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싱증후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빠르고 약한 맥박, 소변량 저하 상태를 자주 사정.
* 활력징후 :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측정 / 수술후 48시간 동안 세심하게 관찰.
* 혈청 소듐과 칼륨 및 혈당 농도를 측정 / 필요시 중심정맥압도 측정.
* 섭취량과 배설량 및 체중 상태를 계속적으로 관찰.
* 부신위기
- 조기 증상 : 안절부절못함, 탈수 빈맥 등
- 후기 : 허약감 증가, 저혈압, 체온상승, 구토.
- 응급상황이므로 corticosteroid의 용량↑/ 고장성 생리식염수를 주입
<안정>
*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 : 자세를 변경 / 기침과 심호흡을 2시간마다 시행
* 비위관은 수술 후 구토를 예방하고 복부 팽만을 감소시킴.
* Corticosteroid투여
→ Cortisol의 구강 복용이 가능할 때까지 정맥내로 주입.
* 부신피질 기능항진과 부신부전의 증상과 징후는 즉시 보고.
* 응급시 혈관수축제나 corticosteroid를 즉시 투여 할 수 있도록 정맥 내 수액은 상태가
완전히 안정될 때까지 유지.
* 일측 부신 절제술을 받은 경우
- 남아 있는 부신이 정상적인 호르몬 생산을 할 때까지 호르몬 대치 보통
(수술 후 수개월 이상이 걸림)
* 양측 부신 절제술을 받은 경우
- 일생 동안 당류피질호르몬과 염류피질호르몬의 대치요법이 필요.
( 장기간의 당류피질 호르몬요법의 일반적인 부작용 )
- 소듐정체 , 감염에 대한 감소성 증가, 근육허약감, 근육손상, 포도당 내인성 장애, 고혈
당, 체부에 지방축적 증가, 성장 억제, 정서적 변화, 정신증, 골다공증, 골절, 녹내장, 위 염, 백내장, 췌장염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