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웃긴 얘기지만 지루할 만한 책을 다 읽은 나도 내 자신이 뿌듯하다.
문명의 충돌. 처음에는 제목부터가 어려운 책이라 읽기에 무척이나 까다롭고 어려울 줄 알았는데 그리 어렵지는 않았다. 가끔 읽다가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기는 했으나 대체적으로 무난했다. 내용 중 한국이나 중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우리와 근접한 나라의 이야기가 나오면 더욱더 유심히 보곤 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보니 헌팅턴 이라는 저자의 논리가 지극히 서구적인 것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에 따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했다. 특히 5부를 읽으면서 이런 느낌을 많이 받았다. 또한 이슬람 문명권에 대한 편파적인 시각- 이슬람은 본디부터 다른 문명보다 폭력적의라는 식의 이야기는 과연 저자가 올바른 잣대로 이 책을 썼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였다. 책을 읽기 전 인터넷으로 이 책을 검색했던 적이 있는데 그곳에도 이 책을 베스트셀러라고 지칭하는 사람과 이 책이 순전히 미국의 정책 입안 가들을 위해 쓰여졌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래서 내가 이 책을 읽고 내가 후자의 사람처럼 편견을 가지고 살게 되지는 않을지 걱정도 해보았다. 또 중국에 대한 전제의 성격이 강하다는 내용도 있었는데 중화문명에 대해 적지 않은 서술을 한 것과 내 생각엔 일본도 중국 못지않게 떠오르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일본은 제쳐둔 것을 보면 중국에 대한 전제가 많은 것이라고 해석이 될 수도 있다.
또 한 가지 이 책을 읽으면서 이해가지 않았던 것은 문명 간의 융합 가능성에 대해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너무 지나친 비약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고 여러 생각이 교차하는 것으로 보아 이 책을 다시 한 번 읽어보면 그 다음에는 어떤 게 옳은 생각인지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 또 인터넷 검색을 하다 보니 뮐러의 문명 공존론 이라는 책과 많이 비교가 되어 있었다. 제목으로 봐서는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과 정 반대의 내용일 것 같아서 흥미를 끌었다. 이 책도 한번 읽어보면서 비교도 해보아야겠다.
마지막으로 처음에 서술했던 미국의 테러 참사는 일시적으로 도발된 것이 아니라 두 나라가 오랜 기간 동안 가지고 있었던 문명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9.11테러는 국가 간의 갈등에서 시작되었고 문명의 충돌에서 시작되었다. 이 책에서도 설명했듯이 미국은 좀 더 자중하고 중재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며 비서구 국가들의 반발에 더욱 조심해야 할 것이다.
문명의 충돌. 처음에는 제목부터가 어려운 책이라 읽기에 무척이나 까다롭고 어려울 줄 알았는데 그리 어렵지는 않았다. 가끔 읽다가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기는 했으나 대체적으로 무난했다. 내용 중 한국이나 중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우리와 근접한 나라의 이야기가 나오면 더욱더 유심히 보곤 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보니 헌팅턴 이라는 저자의 논리가 지극히 서구적인 것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에 따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했다. 특히 5부를 읽으면서 이런 느낌을 많이 받았다. 또한 이슬람 문명권에 대한 편파적인 시각- 이슬람은 본디부터 다른 문명보다 폭력적의라는 식의 이야기는 과연 저자가 올바른 잣대로 이 책을 썼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였다. 책을 읽기 전 인터넷으로 이 책을 검색했던 적이 있는데 그곳에도 이 책을 베스트셀러라고 지칭하는 사람과 이 책이 순전히 미국의 정책 입안 가들을 위해 쓰여졌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래서 내가 이 책을 읽고 내가 후자의 사람처럼 편견을 가지고 살게 되지는 않을지 걱정도 해보았다. 또 중국에 대한 전제의 성격이 강하다는 내용도 있었는데 중화문명에 대해 적지 않은 서술을 한 것과 내 생각엔 일본도 중국 못지않게 떠오르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일본은 제쳐둔 것을 보면 중국에 대한 전제가 많은 것이라고 해석이 될 수도 있다.
또 한 가지 이 책을 읽으면서 이해가지 않았던 것은 문명 간의 융합 가능성에 대해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너무 지나친 비약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고 여러 생각이 교차하는 것으로 보아 이 책을 다시 한 번 읽어보면 그 다음에는 어떤 게 옳은 생각인지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 또 인터넷 검색을 하다 보니 뮐러의 문명 공존론 이라는 책과 많이 비교가 되어 있었다. 제목으로 봐서는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과 정 반대의 내용일 것 같아서 흥미를 끌었다. 이 책도 한번 읽어보면서 비교도 해보아야겠다.
마지막으로 처음에 서술했던 미국의 테러 참사는 일시적으로 도발된 것이 아니라 두 나라가 오랜 기간 동안 가지고 있었던 문명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9.11테러는 국가 간의 갈등에서 시작되었고 문명의 충돌에서 시작되었다. 이 책에서도 설명했듯이 미국은 좀 더 자중하고 중재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며 비서구 국가들의 반발에 더욱 조심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그리스 문명의 성립과 발전
그리스 문명의 탄생을 읽고
고대 4대문명 과 도시형성원리
현대 문명 비판 - 숲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문화와 문명에 대한 보고서
『다수 문명에 대한 사유 외』를 읽고
하이데거에서의 현대문명의 위기 극복
이슬람권의 지리적 분포와 문명
농수산학]인류 문명과 나무 그 과거와 미래
가톨릭교회는 어떻게 서양문명을 세웠나, 기독교 수업 레포트
마야 문명의 몰락에 관해[견해 포함]
EBS 다큐프라임 <문명과 수학> Report (1부. 수의시작 & 2부. 원론 & 3부. 신의 숫자...
[현대기술 문명과 직업윤리][정직과 성실, 그리고 신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