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대중매체의 개념
2. 대중매체의 유형
인쇄매체 / 전파매체 / 전자매체
3. 대중매체의 기능
환경감시기능 / 상관조정기능 / 사회유산전수기능 / 오락기능
4. 뉴미디어
케이블TV / 위성방송 / 지상파 디지털 방송 / 지상파 DBA / 위성파DBA /
테이터 방송 / 인터넷 / 인터넷 방송 / 디지털과 개인정보 통신
5. 미디어의 윤리
미디어 윤리의 기준 / 진실보도와 윤리성 / 이익갈등과 윤리문제 /
언론인과 취재원과의 관계 / 사생활 보호를 위한 윤리 /
매스미디어의 비윤리적 행위
6. 미디어 수용의 올바른 자세
7. 미디어 교육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 가정에서의 미디어 교육 /
사회에서의 미디어 교육
Ⅲ.결론
Ⅱ.본론
1. 대중매체의 개념
2. 대중매체의 유형
인쇄매체 / 전파매체 / 전자매체
3. 대중매체의 기능
환경감시기능 / 상관조정기능 / 사회유산전수기능 / 오락기능
4. 뉴미디어
케이블TV / 위성방송 / 지상파 디지털 방송 / 지상파 DBA / 위성파DBA /
테이터 방송 / 인터넷 / 인터넷 방송 / 디지털과 개인정보 통신
5. 미디어의 윤리
미디어 윤리의 기준 / 진실보도와 윤리성 / 이익갈등과 윤리문제 /
언론인과 취재원과의 관계 / 사생활 보호를 위한 윤리 /
매스미디어의 비윤리적 행위
6. 미디어 수용의 올바른 자세
7. 미디어 교육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 가정에서의 미디어 교육 /
사회에서의 미디어 교육
Ⅲ.결론
본문내용
속성 이해를 위한 활동을 위해 가족이 함께 방송사, 신문사 견학과 같은 관찰학습을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은 학습이 된다. 또한 가족신문, 가족 비디오 등 간단한 미디어 활동을 시도해 봄으로써 가족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미디어 제작 메커니즘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있다.
③사회에서의 미디어교육
미디어 교육은 장기적으로 평생교육 차원의 교육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를 통한 정규 교육은 물론 그룹 활동이나 사회단체를 통한 지속적인 교육의 연계가 필요하다.
ⅰ)대학교부설 기관에서 자체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이다. 대학 차원의 재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필요한 전문 인력을 이용하여 보다 체계화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평생교육원’과 같은 부설 기관을 통해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ⅱ)방송 등 언론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경우 각 기관의 자료와 전문 인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미디어 분야별로 교육을 전문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각 기관으로서도 수용자에게 구체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ⅲ)종교단체를 통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허나 종교단체의 미디어 교육에 대한 관심만으로는 실재에 있어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학교나 전문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커리큘럼이나 자료를 보다 체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ⅳ)YMCA, YWCA등의 여성단체 같은 사회단체 및 지역사회 단체를 통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이들 단체의 미디어 교육은 어린이와 주부 등 가족을 대상으로 시청일기 쓰기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는 있지만 아직 체계화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라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ⅴ)현재 실시되고 있는‘모니터 교육’과 같은 강좌를 연령별 필요에 따라 마련하거나‘청소년 비디오 축제’와 같은 다양한 인쇄 미디어 내용을 직접 제작해보는 활동이다.
ⅵ)글짓기사생 대회’등의 행사를 개최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에 어린이 청소년은 물론 부모들도 함께 참여함으로써 미디어 교육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Ⅲ. 결론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대중매체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우리들은 대중매체가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을 인식하지도 못한 채 대중매체가 전달하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그것을 사실이라고 믿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다방면에서 대중매체의 비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뉴미디어의 발전으로 매체 접근이 용이해 지고 직접 참여할 기회가 많아진 요즘 같은 시대에 대중매체가 공중에게 잘못된 정보나, 완전하지 못한 정보를 제공, 또는 정보의 조작 등을 한다면 많은 혼란이 야기될 것이다. 이는 대중매체를 그대로 믿는 수용자의 태도보다는 능동적인 수용자의 자세로 대중매체가 제시한 것에 비판할 수 있는 태도가 필요한 중요한 이유이다. 따라서 대중매체의 올바른 수용자세를 가지기 위해 미디어 교육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가정, 학교, 사회에서는 미디어를 보는 눈을 길러주고 미디어의 속성과 작용을 충분히 이해하여 수많은 정보를 소화해 낼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하고, 미디어에 함몰되지 않고 바른 시각으로 미디어를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지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오택섭,강현두,최정호(2003). 미디어와 정보사회. 나남출판
◈강상현,채백(2003).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안정임,정경란,송현경(1994). 미디어 교육 연구. 방송위원회
◈윤원호(2004). 미디어교육 이제는 시작할때. 윤원호의원실
◈http://www.adcollege.co.kr
◈http://cafe.naver.com/20032424
③사회에서의 미디어교육
미디어 교육은 장기적으로 평생교육 차원의 교육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를 통한 정규 교육은 물론 그룹 활동이나 사회단체를 통한 지속적인 교육의 연계가 필요하다.
ⅰ)대학교부설 기관에서 자체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이다. 대학 차원의 재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필요한 전문 인력을 이용하여 보다 체계화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평생교육원’과 같은 부설 기관을 통해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ⅱ)방송 등 언론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경우 각 기관의 자료와 전문 인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미디어 분야별로 교육을 전문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각 기관으로서도 수용자에게 구체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ⅲ)종교단체를 통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허나 종교단체의 미디어 교육에 대한 관심만으로는 실재에 있어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학교나 전문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커리큘럼이나 자료를 보다 체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ⅳ)YMCA, YWCA등의 여성단체 같은 사회단체 및 지역사회 단체를 통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이들 단체의 미디어 교육은 어린이와 주부 등 가족을 대상으로 시청일기 쓰기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는 있지만 아직 체계화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라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ⅴ)현재 실시되고 있는‘모니터 교육’과 같은 강좌를 연령별 필요에 따라 마련하거나‘청소년 비디오 축제’와 같은 다양한 인쇄 미디어 내용을 직접 제작해보는 활동이다.
ⅵ)글짓기사생 대회’등의 행사를 개최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에 어린이 청소년은 물론 부모들도 함께 참여함으로써 미디어 교육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Ⅲ. 결론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대중매체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우리들은 대중매체가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을 인식하지도 못한 채 대중매체가 전달하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그것을 사실이라고 믿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다방면에서 대중매체의 비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뉴미디어의 발전으로 매체 접근이 용이해 지고 직접 참여할 기회가 많아진 요즘 같은 시대에 대중매체가 공중에게 잘못된 정보나, 완전하지 못한 정보를 제공, 또는 정보의 조작 등을 한다면 많은 혼란이 야기될 것이다. 이는 대중매체를 그대로 믿는 수용자의 태도보다는 능동적인 수용자의 자세로 대중매체가 제시한 것에 비판할 수 있는 태도가 필요한 중요한 이유이다. 따라서 대중매체의 올바른 수용자세를 가지기 위해 미디어 교육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가정, 학교, 사회에서는 미디어를 보는 눈을 길러주고 미디어의 속성과 작용을 충분히 이해하여 수많은 정보를 소화해 낼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하고, 미디어에 함몰되지 않고 바른 시각으로 미디어를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지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오택섭,강현두,최정호(2003). 미디어와 정보사회. 나남출판
◈강상현,채백(2003).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안정임,정경란,송현경(1994). 미디어 교육 연구. 방송위원회
◈윤원호(2004). 미디어교육 이제는 시작할때. 윤원호의원실
◈http://www.adcollege.co.kr
◈http://cafe.naver.com/20032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