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 특수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 특수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들면 신장질환, 부신질환, 여러가지 부인암의 진단 및 병기 결정 등이 필요한 경우
4. 두경부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특히 뇌출혈, 뇌암, 두개골병변(골절 포함), 부비동염, 부비동암 등
5. 근골격계 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외상과 관련이 된 질환이 많으며 그 외에도 골암, 골수염 등의 진다.
6. 최근 CT촬영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면서 심장의 여러 질환, 특히 관상동맥 질환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7. CT는 이러한 여러 질환의 진단 뿐만 아니라 병의 치료 경과 관찰을 위해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13.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1970년대 후반부터 영국의 에버딘대학과 노팅엄대학에서 연구 개발하여 응용하기 시작하였다. 개발 초기에는 ‘NMR-CT’라고 했으나 지금은 MRI가 국제적인 공식용어이다. 한국에서는 1986년에 영구자석을 이용한 0.15T 상전도형이 개발되어 시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후 1988년 서울대학병원 진단방사선과에 2.0T 초전도형 MRI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MRI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원자핵은 평소에는 회전운동을 하고 있으나 일단 강한 자기장에 놓이면 세차운동이 일어난다. 이 세차운동의 속도는 자기장의 세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자기장이 셀수록 빨라진다. 이렇게 자화되어 있는 원자핵에 고주파를 가하면 고에너지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고주파를 끊으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가했던 고주파와 똑같은 형태의 고주파를 방출한다. 이렇게 원자핵이 고유하게 방출되는 고주파를 예민한 안테나로 모아서 컴퓨터로 영상화한 것이 MRI이다. 즉, 인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자기적 성질을 측정하여 컴퓨터를 통하여 다시 재구성,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MRI는 X-ray처럼 이온화 방사선이 아니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3-D 영사화가 가능하며 컴퓨터단층촬영(CT)에 비해 대조도와 해상도가 더 뛰어나다. 그리고 횡단면 촬영만이 가능한 CT와는 달리 관상면과 시상면도 촬영할 수 있고, 필요한 각도의 영상을 검사자가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널리 쓰이고 있지만, 검사료가 비싸며 촬영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검사공간이 협소하여 혼자 들어가야 하므로 중환자나 폐소공포증이 심한 환자는 찍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MRI는 주로 중추신경계, 두경부, 척추와 척수 등 신경계통의 환자에게 이용되나 이용 범위는 넓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06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