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소비][과소비문화][소비문화]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념, 원인과 과소비(과소비문화) 형성의 영향 요소 및 과소비(과소비문화)의 실태 그리고 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선 방안(과소비(과소비문화) 사례 중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소비][과소비문화][소비문화]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념, 원인과 과소비(과소비문화) 형성의 영향 요소 및 과소비(과소비문화)의 실태 그리고 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선 방안(과소비(과소비문화) 사례 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념과 원인

Ⅲ. 과소비(과소비문화) 형성의 영향 요소
1. 충동구매
2. 모방적 소비
3. 광고매체의 영향력
4. 유명브랜드 선호
5. 소비 자체가 목적활동

Ⅳ. 과소비(과소비문화)의 실태

Ⅴ. 과소비(과소비문화) 실태 사례
1. 기사 1 한국일보 - 명품이 안되면 모조품이라도 좋아요
2. 기사 2 국민일보 - 대학생 3명중 1명 “명품구입 해봤다”
3. 기사 3 조선일보 - 과소비 알지만 자기만족 위해 구입

Ⅵ. 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선을 위한 방안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명품이 있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43%가 포기한다고 답했고 20%는 살 때까지 돈을 모은다,4%는 신용카드로 일단 구입한다고 답했다. 명품 구입 이유에 대해선 질이 좋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명품의 이미지와 디자인, 서비스, 유행, 사회적 지위 등의 순이었다.
3. 기사 3 조선일보 - 과소비 알지만 자기만족 위해 구입
명품은 과소비다. 하지만 자기만족을 위해서라면 명품을 살 용의가 있다. 젊은 명품족이 늘어나는 가운데, 20~30대들은 명품에 대해 이처럼 이중적인 소비의식을 갖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명품 중에서 젊은층에게 가장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는 구찌로 나타났다. 브랜드 컨설팅 전문 업체인 브랜드메이저(www.brandmajor.com)가 전국의 20~30대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49.1%)이 명품을 사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명품을 사는 이유로는 품질이 좋기 때문(37.8%), 디자인이나 색상이 뛰어나기 때문(31.5%)이라는 답변이 많았고, 품위가 있어 보인다(20.8%)거나 남과 달라 보이기 때문(3.0%)이라는 응답도 있었다. 하지만 명품 구매가 과소비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명품을 구매한 사람들조차 10명 중 7명(72.4%)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명품을 안 사본 사람들은 10명 중 8명(81.3%)꼴로 명품은 과소비라고 답했다. 흥미롭게도 명품=과소비라는 응답이 남자(70.9%)보다 여자(79.5%)에게서 더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 명품 구매 경험자의 78.9%, 비경험자의 56.1%가 자기만족을 위해서라면 필요할 경우 명품을 구매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브랜드메이저는 명품 경험자가 비경험자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20대가 30대보다 더 소비 지향적이고 과시소비 성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한편 20~30대들은 구찌(43.1%) 샤넬(34.5%) 버버리(24.1%) 프라다(21.9%) 순으로 명품을 꼽았다. 10명 중 7명(71.7%)이 국내 브랜드 중에는 명품이 없다고 답했다. 국내 명품으로 꼽힌 것은 삼성(4.1%) 앙드레김(3.5%) 파브(2.0%) 빈폴(1.8%)이 있다.
Ⅵ. 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선을 위한 방안
근검절약하는 합리적인 소비생활 정착
(가) 분수에 맞는 생활하기(선물 등 예산범위 내에서 구매)
(나) 충동구매 및 모방소비 안하기 지도(구매계획 수립 및 시장정보 수집)
(다) 학부모 경제 교육(자녀의 요구에 선택적으로 응하기)
(라) 전기, 수돗물 및 물품 아껴 쓰기 생활화
(마) 알뜰매장 운영 활성화로 바꿔 쓰기 생활화
(바) 수입품 및 고가품 안 사고 안 쓰기 지도(국산품 애용)
(사) 승용차 대신 걷거나 대중교통 이용하기 지도
(아) 용돈기입장 쓰기 및 용돈 절약하기 지도
(자) 급식 시 음식 남기지 않기 지도
(차) 재활용품 분리수거
(카) 학용품 실명제 운동
(타) 1인 1통장 갖기 적극 추진(신입생 적금통장 개설)
(파) 교복, 체육복 및 교과서 물려주기 추진
Ⅶ. 결론
경제위기 시대에 우리사회 곳곳에서는, 아직도 과소비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시점에서 미래세대인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고가의 외제품을 선호하고 합리적이지 못한 소비생활 습관이 지속된다면 성인이 되어서도 소비습관이 지속될 것이다. 다분히 충동적이며, 모방적이고, 또한 매스컴에 감성적인 영향력을 많이 받는 청소년의 과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을 일방적인 소비자 교육의 대상이나 보호의 대상이 아닌 기존사회와 성인세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데 협력해야 할 중요한 동반자로 인식하여야 한다. 결국 청소년의 바람직한 소비문화는 가정, 학교, 정부, 방송매체, 기업 등 모두의 유기적인 결합과 통합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김기옥(1999),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문제. 한국소비자학회, 학술대회
김문조(1987), 과소비의 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학, 제21집, p.41-261.
계선자·김태은(1998), 도시주부의 과시소비성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백경미(1995), 과시소비행동의 내용 및 그 원인에 관한 고찰, 소비자문제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p.22-47
백경미·이기춘(1992), 과시소비에 관한 고찰, 목포대학논문집 p.433-454.
양희(1992), 청소년 소비생활문제에 관한 연구-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두련(1991), 가정생활환경의 변화와 소비자문제, 소비자학 연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