 강조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보라색/푸른색과 노란색의 보색 관계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핑크빛 홍조가 초록색과 짝을 이루며 살의 색조를 결정하고 있다.
고흐의 그림엔 푸른빛과 녹색빛이 많다.
잘 어안어울릴꺼같은 그 두색은 고흐의 그림속에선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신선하며 재미있다. 또한 전혀 촌스럽지 않다.
처음보는 생소한 그림이었지만, 고흐의 색감각에 감탄을 했던 작품이다.
이그림 역시 제목은 생각이 나지 않지만, 붓터치와 색감이 참 그답다 싶었다.
정말 유명한그림.
고흐의 오베르성당.
이 평화스런 이미지의 작품은 고흐가 밀레의 작품을 모방한 다섯점의 커다란 작품중에 하나이다.
자신들이 쌓아올린 낟가리의 그림자 밑에서 휴식을 취하는 부부에게 낮의 열기는 위압적이지 않다.
수많은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붓질은 보통 격정을 암시하거나 후광의 효과를 만들때 사용되었지만, 이그림에서는 긴장된 삶으로 부터의 자유를 표현하기위해 눈부실 정도로 다채롭게 표현 되었다.
밀레의 그림과 다르지만 여전히 평화스럽고, 훨씬 밝은 그림이었다.
이번 유럽 여행중 정말 많은 미술관을 다녀왔고, 정말 많은 명화들을 보았다.
그 중에 단엔 최고를 뽑으라면 주저않고 고흐미술관을 뽑을것 같다.
예전에 스탕달 신드롬이라는 말을 들은적이 있다.
스탕달 신드롬이란
명작이나 명품 위인등을 접촉한후 일어나는 자아상실 정서혼란 의기소침 피해망상 증세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고 한다
소설 적과흑 의 작가 스탕달이 이태리 한교회에서 유명한 미술품을 감상하고 난후 갑자기 심장이 뛰고 무릎에 힘이빠지고 주변을 멀리하고 대인기피증세가 들어 치료하는데만 몇개월 걸렸다고합니다 이에 유래한것이라고 한다..
일종에 상대적 박탈감도 이런 유형에서 발전된다. 이쁜 스타를 만난후부터 자신의 애인은 너무 못나 자신의 신세를 비관한다든가 엄청부자를만난후부터 자신의 꼴에 현실도피한다든가 하는것도 이 증후군의 일종이라고 한다.
이해하기 힘들었던 이 스탕달현상에 대해 아, 이곳에 오래있으면 정말 이런일이 있을수 있겠다 싶었다.
고흐의 열정이 한가득 살아넘치는 고흐미술관.
꼭한번 다시 가보고 싶은곳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