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통해서 나타내며 셋째, 표현매개는 시와 리듬이어야 하고 넷째, 그 목적은 공포와 연민의 정을 거쳐 우리에게 정화 작용을 일으키는 것. 2)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의 주인공 규정-첫째 행복에서 불행으로 떨어져야 함. 둘째, 주인공은 완전 무결한 인격자가 되어서는 안됨. 셋째 주인공의 몰락은 부덕과 천한 욕망에 기인되어서는 안됨. 넷째, 주인공의 신분은 일반 서민이 아니라 고귀한 가문의 일원이어야 함. 비극의 주인공은 몰락 일보 직전에서 자기인식을 할 수 있어야 함
※비극-운명비극[오이디프스왕], 성격비극:셰익스피어 비극[햄릿][오셀로], 상황비극-심리적 혹은 내적상황(실존주의 철학과 만나면서 본질에 접근), 부조리극: 성격문제, -사회적 상황:서사극(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 사회문제극. 3)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 갖추어야 할 구성- 반전(주인공이 예상했던 사항과 반대되는 사실 나타남), 발견(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자 공포감과 연민의 정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함), 고통(비극에는 살인과 고문 또는 상처 등 개재)
2.희극-웃음을 자아냄. 골드니, 해즐릿, 쇼 등의 공통점은 희극의 기능적인 면으로 보아 인간과 사회의 부정과 모순을 비판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음.
※비극-운명비극[오이디프스왕], 성격비극:셰익스피어 비극[햄릿][오셀로], 상황비극-심리적 혹은 내적상황(실존주의 철학과 만나면서 본질에 접근), 부조리극: 성격문제, -사회적 상황:서사극(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 사회문제극. 3)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 갖추어야 할 구성- 반전(주인공이 예상했던 사항과 반대되는 사실 나타남), 발견(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자 공포감과 연민의 정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함), 고통(비극에는 살인과 고문 또는 상처 등 개재)
2.희극-웃음을 자아냄. 골드니, 해즐릿, 쇼 등의 공통점은 희극의 기능적인 면으로 보아 인간과 사회의 부정과 모순을 비판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