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진단적 검사와 간호
1.Ultrasonography(초음파 검사, 산과적 초음파 진단)
2.Endoscopy(내시경 검사)
3.Biopsy(생검)
4.X-ray(방사선 검사)
5.Routine Laboratory Testing(정규검사)
1.Ultrasonography(초음파 검사, 산과적 초음파 진단)
2.Endoscopy(내시경 검사)
3.Biopsy(생검)
4.X-ray(방사선 검사)
5.Routine Laboratory Testing(정규검사)
본문내용
여 설명
-적절한 방사선 사진 관찰을 위하여 바리움 검사보다 먼저 실시
-남자 환자인 경우 고환의 방사선 조사를 막기 위하여 납으로된 차폐물로 성선을 덮어준다. 여자 환자의 난소는 신장, 요관, 방광에 가까이 있으므로 가릴 수 없다
(3)EKG (electrocardiogram)심전도
①검사목적
-심장주기 동안 심장이 생산하는 전기적 자극에 따른 심장의 전기 흐름을 확인
②검사과정(약 5분)
① 환자는 침대에 앙와위로 누워 전극을 부착하기 위한 부위의 피부 준비를 한다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 하여 알코올솜으로 닦아주고 피부 모발이 많은 경우는 면도를 부 분적으로 시행하며, 전기의 전도를 증가시 키기 위하여 전극연고나 젤리를 발라준다
② 흉부와 사지에 아래의 그림과 같이6개에서 15개의 전극을 부착
③ 기계와 전극을 연결하고 기계를 작동하여 표준화와 속도를 확인하고 기록을 진행
③간호중재
-환자에게 절차를 설명(불편감이 전혀 없다는 것을 설명)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침대나 촬영기로의 이동을 도와줌
-검사에 사용된 젤리를 닦을 수 있도록 수건이나 휴지를 준비
-비정상 소견이 발견되는 즉시 기록 보고
5.Routine Laboratory Testing(정규검사)
(1)hematology
(2)blood chemistry
(3)liver function test
(4)urinalysis
①검사목적
-질환의 여부를 확인위해 실시되며, 신장과 관련없은 대사 이상질환이나 전신성 질환 을 위해서도 이용
②검사과정
1) 중간뇨 검사물( Clean catch specimen, Midsteam specimen) : 이 방법은 요도개구부에 남아있는 세균, 농, 소독용액이 섞이지 않게 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
① 요도구 개구부를 소독용액으로 청결하게 닦습니다.
② 변기에 배뇨를 시작합니다.
③ 처음과 마지막 소변이 아닌 배뇨 중간에 검사실에 가져갈 용기에 적당한 양의 소변을 받습니 다.
④ 검체를 접수시킵니다.
2) 아침 첫 배뇨 검사물
아침에 깨어서 첫번째 배뇨한 검사물은 산성이 가장 강하며 농축이 가장 잘 되어 있기 때문에 희석된 소변 검사물로 알아낼 수 없는 것을 알아낼 수 있으며 신뢰도가 높습니다.
3) 수시방출뇨(random specimens)
시간에 상관없이 깨끗한 용기에 수집한 소변검사물로 보통 15~60ml 이면 검사하기에 충분한 양입니다. 수 시 방출뇨로 일반적인 정성검사를 하여 비정상상태를 쉽게 변별해 낼 수 있습니다. 대상자로 하여금 지정 된 소변용기나 다른 깨끗한 용기에 직접소변을 받도록 합니다, 만약 집에서 소변을 수집한 경우는 2시간 이 내로 검사실로 보내야 하며, 그보다 더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는 검사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수 있습니 다.
4) 24시간 검사물
① 대상자에게 방광을 완전히 비우도록 합니다.
② 시간을 기록하여 24시간의 시작으로 표시합니다.
③ 이 시간으로부터 24시간이 될 때까지 모든 소변은 수집병에 모아야 합니다.
④ 24시간이 되었을 때 방광을 비우도록 하여 이 소변까지 검사물에 포함시킵니다.
⑤ 검체를 접수시킵니다.
③간호중재
①정확한 검체 방법을 확인하고 교육
②인공도뇨관으로 채취하는 환자의 경우 인공도뇨관 삽관술을 시행하고 검체 후 제거
③검사물의 수집시간은 결과의 평가와 정상, 비정상 구분시에 중요하므로 기록
④ 약물이나 음식이 결과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약물과 식이에 대한 과거력을 수집합
⑤ 검사 결과가 나오면 비정상 수치에 대하여 기록하고 보고
⑥ 위험수치: 현미경적 검사에서 적혈구가 50이상, 백혈구나 병리적 결정체, 혈액이 섞인 소변,글루코스 3~4%, 케톤이 1~2%로 나타나면 의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함
-적절한 방사선 사진 관찰을 위하여 바리움 검사보다 먼저 실시
-남자 환자인 경우 고환의 방사선 조사를 막기 위하여 납으로된 차폐물로 성선을 덮어준다. 여자 환자의 난소는 신장, 요관, 방광에 가까이 있으므로 가릴 수 없다
(3)EKG (electrocardiogram)심전도
①검사목적
-심장주기 동안 심장이 생산하는 전기적 자극에 따른 심장의 전기 흐름을 확인
②검사과정(약 5분)
① 환자는 침대에 앙와위로 누워 전극을 부착하기 위한 부위의 피부 준비를 한다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 하여 알코올솜으로 닦아주고 피부 모발이 많은 경우는 면도를 부 분적으로 시행하며, 전기의 전도를 증가시 키기 위하여 전극연고나 젤리를 발라준다
② 흉부와 사지에 아래의 그림과 같이6개에서 15개의 전극을 부착
③ 기계와 전극을 연결하고 기계를 작동하여 표준화와 속도를 확인하고 기록을 진행
③간호중재
-환자에게 절차를 설명(불편감이 전혀 없다는 것을 설명)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침대나 촬영기로의 이동을 도와줌
-검사에 사용된 젤리를 닦을 수 있도록 수건이나 휴지를 준비
-비정상 소견이 발견되는 즉시 기록 보고
5.Routine Laboratory Testing(정규검사)
(1)hematology
(2)blood chemistry
(3)liver function test
(4)urinalysis
①검사목적
-질환의 여부를 확인위해 실시되며, 신장과 관련없은 대사 이상질환이나 전신성 질환 을 위해서도 이용
②검사과정
1) 중간뇨 검사물( Clean catch specimen, Midsteam specimen) : 이 방법은 요도개구부에 남아있는 세균, 농, 소독용액이 섞이지 않게 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
① 요도구 개구부를 소독용액으로 청결하게 닦습니다.
② 변기에 배뇨를 시작합니다.
③ 처음과 마지막 소변이 아닌 배뇨 중간에 검사실에 가져갈 용기에 적당한 양의 소변을 받습니 다.
④ 검체를 접수시킵니다.
2) 아침 첫 배뇨 검사물
아침에 깨어서 첫번째 배뇨한 검사물은 산성이 가장 강하며 농축이 가장 잘 되어 있기 때문에 희석된 소변 검사물로 알아낼 수 없는 것을 알아낼 수 있으며 신뢰도가 높습니다.
3) 수시방출뇨(random specimens)
시간에 상관없이 깨끗한 용기에 수집한 소변검사물로 보통 15~60ml 이면 검사하기에 충분한 양입니다. 수 시 방출뇨로 일반적인 정성검사를 하여 비정상상태를 쉽게 변별해 낼 수 있습니다. 대상자로 하여금 지정 된 소변용기나 다른 깨끗한 용기에 직접소변을 받도록 합니다, 만약 집에서 소변을 수집한 경우는 2시간 이 내로 검사실로 보내야 하며, 그보다 더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는 검사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수 있습니 다.
4) 24시간 검사물
① 대상자에게 방광을 완전히 비우도록 합니다.
② 시간을 기록하여 24시간의 시작으로 표시합니다.
③ 이 시간으로부터 24시간이 될 때까지 모든 소변은 수집병에 모아야 합니다.
④ 24시간이 되었을 때 방광을 비우도록 하여 이 소변까지 검사물에 포함시킵니다.
⑤ 검체를 접수시킵니다.
③간호중재
①정확한 검체 방법을 확인하고 교육
②인공도뇨관으로 채취하는 환자의 경우 인공도뇨관 삽관술을 시행하고 검체 후 제거
③검사물의 수집시간은 결과의 평가와 정상, 비정상 구분시에 중요하므로 기록
④ 약물이나 음식이 결과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약물과 식이에 대한 과거력을 수집합
⑤ 검사 결과가 나오면 비정상 수치에 대하여 기록하고 보고
⑥ 위험수치: 현미경적 검사에서 적혈구가 50이상, 백혈구나 병리적 결정체, 혈액이 섞인 소변,글루코스 3~4%, 케톤이 1~2%로 나타나면 의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