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가 생각하는 나의 성격 및 정서적 특성
2) 나의 가족
3) H-T-P 검사 해석
(1) 집 그림
⓵ 집 그림의 해석
(2) 나무 그림
⓵ 나무 그림의 해석
(3) 사람 그림
⓵ 사람 그림의 해석
4) K-F-D 검사 해석
5) 출처
2) 나의 가족
3) H-T-P 검사 해석
(1) 집 그림
⓵ 집 그림의 해석
(2) 나무 그림
⓵ 나무 그림의 해석
(3) 사람 그림
⓵ 사람 그림의 해석
4) K-F-D 검사 해석
5) 출처
본문내용
으며 한 친구는 말잘하고 유쾌한 친구이고 한 친구는 이 사람에게 뭐든지 다 퍼주고 한 친구는 이 사람과 마음이 잘 통하는 친구이다
⑧ 이 사람은 행복합니까? 불행합니까? ->행복하다
⑨ 이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 돈이 필요하다
⑩ 당신은 이 사람이 좋습니까? ->좋지도 않고 싫지도 않다
사람 그림 해석
1) 얼굴 : 얼굴의 표정을 생략해서 그린 것으로 보아 대체로 현실적 후퇴를 의미하며 겁이 많고, 개인 상호간의 관계가 분명치 않고 피상적인 것으로 해석 된다
2) 머리카락 : 머리카락을 강조해서 그린 것으로 보아 남성도에 대한 성적 부적당감에 의문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3) 눈 : 작은 눈을 그린 것으로 보아 내향적이며 자기애적이며 외계와의 접촉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텅 빈 눈`인 생략된 동공은 환경을 인식하는 것에 관심이 없고 내성적이며 자아도취적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 된다
4) 어깨 : 넓은 어깨를 강조하여 그린 것은 남성적이고 힘이 강한 욕구의 표시이며 자기의 존재를 과시하려는 현시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남성에 대한 항의를 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 된다
5) 의복 : 의복을 강조하여 장식을 꾸민 것으로 보아 자기애적, 사회애적 경향이 있으며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 현시적 욕구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6) 팔 : 팔이 몸으로부터 떨어져서 밖으로 뻗어 있는 팔을 보아 환경에 대하여 공격적인 욕구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7) 다리 : 허약하고 가늘고 적으며 불안정한 다리로 보아 노인성, 자기쇠약의 감정이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8) 손가락 : 둥글게만 표현된 손가락으로 보아 공격적 충동을 제어하려고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9) 턱 : 턱을 무시하여 그린 것으로 보아 사회장면에서 자신을 무력한 존재로 느끼며 지배와 복종에 대해 관심이 없는 것으로 해석 된다
4) K-F-D 검사 해석
각 인물들에 대한 질문입니다 무슨 행동을 하고 있으며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엄마: 설거지를 하고 있다/ 밥을 잘 해 준다/없다 아빠: 자고 있다/ 청소를 잘해준다/청소를 너무 하며 목소리가 너무 크다 첫째언니: 아이를 돌보고 있다/ 밥을 잘 해 준다/ 심부름을 잘 시킨다 둘째언니: 화장을 하고 있다/ 그다지 모르 겠다/심부름, 잔소리가 심하다 셋째언니: TV를 보고 있다/ 먹을 것을 잘 준다/잔소리가 심하다 넷째 언니: 컴퓨터를 하고 있다/잘 모르겠다/ 너무 지저분 하다
앞으로 이 가족은 어떻게 될 것인가? -> 이 상태로 쭉 살 것이다
이 그림에 빠진 사람은? -> 회사 간 형부
K-F-D 검사 해석
1) 포위하기 그림 : 아빠가 침대에 누워서 자고 있는 것으로 표현했지만 이 그림은 선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게 그린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아빠는 나를 힘들게 하거나 위협적인 대상으로 따로 떼어 놓고 싶거나 제외시키고 싶은 욕구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2) 인물의 묘사 순서 : 그림의 묘사 순서는 [① 엄마 ② 둘째언니 ③ 아빠 ④ 나 ⑤ 넷째언니 ⑥ 첫째언니 랑 예림이 ⑦ 셋째언니] 로 된다 이 것 으로 보아 나는 엄마가 정서적`심리적으로 중요한 대상이며 또한 둘재언니가 아빠보다 가정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인물상의 위치 : 용지의 상단에 그려진 둘째언니는 가족 내에서 가족을 이끌어가는 주도적인 인물이며 용지 아래쪽에 그려진 아빠, 첫째언니, 넷째언니는 우울하거나 활력이 부족한 인물이며 오른쪽에 그려진 나, 셋째언니, 넷째언니는 외향성 및 활동성을, 왼쪽에 그려진 엄마, 아빠는 내향성 및 침체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4) 인물상 간의 거리 : 셋째 언니와 나는 서로 방해물 없이 가까이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서로 친밀함이 있을 수 있다고 해석된다.
5) 인물상의 방향 : 정면을 향하고 있는 아빠의 모습에서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뒷모습으로 그려진 나와 셋째언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와 억압적 분노감, 옆면이 그려진 엄마, 첫째언니, 둘째언니, 넷째언니에 대해서는 양가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6) 인물상의 생략 : 형부를 빼고 그렸으며 지웠다 그린 흔적이 있는 엄마, 둘째언니에 대해서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거나 갈등적인 관계에 있음으로 해석된다.
5) 출처
아동 심리검사- 2011년 강문희
미술치료 기본 교육과정 신현숙 아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심리상담사 2급 - 한국심성교육개발원
⑧ 이 사람은 행복합니까? 불행합니까? ->행복하다
⑨ 이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 돈이 필요하다
⑩ 당신은 이 사람이 좋습니까? ->좋지도 않고 싫지도 않다
사람 그림 해석
1) 얼굴 : 얼굴의 표정을 생략해서 그린 것으로 보아 대체로 현실적 후퇴를 의미하며 겁이 많고, 개인 상호간의 관계가 분명치 않고 피상적인 것으로 해석 된다
2) 머리카락 : 머리카락을 강조해서 그린 것으로 보아 남성도에 대한 성적 부적당감에 의문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3) 눈 : 작은 눈을 그린 것으로 보아 내향적이며 자기애적이며 외계와의 접촉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텅 빈 눈`인 생략된 동공은 환경을 인식하는 것에 관심이 없고 내성적이며 자아도취적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 된다
4) 어깨 : 넓은 어깨를 강조하여 그린 것은 남성적이고 힘이 강한 욕구의 표시이며 자기의 존재를 과시하려는 현시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남성에 대한 항의를 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 된다
5) 의복 : 의복을 강조하여 장식을 꾸민 것으로 보아 자기애적, 사회애적 경향이 있으며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 현시적 욕구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6) 팔 : 팔이 몸으로부터 떨어져서 밖으로 뻗어 있는 팔을 보아 환경에 대하여 공격적인 욕구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7) 다리 : 허약하고 가늘고 적으며 불안정한 다리로 보아 노인성, 자기쇠약의 감정이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8) 손가락 : 둥글게만 표현된 손가락으로 보아 공격적 충동을 제어하려고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9) 턱 : 턱을 무시하여 그린 것으로 보아 사회장면에서 자신을 무력한 존재로 느끼며 지배와 복종에 대해 관심이 없는 것으로 해석 된다
4) K-F-D 검사 해석
각 인물들에 대한 질문입니다 무슨 행동을 하고 있으며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엄마: 설거지를 하고 있다/ 밥을 잘 해 준다/없다 아빠: 자고 있다/ 청소를 잘해준다/청소를 너무 하며 목소리가 너무 크다 첫째언니: 아이를 돌보고 있다/ 밥을 잘 해 준다/ 심부름을 잘 시킨다 둘째언니: 화장을 하고 있다/ 그다지 모르 겠다/심부름, 잔소리가 심하다 셋째언니: TV를 보고 있다/ 먹을 것을 잘 준다/잔소리가 심하다 넷째 언니: 컴퓨터를 하고 있다/잘 모르겠다/ 너무 지저분 하다
앞으로 이 가족은 어떻게 될 것인가? -> 이 상태로 쭉 살 것이다
이 그림에 빠진 사람은? -> 회사 간 형부
K-F-D 검사 해석
1) 포위하기 그림 : 아빠가 침대에 누워서 자고 있는 것으로 표현했지만 이 그림은 선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게 그린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아빠는 나를 힘들게 하거나 위협적인 대상으로 따로 떼어 놓고 싶거나 제외시키고 싶은 욕구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2) 인물의 묘사 순서 : 그림의 묘사 순서는 [① 엄마 ② 둘째언니 ③ 아빠 ④ 나 ⑤ 넷째언니 ⑥ 첫째언니 랑 예림이 ⑦ 셋째언니] 로 된다 이 것 으로 보아 나는 엄마가 정서적`심리적으로 중요한 대상이며 또한 둘재언니가 아빠보다 가정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인물상의 위치 : 용지의 상단에 그려진 둘째언니는 가족 내에서 가족을 이끌어가는 주도적인 인물이며 용지 아래쪽에 그려진 아빠, 첫째언니, 넷째언니는 우울하거나 활력이 부족한 인물이며 오른쪽에 그려진 나, 셋째언니, 넷째언니는 외향성 및 활동성을, 왼쪽에 그려진 엄마, 아빠는 내향성 및 침체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4) 인물상 간의 거리 : 셋째 언니와 나는 서로 방해물 없이 가까이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서로 친밀함이 있을 수 있다고 해석된다.
5) 인물상의 방향 : 정면을 향하고 있는 아빠의 모습에서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뒷모습으로 그려진 나와 셋째언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와 억압적 분노감, 옆면이 그려진 엄마, 첫째언니, 둘째언니, 넷째언니에 대해서는 양가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6) 인물상의 생략 : 형부를 빼고 그렸으며 지웠다 그린 흔적이 있는 엄마, 둘째언니에 대해서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거나 갈등적인 관계에 있음으로 해석된다.
5) 출처
아동 심리검사- 2011년 강문희
미술치료 기본 교육과정 신현숙 아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심리상담사 2급 - 한국심성교육개발원
추천자료
[가족복지]맞벌이 가족의 정의, 개념, 발생요인, 현황, 실태, 특징과 맞벌이 가족의 여성이 ...
가족생활교육 이론 및 가족의 특징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아래와 같은 가족치료이론 중 2개를 선택하여 설명...
맞벌이 가족의 특징과 맞벌이 가족을 위한 복지정책
가족치료의 정의, 특징, 가족치료이론에 대한 개인의견
청소년기의 가족의 목표, 청소년가족의 발달과 적응, 청소년기의 신체 정신적 특징과 가족의 ...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가족치료이론을 설명하고 개인의견을 제시.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중 두 가지를 골라 각 치료의 특징을 비교.
다문화가족복지론 - 다문화가족의 개념과 특징, 생활실태와 문제 및 복지정책 서비스 & ...
[2016 노인복지론] 치매노인 가족 수발자 인터뷰 잔여적복지 노인돌봄에 있어서 가족과 치매...
[재혼가정] 재혼가족의 형성과정, 재혼가족의 특징과 부모자녀관계, 재혼가족의 부모역할
[가족복지론] 가족의 정의를 정리하고 가족생활주기의 의미와 각 단계별 특징을 자세히 서술...
자신이 생각하는 순기능적(건강한 가족) 역기능적 가족(건강하지 못한 가족)의 특징을 적으시오
소개글