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외상성 질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is)이 있을 때 시행
。회복은 안구적출술 보다 느리고 통증 심하나 의안삽입에는 훨씬 좋음.
3) 안와내용 제거술
▷ 안구 내 근치수술(눈꺼풀, 안구, 안와 내용물을 모두 제거)
→ 미용상 좋지 않아 보통 검은 안대나 안경을 착용하며 의안은 불가능 함.
4. 수술
아동이 시력을 상실 시:: 특수학교에서 교육을 시행→ 점자나 청각훈련으로 교육 받음.
성인이 되어 시력상실 시→ 점자교과서, 점자 필기구, 녹음기를 이용한 책이나 잡지를 이용
→ 맹인으로 적합한 작업훈련 받으면 독립 가능
→ 완전한 재활:: 작업요법사, 물리치료사, 사회사업가, 심리요법사 및 주치의와 간호사의 협조로 이루어짐.
→ 새로운 교육직업이 성공적이면 정신력↑하나 실패 시 좌절을 느끼게 함.
⇒ 적절한 시기에 시행하는 것이 필요
5. 재활
。 맹인 입원 시 call bell을 손 가까이에 둔다.
。같은 방 환자들을 소개하고 입원실의 식탁, 의자, 창문, 현관, 세면장, 라디오 등 방안의 물체를 만져보도록 한다.
。걸을 수 있는 환자→ 간호사실, 승강기, 면회실, 저화, 휴게실 등의 위치 등을 알려주고 돌아본다.
。맹인가 보행 시→ 팔을 끼고 간호사는 한발 앞에서 걷는다.
이때, 스스로 걸을 수 있는 경우 팔만 붙잡고 간호사는 약간 뒤에서 걷도록 한다.
。병실물건의 위치나 환경을 간호사 마음대로 바꾸지 않도록 한다.
。침상 주위에 위험한 물건을 두지 않는다.
。맹인이 있는 가정은 맹인이 활동하기에 편리하게 집을 재정비하며 이런 목적으로 방문간호사의 방문이 중요
but, 이때 환자를 지나치게 보호하지 않도록 한다.
6. 시각장애의 간호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4.0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